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궁인,사마달
검궁인,사마달
평균평점
천지인왕패천겁

"서막--이백 년 전. 강호무림(江湖武林)은 그야말로 사상 최악이라 말할 수 있는 혼란기에 처해 있었다. 정(正)과 사(邪)의 모든 문파가 자파의 이익과 안전에만 급급했다. 정도의 주춧돌이랄 수 있는 구파일방도 혈겁에 빠져드는 무림정세를 전혀 돌보지 않았다. 그 와중에 사파는 날로 그 성세를 더해 갔다. 소위 이곡삼문오방(二谷三門五 ), 바로 이들 집단이 중원을 피로 물들여갔다.그 밖에도 정사를 가릴 수 없는 수많은 군소방파들이 무림의 패권을 장악하기 위해 강호전역에서 혈세분란을 일으켰다.따라서 무림은 가히 춘추전국시대를 방불케 하는 지경에 처하고 말았다. 단 하루도 피가 마를 날이 없었던 것이다.그런데 이 때에 기변이 발생했다.천지인왕패천지림(天地人王覇天之林). 이 같은 말이 혼란에 빠진 무림 전역에 나돌기 시작했으니, 그것은 다음과 같은 시구(詩句)에서 연유된 말이었다.천독난비잠혈하(天毒亂飛潛血河)지검광무낙천성(地劍狂舞落天星)인혼장하무림겁(人魂掌下武林劫)제왕모계천하롱(帝王謀計天下弄)천독(天毒)이 난비하니 세상은 혈하(血河)에 잠기리.지검(地劍)은 미쳐 날뛰며 하늘의 별조차 떨구노라.인혼장(人魂掌) 아래 무림은 겁난에 빠지고,아! 제왕의 모계가 천하인을 희롱하노라.그런데 이 때 또 한 줄의 시가 무림인의 입에 오르내리기도 했다.천지인왕지세하, 중원천지경동복(天地人王之勢下, 中原天地驚動伏).천, 지, 인, 왕의 위세 아래 중원천지는 놀라 엎드리노라.이는 다름이 아니라 혼세무림에 나타난, 혜성과도 같은 다음의 네 개의 문파를 가리키는 말이었다.천독제일장(天毒第一莊).지검무회맹(地劍武會盟).인혼독패보(人魂獨覇堡).제왕일원문(帝王一元門).무릇 하늘에는 단 한 개의 태양이 빛날 뿐이다.그러나 이들 네 개 문파는 동시에 떠오른 네 개의 태양과 같이 한 시대에 무림천하를 지배했다. 이들은 일거에 수백 수천의 문파를 누르고 사방천지로 그 위세를 뻗쳐나간 것이었다.이른바 천, 지, 인, 왕이라 불리우는 이 네 세력을 가리켜 무림인들은 천지인왕패천지림이라 일컬었다. 그렇다면 과연 이들 문파는 어떤 내력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백 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에는 어떻게 되었는가?천독제일장(天毒第一莊).이는 일명 독문제일가(毒門第一家)라고도 부른다."

천외기환전

"천변만화(千變萬化)하는 것이 인생이다.삶이란 다양한 모습과 예기치 않은 변화를 내포한 채 수레바퀴처럼 굴러가게 된다. 오늘의 모습이 내일로 이어진다고 자신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때로는 갑작스럽게 내리는 소나기처럼 예측할 수 없는 운명의 굴레 속에서 부침하곤 하는 것이 인생인 것이다.<천외기환전>은 학자 집안에서 자라난 한 소년이 생각지도 않았던 무림계에 휩쓸리면서 일어나는 파란만장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차례로 찾아온 무림의 괴인들, 그들의 음모에 휘말린 그가 걷게 되는 인생은 학자의 길이 아니라 무인(武人)의 길이었다.우리는 불확실성의 시대에 살고 있다. 카오스(CHAOS)의 이론처럼 초기에는 일정한 궤도를 달리다가 어느 순간부터는 불확실한 혼돈으로 접어드는 것이 삶일지도 모른다.카오스를 설명할 때 흔히 나비이론을 들먹이곤 한다. 북경의 나비 한 마리가 팔랑거리며 날개짓을 하면, 지구 반대 편 뉴욕에서 허리케인이 일어날 수도 있는 것이 카오스의 이론이다.결국 이같은 법칙은 인과(因果)와도 같은 것이다.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는 것처럼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뜻과는 관계없이 하루아침에 방향이 바뀌는 일이 일어난다 해도 인간은 그 속에서 명분과 뜻을 세우고 살아가야만 할 것이다.본저에는 수많은 인간군상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야망에 부침하고, 사랑에 울고, 배신감에 치를 떨면서 역사를 만들어 내고 있다.감히 일독(一讀)을 권해 드린다."

