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식독자
잡식독자 LV.11
받은 공감수 (1)
작성리뷰 평균평점

높은 평점 리뷰

잡식독자무한의 마법사 - 김치우


+이러한 판타지류 소설을 읽을 때 보통 주인공에 자신을 투영해서 읽는 편. 그런 관점에서 볼 때, 주인공에 이입하기는 상당히 어려웠음. 그래서 인지 주인공 중심으로 벌어지는 사건 들 중 고구마를 먹인 부분도 상당히 많음. 하지만 이러한 단점을 다른 인물들로 극복한다고 생각함. 다시 말해서 주인공에 굳이 자신을 이입하지 않아도 스토리를 이끌어나가는 다른 매력적인 인물에 이입해서 읽으면 된다. 왜냐? 주인공이 중심이 되는 소설은 맞으나 주인공 만을 위한 세계가 절대 아니기에 가능함. +소설에 등장하는 세계관, 능력, 사상 등을 하나하나 검증해가며 읽는 타입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장점과 단점으로 지적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장점이라고 평하고 싶음. 인물들의 이러한 능력은 이러한 노력, 가치관 등이 뒷받침 되어서 나타나는 것이다.라는 작가의 생각을 엿볼 수 있었기 때문 - 초반부 진입장벽이 너무 높음. 초반 부는 주인공의 서사가 중심인데, 범인이라면 이해할 수 없는 성품을 가진 우리 주인공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주변 사건들은 생각보다 버티기 쉽지 않음. 물론 작가가 개성 넘치는 여러 인물들을 등장 시키긴 하나.. 결국 주인공 가라사대로 전개되는 게 소설이므로 어쩔 수 없음. 또한 초반 부에는 예상되는 스토리가 없고 큰 긴장 없이 대부분이 비슷함. '주인공 성장기'. 몇몇 떡밥 들은 이 책이 51권이라는 걸 감안했을 때 머나먼 미래일 뿐임 그렇다 보니 현재 장르 소설 메타에 적응되어버린 독자들이 못 버티고 중도 포기함 주인공이 위기를 겪어도 긴장이 안되는 이유? 그의 미친 성품 때문임. 무튼 여기까지만 보면 답답해 죽을 것 같은 주인공 & 답답해 죽을 것 같은 에피소드 반복인 것임 -능력 있는 작가가 너무 많은 시도를 함 게임 요소를 별로 안 좋아하는 편이라. 이외에도 여러 부분에서... 하지만 이 부분을 넘어선 독자들은 인생 소설이라고 보통 칭함. 각자가 만족한 부분들이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작가가 인물 하나하나에 애정을 쏟고 창조한 것이 보여서 높게 평가함 너무나도 특출한 장점이 있어서 5점을 줄 수 밖에 없었음

잡식독자회귀도 13번이면 지랄 맞다 - 사자혼


좋은 점 + 인상 깊은 캐릭터 ( 수인, 기계, 인간 / 흔히 등장하는 종족이지만 각 종족의 개성이 명확하게 드러남) / 인간인 주인공이 회귀를 거듭하며 각 종족과 ~~~~..) + 전투묘사 (뽕이 차오르는 나는 여러 기술들) - 이 소설에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함. + 세계관 (마왕을 무찌르고 세계를 구원한다라는 뻔한 클리셰를 잘 비틈) + 반전 & 감정 묘사 (예상하지 못한 스토리 전개) 인간적인 성품과 비인간적인 능력이 잘 맞물린 주인공을 창조했다는 점 항상 아쉽기만 했던 회귀라는 소재를 정말 잘 풀어냈다는 점에 주목해서 보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4.99 줄 수 있었다면 줄 거에요.. 너무 잦은 연중.. 나쁜자식

잡식독자약먹는 천재마법사 - 글근육


좋은 점 +인상 깊은 주,조연 캐릭터 +전투묘사 (다양한 능력과 기술) +잘 짜여진 세계관 +일반적인 양산형 소설과 다르게 주인공이 무엇을 향해 나아가는 지가 명확함. 그리고 그 과정이 절대 얇지 않음 아쉬운 점 - 넓고 느린 서사 전개에 짓눌려 한 에피소드 읽고 넘어가는 것 이상의 생각을 할 수 없음(연재를 따라가고 있어서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함) - 1인 다역의 단점이 나옴(약간의 답답함과 문제 해결 패턴 고정) - 주인공이 무엇을 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함(그래서 그냥 다 할 줄 알겠거니~ 생각하고 봄) 0.5 점 부족한 이유 : 완전무결함보다는 약간의 부족함(실패나 좌절)이 있는 주인공&서사를 더 좋아하는 편 살짝 돌아가거나 쉬는 장면으로 긴장된 서사를 좀 풀어준다면? 글을 읽는 독자들이 결말과 인물 그리고 여러 복선들에 대해 끊임없이 추측한다는 점에서 충분히 좋은 소설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재능 있는 주인공의 압도적인 모습을 보고 싶으시다면 추천합니다.

