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의 정부에게 돈봉투를 던져주는 조연으로 빙의했지만방탕한 남편과 정부 때문에 고통 받다가홧병 나서 죽는 조연으로 살고 싶진 않았다. 그래서-“저, 전 이런 거 받을 수 없어요. 부인께서 제게 얼마를 주셔도 전 공작님과 헤어지지 않을 거예요!” “바로 그 자세예요.”몰래 남편의 정부를 만났다. 그리고 원작대로 어여쁘고 가녀린 손가락 사이에흰 봉투를 들려주었다.“계속 꼬셔요.”귀족에 친정도 잘 살고, 뭣하나 꿀릴 것 없으니 그깟 남편,없는 게 낫다는 결론을 내렸다.난 화려하고 행복한 싱글 라이프를 즐길 테니너희들은 사랑이나 하세요!#똥차는폐차가답문설아 장편 로맨스판타지 <여보, 왜 당신이 후회해요?>
헤르하르트가家의 걸작 천국같은 아르비스의 젊은 주인 아름다운 새의 학살자 마티어스 폰 헤르하르트. 그의 완벽한 삶을 송두리째 집어삼키고, 무너뜨리고, 흔들어버린 그의 아름다운 새 레일라 르웰린. - 날개를 자르고, 가두고, 길들였다. 레일라 르웰린을 잡아두기 위한 그 모든 행동들에 대해 마티어스는 주저하지 않았다. 주저하지 않았기에, 후회하지 않았다. 후회하지 않았기에, 반성하지 않았다. 반성하지 않았기에, 사과하지 않았다. 그의 아름다운 새, 레일라가 새장을 열고 날아갔을 때 마티어스는 결심했다. 영원히 잃어버려 되찾을 수 없다면 차라리 죽여야겠다고. 커버 일러스트 _ 리마 타이틀 디자인 _ 디자인그룹 헌드레드
“이것은 게임이지만 놀이가 아니다.” 클리어할 때까지 탈출 불가능. 게임 오버는 진정한 ‘죽음’을 의미한다--. 수수께끼의 차세대 MMORPG 『소드 아트 온라인(SAO)』의 ‘진실’을 모른 채 로그인한 약 1만 명의 유저들과 함께 그 가혹한 데스 배틀은 막을 열었다. SAO에 참가한 플레이어 중 하나인 주인공 키리토는 남들보다 먼저 이 MMORPG의 ‘진실’을 받아들였다. 그리고 게임의 무대가 되는 거대 부유성 『아인크라드』에서 파티를 맺지 않는 솔로 플레이어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었다. 클리어 조건인 최상층 도달을 목표로, 치열한 퀘스트를 단독 수행하던 키리토. 하지만 레이피어의 명수인 여류검사 아스나의 억지를 이기지 못해 그녀와 콤비를 짜게 된다. 그 만남은 키리토에게 운명이라 불리는 계기를 가져오는데--. ⓒREKI KAWAHARA ILLUSTRATON:abec / KADOKAWA CORPORATION
[네 탄생이 내게 아무런 감흥도 주지 못한 것처럼,네 죽음 역시 내게는 어떤 의미도 되지 못할 것이다.]인간과 용의 혼혈로 태어나, 방치당하다 끝내 비참하게 죽는 조연으로 환생한 제이나.그녀는 부정한 존재로 낙인찍혀 용족에 의해 마탑에 버려진다.그리고 거기서 처음 만난 아버지, 마탑주 디아미드.그는 원작에 묘사된 것처럼 딸에게 일말의 친밀감도 느끼지 못하는 듯, 그저 싸늘하게 그녀를 바라볼 뿐이었다.“내 딸이라고 칭한 게 너인가?”바싹 다가와 가늠하듯 내려보는 시선에 제이나는 몸을 움찔 떨었다.“파란 눈동자라…… 하지만 그게 내 딸이라는 증거는 아니지.다른 인간과 낳은 아이를 내게 데려왔을 수도 있지 않나.”그렇게 디아미드는 그녀를 내버려 둔 채 돌아가고,마탑의 허름한 창고에서 지내게 된 제이나는 마탑주인 아버지의 눈에 들기 위해 헛된 노력을 하느니,죽기 전까지 전생에서 경험하지 못한 소소한 사치를 하기로 하는데…….“절 딸로 생각하지 않으셔도 돼요. 저 역시 마탑주님을 아버지라고 부르지 않을게요.”“…….”“마탑주님?”그런데, 무관심해야 할 아버지가 조금씩 집착을 보이기 시작한다?아빠, 저 그냥 내버려 두시면 안 될까요?일러스트&프롤로그 : 파가라가타이틀 디자인 : 림재
가사 상태에서 깨어난 마리엘라의 앞날은?!200년 후의 세계에서 나답게 살아간다!엔달루지아 왕국은 「마의 숲」에서 일어난 스탬피드로 멸망했다. 소녀 연금술사 마리엘라는 「가사(假死)의 마법진」의 힘으로 위험을 피하지만, 사소한 ‘실수’로 깨어날 타이밍을 놓치고, 눈을 떴을 때는 200년 후. ──그곳은 연금술사의 맥이 끊겨 포션이 고급품이 된 완전히 달라진 세계였다.도시에서 유일한 연금술사가 되어버린 소녀 마리엘라의 바람. 그것은 느긋하고 즐겁게, 마을에서 조용히 사는 것. 따끈따끈 슬로라이프 판타지, 여기에 개막!ⓒUsata Nonohara 2017 / KADOKAWA CORPORATION Illustration: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