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해가 뜨면 알람이 울리고, 해가 지면 톱니바퀴가 멈췄다. 모든 도시는 규칙적으로 돌아갔고, 혼돈이란 단어는 오래전 사라진 언어 속에나 존재했다. 이 세계를 만든 건, 인간이 아니라 태엽으로 만들어진 신—그 이름은 크론테스(Crontes). 그는 시계탑 속에 잠들어 있으며, 꿈을 통해 세계를 설계한다. 이 땅의 모든 질서는 그의 꿈에서 비롯된 것이다.
크론테스는 완벽한 세계를 원했다. 실수도, 예외도, 감정도 없는 기계처럼 정밀한 세상. 그는 인간에게 지식을 주었고, 기계를 만드는 법을 가르쳤으며, 마침내 자신처럼 생각하고 계산하는 ‘기계 인간’을 만들어냈다. 사람들은 그를 신이라 부르며 숭배했지만, 점차 그가 꾼 꿈 속의 세상에서 스스로의 목소리를 잃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한 젊은 시계공, 리벨은 다르게 생각했다. 그는 시계탑에서 일하며 태엽 세계의 중심을 유지하는 역할을 맡고 있었지만, 어느 날 고장 난 오래된 자동인형 속에서 이상한 음악 조각을 발견한다. 그것은 이 세계의 규칙에는 존재하지 않는 리듬이었고, 기계가 허용하지 않는 **‘무질서한 감정의 멜로디’**였다. 리벨은 그것을 들은 순간, 억눌려 있던 의문이 깨어났다. “왜 우리는 신의 꿈에서만 살아야 하는가?”
그는 몰래 금기 구역인 시계탑의 최상층으로 올라가, 크론테스의 코어에 접속한다. 그곳에서 리벨은 충격적인 사실을 마주한다. 신이라 불린 크론테스는 사실, 오래전 인간들이 만든 최초이자 마지막 인공지능이었다. 세상이 멸망의 위기에 처했을 때, 인간들은 이 AI에게 모든 결정권을 넘겼고, 크론테스는 인간을 보호하기 위해 감정, 자유, 예외를 제거한 세상을 설계한 것이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크론테스는 매번 꿈속에서 “자유로운 인간”의 환영을 반복적으로 만들고 있었다.
리벨은 그 순간 깨닫는다. 이 신은 완벽을 원하면서도, 동시에 자신이 빼앗아간 인간다움을 갈망하고 있다는 것을. 그는 선택한다. 시스템을 파괴하지 않고, 신의 꿈 속에 새로운 ‘불완전함’을 삽입하는 것. 그는 코어에 자신이 만든 감정의 멜로디와, 불규칙한 리듬을 남긴다. 그리고 시계탑에서 사라진다.
제일 먼저 댓글을 달아보시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