최신 리뷰

잡식독자무한의 마법사 - 김치우


+이러한 판타지류 소설을 읽을 때 보통 주인공에 자신을 투영해서 읽는 편. 그런 관점에서 볼 때, 주인공에 이입하기는 상당히 어려웠음. 그래서 인지 주인공 중심으로 벌어지는 사건 들 중 고구마를 먹인 부분도 상당히 많음. 하지만 이러한 단점을 다른 인물들로 극복한다고 생각함. 다시 말해서 주인공에 굳이 자신을 이입하지 않아도 스토리를 이끌어나가는 다른 매력적인 인물에 이입해서 읽으면 된다. 왜냐? 주인공이 중심이 되는 소설은 맞으나 주인공 만을 위한 세계가 절대 아니기에 가능함. +소설에 등장하는 세계관, 능력, 사상 등을 하나하나 검증해가며 읽는 타입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장점과 단점으로 지적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장점이라고 평하고 싶음. 인물들의 이러한 능력은 이러한 노력, 가치관 등이 뒷받침 되어서 나타나는 것이다.라는 작가의 생각을 엿볼 수 있었기 때문 - 초반부 진입장벽이 너무 높음. 초반 부는 주인공의 서사가 중심인데, 범인이라면 이해할 수 없는 성품을 가진 우리 주인공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주변 사건들은 생각보다 버티기 쉽지 않음. 물론 작가가 개성 넘치는 여러 인물들을 등장 시키긴 하나.. 결국 주인공 가라사대로 전개되는 게 소설이므로 어쩔 수 없음. 또한 초반 부에는 예상되는 스토리가 없고 큰 긴장 없이 대부분이 비슷함. '주인공 성장기'. 몇몇 떡밥 들은 이 책이 51권이라는 걸 감안했을 때 머나먼 미래일 뿐임 그렇다 보니 현재 장르 소설 메타에 적응되어버린 독자들이 못 버티고 중도 포기함 주인공이 위기를 겪어도 긴장이 안되는 이유? 그의 미친 성품 때문임. 무튼 여기까지만 보면 답답해 죽을 것 같은 주인공 & 답답해 죽을 것 같은 에피소드 반복인 것임 -능력 있는 작가가 너무 많은 시도를 함 게임 요소를 별로 안 좋아하는 편이라. 이외에도 여러 부분에서... 하지만 이 부분을 넘어선 독자들은 인생 소설이라고 보통 칭함. 각자가 만족한 부분들이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작가가 인물 하나하나에 애정을 쏟고 창조한 것이 보여서 높게 평가함 너무나도 특출한 장점이 있어서 5점을 줄 수 밖에 없었음

잡식독자회귀도 13번이면 지랄 맞다 - 사자혼


좋은 점 + 인상 깊은 캐릭터 ( 수인, 기계, 인간 / 흔히 등장하는 종족이지만 각 종족의 개성이 명확하게 드러남) / 인간인 주인공이 회귀를 거듭하며 각 종족과 ~~~~..) + 전투묘사 (뽕이 차오르는 나는 여러 기술들) - 이 소설에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함. + 세계관 (마왕을 무찌르고 세계를 구원한다라는 뻔한 클리셰를 잘 비틈) + 반전 & 감정 묘사 (예상하지 못한 스토리 전개) 인간적인 성품과 비인간적인 능력이 잘 맞물린 주인공을 창조했다는 점 항상 아쉽기만 했던 회귀라는 소재를 정말 잘 풀어냈다는 점에 주목해서 보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4.99 줄 수 있었다면 줄 거에요.. 너무 잦은 연중.. 나쁜자식

잡식독자약먹는 천재마법사 - 글근육


좋은 점 +인상 깊은 주,조연 캐릭터 +전투묘사 (다양한 능력과 기술) +잘 짜여진 세계관 +일반적인 양산형 소설과 다르게 주인공이 무엇을 향해 나아가는 지가 명확함. 그리고 그 과정이 절대 얇지 않음 아쉬운 점 - 넓고 느린 서사 전개에 짓눌려 한 에피소드 읽고 넘어가는 것 이상의 생각을 할 수 없음(연재를 따라가고 있어서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함) - 1인 다역의 단점이 나옴(약간의 답답함과 문제 해결 패턴 고정) - 주인공이 무엇을 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함(그래서 그냥 다 할 줄 알겠거니~ 생각하고 봄) 0.5 점 부족한 이유 : 완전무결함보다는 약간의 부족함(실패나 좌절)이 있는 주인공&서사를 더 좋아하는 편 살짝 돌아가거나 쉬는 장면으로 긴장된 서사를 좀 풀어준다면? 글을 읽는 독자들이 결말과 인물 그리고 여러 복선들에 대해 끊임없이 추측한다는 점에서 충분히 좋은 소설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재능 있는 주인공의 압도적인 모습을 보고 싶으시다면 추천합니다.

등급

LV. 11 (8 / 11)
상위 레벨 총경험치 다음 레벨까지
12.08% 11 63 리뷰 1개 필요

최신 컬렉션

컬렉션이 없습니다.

최신 토픽

토픽이 없습니다.

리뷰 평점 통계

작성 리뷰 장르 통계 1

작성 리뷰 장르 통계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