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속 악녀로 빙의했다. 끝까지 잘 먹고 잘사는 캐릭터라 별걱정 없이 지내려고 했지만 내 주변이 문제다.자칭 어머니라는 분이 흑막을 데려와 계속 세뇌하고 앉았다. 세뇌의 내용은 두 가지. 가문의 사람들에게 복종할 것.그리고 시리에나, 그러니까 나를 사랑할 것. 덕분에 세뇌를 당한 흑막이 나한테 집착하는데... 안 되겠다. 흑막에게 걸린 세뇌를 풀어주어야겠다! 그런데, 이게 무슨 상황이지? “세뇌가 풀렸으니 이젠 내 마음대로 할 겁니다. 그러니 시리에나, 부디 열심히 발악해 보세요.” 세뇌를 풀었는데…… 다른 의미로 전보다 더 미친 거 같다. 내 착각이겠지?
더보기
열병을 앓던 어느 날 전생의 기억이 되살아났다.덕분에 이곳이 전생에 읽었던 무협 소설 속이라는 것도 알았다.결말을 알아서 큰 문제가 없을 것 같았는데 복병이 있었다.지금이 주인공과 악당이 회귀한 시점인지 아닌지 모르겠다!"괜찮니, 서하야?"오라버니가 피와 살육을 즐기는 악당이라 했다.……하지만 저 걱정스러운 시선.아무리 봐도 그런 악당으로는 안 보이는 걸로 봐선 다행히 회귀 전인 것 같다.내가 지켜줄게 오라버니!천마니 뭐니 하는 건 걷어차고 꽃길만 걷자!***"죽여버리기 전에 내 동생한테서 손 떼.""싫다면 어쩔꺼지?""죽여-"진청강이 살기 가득한 말을 쏟아내려던 순간이었다."오라버니?""무슨 일이니, 서하야."삽시간에 온화한 표정을 지은 진청강이 서하를 바라봤다.단자운이 혀를 차며 진청강을 봤다.한때나마 절대자의 경지에 섰던 남자가 저러고 있는 꼴이 우스웠다."자운 오라버니는 언제 왔어?""네가 잠들어 있을 때 왔지."전직 천마를 비웃던, 전직 정파의 영웅이자 화산파 장문인인 단자운이 다정하게 웃었다.***오라버니도 지키고, 살기 위해 고군분투하다 보니 많은 게 변해 있었다."제자에게 위험한 길을 걷게 하는 스승은 없는 법입니다. 제가 가겠습니다. 그러니 여기서 기다리세요.""멍청한! 몇 번을 에둘러 말해야 이해를 해! 내가 너를 좋아한다고! 수백, 수천 번이라도 말해야 이해를 할 셈이야!""내가 지켜야 할 사람에는, 내가 지켜야 할 세상에는 너 또한 함께다. 그러니 가지 마라.""이미 한 번의 생을 진절머리나는 후회 속에 살았다. 나는 너를 위해 살아. 네가 내 숨이고, 삶이다."나는 생존물을 찍고 있었는데 너희는 왜 로맨스를 찍고 있어……?#무협소설빙의 #쌍방구원자물 #힐링물 #뽀작뽀작 #쌍방약착각계 #병약여주 #능력여주 #역하렘 #무협로판표지 디자인 By 쥰(@jyunjjyun)타이틀 디자인 By 타마(@fhxh0430)
#책빙의 #엑스트라 빙의 #직진남주 #집착계략남주 #이능력 가진 여주여주를 빼앗긴 황제 서브남주가 전쟁에 미쳐버리는 소설에 빙의했다.거기에 휩쓸려 멸망하는 나라의 엑스트라 공주로 말이다!살아남기 위해서는 얼른 다른 나라로 튀어야 한다.그전에, 훗날을 위해 후계자 하나만 가지려고 했는데…….하룻밤만 필요했던 남자가 바로 그 미친 황제였다?*“내 씨를 훔쳐서 그깟 소국의 후계자로 만들려고 했나?”“아, 아니, 그게 아니라…….”“그런 꼴은 못 보지.”황제가 도망치려는 그녀의 앞을 가로막았다.“공주도, 아이도, 내게서 못 떠나.”설레발을 치는 황제의 행동에 베로나는 어이가 없어졌다.밤을 보낸 것은 겨우 열흘 전.아이가 생겼는지는 신만이 아실 일인데, 벌써 아이 타령이라니.‘이 남자, 여주 쫓아다니느라 성교육 같은 건 받지도 못했나 봐.’베로나는 심각한 표정으로 황제를 올려다보며 고민했다.‘하룻밤만으로 아이가 생길 확률은 높지 않다는 걸 대체 어떻게 알려줘야 해?’하지만 그랬다가 머리가 돌아 버려서 더 미친 짓을 하면 어쩐단 말인가.베로나는 그냥 조용히 있기로 했다.
헤르하르트가家의 걸작 천국같은 아르비스의 젊은 주인 아름다운 새의 학살자 마티어스 폰 헤르하르트. 그의 완벽한 삶을 송두리째 집어삼키고, 무너뜨리고, 흔들어버린 그의 아름다운 새 레일라 르웰린. - 날개를 자르고, 가두고, 길들였다. 레일라 르웰린을 잡아두기 위한 그 모든 행동들에 대해 마티어스는 주저하지 않았다. 주저하지 않았기에, 후회하지 않았다. 후회하지 않았기에, 반성하지 않았다. 반성하지 않았기에, 사과하지 않았다. 그의 아름다운 새, 레일라가 새장을 열고 날아갔을 때 마티어스는 결심했다. 영원히 잃어버려 되찾을 수 없다면 차라리 죽여야겠다고. 커버 일러스트 _ 리마 타이틀 디자인 _ 디자인그룹 헌드레드
혈육을 베고 천하를 피로 쓸어버린 철혈의 황제. 헌원 록. 제위(帝位)란 어차피 무정지로(無情之路), 여인 따위에게 마음을 빼앗기느니 차라리 그녀의 목을 먼저 베리라 생각했던 그의 앞에 하늘의 달을 닮은 그녀, 설족의 성녀 혜루가 나타났다. “그대의 발자국이 어디로 향하는지 짐은 다 안다. 그러니 헛된 마음을 품지 마라. 이는 절대로 풀 수 없다. 다신 그대가 도망가지 않는다 믿어질 때, 비로소 풀어줄 것이야.” 힘차게 돌아가던 숙명의 수레바퀴가 잠시 멈춘 그 순간. 절대로 맺어질 수 없는 사이일 테지만 어쩔 수 없이 만나버린 천연(天緣) 안에서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격류(激流)가 흐르기 시작한다.
여주인공과 황태자비 자리를 다투다가 마법사 서브 남주에게 죽는 악녀에 빙의한 유리나 카르티아. 그녀는 여주인공보다 먼저 고아원에서 어린 서브 남주를 찾아 후원을 해 주고 제 편으로 만들기로 했다. “레이, 오늘 일을 꼭 기억해. 그리고 훗날 내가 위험에 처했을 때 넌 날 꼭 구해야 해. 오늘 내가 널 구한 것처럼.” 목표는 단 하나. 그에게 호감을 얻어서 죽지 않고 살아남는 것. 그런데……. “기억해, 유리나. 널 살릴 수 있는 것도, 죽일 수 있는 것도 오직 나뿐이야. 넌 내 곁에 있어야 해.” 개냥이인 줄만 알았던 아이가 집착남으로 자라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