천붕기협전

"등격리(騰格里) 사막.영겁의 형상을 보여주듯 사구의 구릉은 그 끝이 없었다. 또한 낮에는 불같이 뜨겁게 달아오르나 밤에는 한풍이 분다.누군가 이 사막을 사해리(死海里)라고 불렀다. 그것은 문자 그대로 죽음의 땅이란 뜻이었다.그러나 이 천형의 땅에도 초지(草地)가 있었다. 대평원을 이루는 그곳에는 이루 헤아릴 수도 없는 서장산(西藏産) 황마(黃馬)와 양떼들이 방목되고 있다.뚜-- 뚜우-- 뚜우--멀리서 고적(鼓笛)소리가 들려왔다. 이는 방목하는 양떼를 모으는 신호로써 이곳의 풍치를 한껏 북돋우기도 한다.딸랑... 딸랑....... 방울소리는 사막을 횡단하는 대상(隊商)들의 행진을 알려주고 있었다. 그들이 타고 가는 낙타의 목에서 울리는 소리다.유목민의 집단인 몽고족들은 대개 족대(族隊)를 이루어 사막을 건넌다. 이들은 양떼를 몰고 가는 무리들과 상업을 하는 대상, 두 종류로 구분되는데 낙타의 목에 걸린 채 울려대는 방울소리는 개중 후자인 장삿꾼들의 상징이다.딸랑... 딸랑... 딸랑.......방울소리는 점점 가까워지고 있었다.이윽고 드넓은 모래언덕 위에 일단의 대상이 나타났다. 인원은 약 오십여 인 정도, 낙타의 옆구리에 각종의 물건들을 짊어지게 했으며 사람은 그 옆에서 걷고 있었다.대오의 맨 앞에는 두 대의 가마가 있었다. 가마는 지역적인 특성상 낙타의 등 위에 받쳐져 있었는데 휘장도 양피였다. 앞의 가마는 크고 뒤의 가마는 다소 작았다. 역시 낙타를 탄 우람한 체구의 중년인이 이들 가마를 위시해 대오 전체를 인솔하고 있었다.그는 늠름하게 생긴 몽고인으로 양가죽 옷에 털모자를 쓰고 있었다. 피부가 구리빛인데다 부리부리한 눈을 가진 그는 타고난 신력마저 엿보여 전형적인 용사의 모습을 제시해 주는 듯 했다.그런데 문득 그가 허리를 꼿꼿이 펴며 움찔하는 기색을 보였다. 그의 눈길은 곧바로 먼 지평선을 향했다.끝없이 펼쳐진 모래언덕의 위, 아스라히 바라보이는 거리에서 그는 하나의 검은 검을 발견한 것이었다."

천무혈하록

"<세상을 온통 녹여버릴 듯이 뜨거운 불줄기를 토해내는 거대한 용(龍)의 입을 들어서면 만상(萬像)이 빛을 잃어버리고, 천지(天地)가 혼돈하여 구천구백구십구 번의 윤회(輪廻)를 거치게 된다. 그 윤회의 억겁(億劫)을 지나 불의 못에 이르게 되면 세 개의 천문(天門)을 만나게 되니... 이 문을 열어 비밀을 푸는 자 천상천하(天上天下)에 유아독존(唯我獨尊)하리라.>무허록에 나오는 기록을 해석하기 위해서 숱한 무림인들이 정력을 기울여 보았지만 아쉽게도 당대에서는 아무도 그 비밀을 푼 자가 없었다.그리고 백 년, 이백 년......."

