자유

작가와 작품은 별개라고 생각하시나요?

웹소설 업계에서 몇몇 작품 외적인 발언으로 홍역을 치른 작가들이 있습니다...


작품 외적이라고 명시한 이유는 예를 들어 어떤 작품은 작품 내의 특정 요소나 설정 때문에 비난을 받기도 하는데, 이 작가들은 막상 작품 내용과 무관하고 작품에서는 드러나지 않는 개인적인 사상 때문에 보이콧과 비난의 대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글쟁이S, 그리고 위래 작가인데 마침 두 분 다 <마왕은 학원에 간다>와 <슬기로운 문명생활>이라는 신작을 연재 중이죠.


연재 플랫폼에 가서 댓글을 보면 그야말로... 엄청난 비난이 쏟아지고 있는데요. 여기 소설넷은 아무래도 작품 자체를 평가하는 경향이 강하다 보니 두 작품 모두 비난은 적고 호평이 많은 편이더군요.


(아직은 규모가 큰 사이트가 아니지만, 향후 소설넷의 특색이 그런 쪽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작가와 작품이 별개일까요?

저 같은 경우는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웹소설은 대부분 작가가 필명으로 존재할 뿐 실체가 없는 거라 마찬가지라...

이문열이나 김훈과 달리 글쟁이S는 차은우를 닮았다는 사실을 제외하면 개인 신상에 대해서 거의 아무 것도 알려져 있지 않다시피 하죠.


이 점에서 1세대 작가들 - 이영도나 전민희 같은 - 과는 좀 다르고, 웹소설의 경우 작가와 작품이 별개라는 느낌이 더 강한 것 같습니다.

어느날 필명을 바꾸고 나타나도 모르고 넘어갈 가능성이 크고요... 


더구나 소위 '문학' 작품들과 달리 99% 재미로 읽는 스낵컬쳐고,

작품 속에 작가의 사상이 드러난다고 해도 거기 감화되기보다는 '훗, ㅄ...' 이러고 읽는 독자가 대부분인 특성상 딱히 신경쓸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뭐 그건 제 생각일 뿐이고 어떤 분들은 작가의 발언 때문에 도저히 몰입이 안돼서, 혹은 그런 발언을 한 작가가 돈 버는 게 싫어서 못 보겠다 할 수도 있겠죠.

그런 판단은 소비자로서 당연한 권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번 <마왕은 학원에 간다> 댓글 사태를 보면 그런 정도를 넘어서 남들에게도 이런 작가가 쓴 작품이니까 보지 말라고 적극적으로 행동에 나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개인적으로는 굳이...? 라는 생각이 드는데 독자의 알 권리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


다만 제가 딱히 작가의 편을 들려고 하는 게 아니라,

잘 보고 있는 작품에 대해 다른 독자들의 감상이 궁금해서 댓글란을 열었는데 그런 글들로 도배가 되어 있으니 기분이 별로 좋지는 않았습니다.


님들의 경우 (작품 내적으로 큰 문제가 없을 때) 작가의 개인적인 사상이나 발언 같은 외적인 요소가 작품의 선택이나 감상 여부에 영향을 미치나요?

그렇지 않을 경우, 그런 분들이 남들에게도 이 작가가 이런 사람이니까 작품을 보지 마라! 고 이야기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관련 웹소설

슬기로운 문명생활
3.45 (146)

신이 되어 판타지 문명을 건설하는 게임 "로스트 월드". 정식 서비스가 시작되자 랭킹 1위 최성운은 지금까지의 플레이가 실전을 위한 연습 게임에 불과했음을 알게 된다.

마왕은 학원에 간다
3.62 (285)

프롤로그에서 마왕이 죽고 마계가 멸망하는 소설, 『마왕은 죽었다』나는 그 소설의 '마계 왕자'가 되었다....살려줘.

댓글 2

Eulpa
2021년 4월 18일 11:31 오후 답글

1. "작가와 작품은 일심동체다. vs 작가와 작품은 별개이다." 양 주장 모두 그럴듯한 근거가 있으며 선악을 논할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여론도 없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굳이 살피자면 흔히 갈리는 호불호 문제들(민트초코나 부먹찍먹)과 비슷한 정도라고 봅니다. 이 문제에 정의(正義)가 없다고 보는 것 자체가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굳이 따지자면 양시론에 가깝겠습니다. 그때그때 제 입맛에 맞춰서, 문제라 하여도 용납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용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작품을 읽은 도중인지 읽은 후인지 읽기 전인지 등 수많은 문제에 얽혀서 작품마다 시기마다 다른 답이 나옵니다.
2. 다만 양비가 아니기에 어떤 문제적 요소가 작품의 취사선택이나 작품 및 작가의 호감도에 영향을 끼치긴 합니다.
3. 우리나라는 자유민주주의 국가니까, 추천 혹은 비추천의 근거로써 이러한 문제를 삼아 논하는 것에 호불호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런 이유로 작품을 추천하거나 비추천할 수 있겠죠. 다만 강요하거나, 자기 편을 만들기 위해 몰아가는 등의 여론을 선동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0 0
제이디
2021년 4월 15일 3:51 오전 답글

두 작품 다 읽으면서 작가의 사상이 느껴지거나 한 적은 없는데 일단 그런 발언을 했다는 사실을 알고 나면 찝찝한 건 사실임. 그래도 재미있으니까 돈 내고 읽지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