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점 5.0 작품

재혼 황후
3.29 (298)

완벽한 황후였다.  그러나 황제는 도움이 될 황후가 필요없다고 한다.  그가 원하는 건 배우자이지 동료가 아니라 한다. 황제는 나비에를 버리고 노예 출신의 여자를 옆에 두었다. 그래도 괜찮았다. 황제가 그녀에게 다음 황후 자리를 약속하는 걸 듣기 전까진. 나비에는 고민 끝에 결심했다. 그렇다면 난 옆 나라의 황제와 재혼하겠다고.

소나기는 장마일까
4.25 (2)

#현대물 #연예계 #게임물 #다정공 #연하공 #무심공 #아이돌공 #스트리머수 #소심수 #미인수 #연상수 #귀염수 #달달물 #일상물 #수시점일등하면 오만 원을 준다는 시청자의 공약에 랜덤 매칭을 돌린 장마.우연히 만난 목소리 좋은 남자가 게임을 너무 잘한다.그런데 왠지 이상하게 익숙하다 했더니, 인기 아이돌이라고?스트리머(BJ) 장마는 우연히 게임에서 만난 남자의 목소리에 반한다. 시청자들의 제보로 알고 보니 그는 인기 아이돌. 장마는 아이돌 서인준의 팬이 되고, 둘이서 게임한 영상이 유명해지면서 합동 방송까지 하게 된다. 그렇게 인준과 친해지면서 둘은 티브이 프로그램에도 함께 출연하는 등 친분을 자랑한다. 하지만 사실 사적으로는 화면에 보이는 것보다 더 가까워져 있었는데…….

노 모럴(No Moral)
4.1 (5)

*이 작품은 15세 이용가로 재편집된 콘텐츠입니다.“법정이란 약육강식의 견본 같은 곳.그러나 때로는 준비된 다윗이 골리앗을 이긴다.”약자들 편에서 무료 변론도 마다않던 변호사 도윤신.그런 그가 누나의 강권으로 인해대형 로펌 〈도국〉에 입사하여때론 비열한 수까지 써 가며 승리를 거머쥐는파트너 변호사 강세헌의 어쏘로 들어가게 된다.예상은 했지만 강세헌과 도윤신은삶의 방식은 물론이요, 모든 것이 달랐다.윤신이 견지해 왔던 건전한 상식은비합리적인 것으로 치부되었고,세헌은 변호사 윤신의 능력을 의심하며혹독하게 방치하고 외면했다.하지만 몇 번의 통과의례를 거친 덕분일까.조금씩 마음을 열기 시작한 세헌이급기야는 윤신을 뒤에서 몰래 도와주기 시작하는데…….“수석님. 실은, 있잖아요.”“그게 뭔진 말하지 마.”“왜요?”“……부탁 들어주고 싶을 거 같으니까. 난 귀찮아지기 싫어.”

치치 시리즈
5.0 (1)

‘맞아, 형아가 불렀어.’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어른의 세계에 이제 막 발을 내딛은 풋풋한 소년 곽치언.만사에 욕심도 집착도 딱히 없는 곽치언 20년 인생에 딱 한 가지 집착하는 것이 있었으니, 바로 이웃사촌형 현우종이다.언제나 치언을 짓궂게 괴롭히며 좋아하는 망나니 같은 현우종이지만, 한편으로는 형제애인지 (그 이상인지) 아리송한 독점욕을 드러내며 위기의 순간마다 마법처럼 나타나 아군이 되어 주는 든든한 형이기도 하다.오랜 기다림 끝에 당당히 현우종을 쟁취할 권리(?)가 주어진 치언이 드디어 의욕적인 결의를 다지는 순간. 우종의 직장 동료라는 한 예쁜 누나가 앞으로 형수가 될 사람이라며 인사를 오는 대사건이 벌어지는데?!!평생의 사랑을 향해 돌진하는 한없이 사랑스럽고 당돌한 곽치언(일명 치치)과 그의 A부터 Z까지 모든 것을 함께해 온 옆집 형 현우종의 달콤유쾌한 러브 스토리!※본 작품은 15세 이용가로 편집된 개정판입니다.

데드맨 스위치
4.33 (3)

*이 작품은 15세 이용가로 재편집된 콘텐츠입니다.밤새워 과제를 제출한 뒤 눈뜬 크리스마스 아침.그날은 캐럴이 울리긴커녕 재앙이 시작된 날이었다.기숙사는 통신 두절, 밖에는 검은 피를 흘리며사람을 뜯어 먹는 좀비가 돌아다니고 있었던 것!그에 영문도 모른 채 도망을 치던 호현은웬 소방 도끼를 들고 좀비를 처치하는 남자,기영원이라는 기괴한 또라이를 마주한다.언제든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절명의 위기 앞,아무리 봐도 초면인데 이름을 찍찍 부르는 데다성격은 지랄맞고 괴팍하기까지 하지만너만은 죽으면 안 된다 말해 주는 영원과그렇게 묘한 동행을 시작한 호현.그리고 삶과 죽음, 정의와 불의가 뒤섞인미스터리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이라 그런지그는 자꾸만 이상한 유혹을 해 오는 영원을저도 모르는 사이 점점 의지하게 되는데……?“나 없인 아무것도 못 하면서, 쓸데없이 오지랖만 넓은 주제에.……뭐, 괜찮아. 가끔 눈 돌아가게 예쁜 짓을 하니까. 원래 예쁜 것들은 생긴 값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