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규 단편집> 최상규는 60년의 길지 않은 생애 동안, 단편 127편, 중편 15편, 장편 9편을 남긴 비교적 다작(多作)의 작가다. 그럼에도 그의 이름이 많은 독자들에게 생소하게 다가오는 것은, 한국문학사의 사각(死角)에 위치한 최상규 문학의 독특함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소설이 일반 독자는 물론 연구자들에게도 낯설게 느껴지는 이유 가운데 한 가지는 난해함에 있다. 동료 작가 강용준에 의해 “지적인 작가요 스타일리스트”라 평가받는 최상규의 소설은 실험적인 기법으로 새로운 서사 형식을 모색하는 동시에, 주제적 측면에서는 관념적이고 지적인, 인간의 존재 탐구에 몰두해 있다. 1960년대 유행처럼 번진 실존주의의 영향이 최상규 소설에서는 당대를 넘어 이후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있는데, 1970년대, 1980년대 리얼리즘 문학론을 중심으로 민족·민중문학 연구에 기울어진 우리 문학사를 돌이켜볼 때, 그의 문학이 문학사의 변방에 놓일 수밖에 없었던 저간의 사정이 이해된다. 초기 작품부터 그의 의식을 사로잡고 있는 것은 당대의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생활에 대한 반영이나 문제 해결이 아니라 존재론적이고 실존적인 문제의식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마지막 작품에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악령의 늪≫에서 작가는 인간 존재의 자유로움을 제한하고 파괴하는, 개인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부조리한 상황을 운동권 학생 ‘장리백’이라는 인물을 통해 그로테스크하게 보여 주고 있다. 문학평론가 김윤식은 ≪악령의 늪≫을 “우리 문학에서는 한 번도 도스토옙스키의 지옥을 가져보지 못했는데 그가 우리 문학에 도스토옙스키적 의미의 ‘악령’스러운 세계를 보여주었다”고 언급했다. 또한 삶의 극한상황에서 펼쳐지는 인간 내면세계의 탐구라는, 본질적이고 심오한 문제의식의 한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독자인 우리에게 최상규의 소설은 그의 작품 <모래 헤엄>의 치통과도 같다. <모래 헤엄>에서 인물의 심리적 방황의 산책은 치통으로부터 시작된다고 볼 수 있는데, 치통은 곧 인물이 느끼는 소외감 또는 실존적 불안을 드러내는 신경증의 일종이다. 갑각류의 등껍질처럼 견고해진 일상의 감각에 회의를 품게 하는 치통처럼, 일탈과 광기, 기행(奇行)으로 치달아 가는 최상규의 소설은 우리의 억압된 무의식을 자극하며 잠들어 있는 ‘자아’를 되돌아보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