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익조, 무향후
비익조, 무향후
평균평점
운명의 목_

동양시대물, 궁정물, 판타지물 ■주인공(공) : 이완_황제공, 후회공 ■주인공(수) : 연량_꽃수, 무심수, 임신수, 총명하수, 강단있수 [운명에 굴하지 않으려 했던 한 인간의 이야기.] 그는 조심스럽게 옷을 입었다. 최대한 조용하게 입으려는 의도 때문에 움직임이 크지 않았다. 옷을 걸쳐 입는 동작이 작으면서도 단정해서, 참한 반가의 규수처럼 보였다. 그러나 그가 아무리 소리를 내지 않으려 해도 천이 몸을 스치면서 내는 사부작거리는 소리까지는 막을 수 없었다. 그때마다 그는 흠칫거리며 이쪽을 곁눈질하였다. 완은 슬쩍 눈을 감았고, 자신이 잠에서 깨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안심한 그는 다시 옷을 입는 데 집중했다. 마침내 옷을 다 입은 사내가 이쪽으로 돌아섰다. 어두워서 잘 보이지 않음에도 옥색 포는 그에게 썩 잘 어울리는 듯했다. 그는 몸을 돌린 뒤 바로 움직이지 않고 엉거주춤 굳은 자세로 무얼 생각하는지 한참을 서서 그 자리를 지키고 있더니, 곧 허리를 구부리고 침상을 향해 발끝으로 걸었다. 그러다 침상에서 20여 보쯤 가까워지자 무릎걸음으로 다가와서는 공손히 무릎을 꿇고 앉았다. 완은 웃음을 참을 수 없어졌다. 시원스레 터진 웃음에 놀란 그가 고개를 번쩍 위로 들어 올렸다가 곧바로 내렸다. “재밌는 자로구나.” 중얼거리며 완은 등불의 불을 밝혔다. 깨어난 후 내내 궁금했던 사내의 얼굴이 불빛 아래 선명히 드러났다. 오밀조밀한 코와 붉고 앙증맞은 입술에 풍성하고 가지런한 속눈썹, 숱 많은 머리칼. 이목구비 하나하나 흠잡을 데 없는 용모가 조화롭게 합쳐지면서 화씨지벽(和氏之璧_화씨의 구슬이라는 뜻으로, 천하의 명옥을 이르는 말), 완벽(完璧)이 되었다. 특히나 시선을 끄는 곳은 눈이었다. 얼굴의 반은 차지할 것 같은 맑고 선한 눈망울은 칠흑처럼 까맣게 빛나, 밤하늘처럼 넓으면서도 밤하늘의 차가움보단 다감한 느낌을 주는, 아주 독특한 눈이었다. - 본문 中 -※ 본 작품은 15세이용가로 재편집한 작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