천마성

"일검(一劍)을 들어 창공을 꿰뚫었고, 일장(一掌)을 뻗어 대해(大海)를 갈랐다. 일갈노성에 천지(天地)는 뒤집히고, 한 번 걸음을 옮기매 만마가 무릎을 꿇었다. 삼산오악(三山五嶽)이 모두 내 손에 있으니, 무림 수천년사에 나를 능가할 자 그 누구냐?백 년 전. 혈우성풍(血雨腥風)의 무림을 헤치며 한 명의 약관청년이 나타났다. 그는 천하를 굽어보며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 앞으로 이십 년 안에 저 드넓은 중원천하는 나의 것이 될 것이다. 그리고 그 힘은 능히 천 년(千年)을 가리라!광언, 아니 망언(妄言)이었다. 천하인들은 그를 비웃고 멸시하는 한편 아무도 그의 말을 믿으려 들지 않았다. 그러나 그 누가 꿈엔들 상상이나 했으랴? 그로부터 꼭 이십 년 후에 그 청년의 말은 적중하고 말았다. 청년이 무림을 휩쓸기 시작하자 그 힘은 그야말로 전무후무하고 공전절후한 대혼란을 야기시켰다. 천하의 기인이사(奇人異士)는 물론이거니와 막강한 전대의 고수(高手)들까지 청년의 일검(一劍)과 일장(一掌)에 추풍낙엽과 같이 날아가 버렸다. 아무도 그의 적수(敵手)가 되지 못하는 가운데 이십 년의 세월이 바람과 같이 흘러간 것이다. 강서성(江西省) 무이산(武夷山). 그곳에 제일봉인 천학봉(天鶴峰)을 중심으로 하여 수십 개의 봉우리를 둘러싸고 거대한 대성(大城)이 생겨났다. 사방을 둘러싼 벽의 길이만도 장장 수십 리에 달하는 웅대한 성(城), 그것은 흡사 만리장성(萬里長城)을 방불케하는 것으로 그 규모만으로도 가히 천하무림을 오시하는 듯 했다. 이름하여 천마성(天魔城)! 어디 그뿐인가? 건립 이후 팔십 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무림의 불가침의 마역(魔域)으로써 변함없는 성세를 유지해 왔는가 하면 천하의 만마(萬魔)와 만웅(萬雄)이 무릎을 꿇고 충성을 맹세함으로써 천마성은 더욱더 하늘을 찌를 듯 강대해지기만 했다. 그렇다면 전 무림을 전전긍긍 무릎 꿇게 한 장본인, 즉 이 천마성의 성주(城主)는 과연 누구인가? - 천마대제(天魔大帝) 탁무영(卓無影). 바로 백 년 전 무림에 혜성같이 나타나 독패천하(獨覇天下)를 선언한 그 청년으로 천마대제 탁무영이라면 곧 무림의 하늘(天)이었다. 오늘날 중원무림의 정점인 천마성의 주인은 곧 무공에 있어 천하제일인을 의미하는 것이며 동시에 천하제일의 거부(巨富)를 의미했다. 아니 천마성주는 천하제일의 명예(名譽)와 만능의 권위를 상징하는 것이 되었다.그런데 천마성주인 천마대제 탁무영은 언제부터인가 후계자를 물색하기에 이르렀다. 그의 천수가 다했기 때문인지,"

절대종사

" 예로부터 무림에는 수많은 이야기들이 전해 내려오고 있었다. 허무맹랑한 이야기에서부터 공포스러운 이야기, 또는 끔찍하고 엄청난 혈록(血錄)에 이르까지... 그러나 지금부터 시작하려는 이야기만큼 무림인들의 심금을 울리는 이야기는 드물 것이다.일생을 피로 점철된 생애(生涯)를 살아온 한 대마두(大魔頭)와 천진무구한 어린 소년(少年)의 만남은 정녕 북두칠성이 일렬로 늘어서는 것보다 더 어려운 만남이었다. 대마두와 한 소년의 만남,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순수한 인간애과 갈등, 그리고 복수(復讐) 아닌 복수의 피무지개! 이야기는 저 북쪽의 한천강(恨天江)을 기점으로 전개된다."

웅풍독패존

"군마천웅보의 첫장부터 차례로 적혀있는 이 아홉 명의 개세고수들! 그들의 무공은 능히 천하를 뒤집고도 남음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더욱 더 엄청난 사실이 있었으니 그것은 이 아홉 명이 출현한 시기였다. 하늘의 뜻이었던지 이들은 놀랍게도 모두 동시대(同時代)에 출현한 것이다. 한 나라에 두 왕(王)이 설 수 없으며, 한 산(山)에 양호(兩虎)가 살 수 없는 법(法)이다. 그렇다면 이들 아홉 명의 개세고수들이야말로 더욱 공존(共存)할 수 없는 것이 아닌가? 과연 그들은 격돌했다. 그것은 파란만장한 일대 소용돌이를 일으켰으며 천지간에 대혈풍(大血風)을 일으킨 고금미증유의 대사건이었다. 그런데, 그들은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지고 말았다. 그것은 강호인의 상상을 절하는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그 날 이후, 오리무중(五里霧中)에 싸인 구대마왕(九代魔王)이라고도 불리워졌던 그들은 무림에 영원히 종적을 감추고 말았다."

용비봉무

"여기 설정된 용소군이란 인간은 황족으로 태어났으되 그가 태어났을 때는 이미 황가가 멸망한 후였다. 결국 그는 황족이면서도 아무런 혜택도 입지 못하고 보통 사람보다 훨씬 고통스런 삶을 보내게 된다.그가 자신의 과거를 알았을 때는 너무나 큰짐을 인생의 무게에 보탤 수밖에 없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과연, 과거로 되돌아가는 것만이 그의 생애의 목표가 되어야만 하는가? 용소군은 해답을 찾기 위해 방황한다. 중원십팔만리를 유랑하며 그가 찾은 해답은 무엇이었던가? 결국 평화(平和)라는 답을 얻게 된다.기라성같은 기인이사(奇人異士)들, 기남기녀(奇男奇女)들 속에서 그는 풍진을 헤쳐 나가며 자신의 길을 찾는데 성공한다.현대인은 이런 대명제(大命題)를 안고 있지 않다는 데서 점차 소인화(小人化)되가고 있는 것이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소설적 공간을 빌어 한 인물을 그려보았다. 소인이고 싶지 않으므로."

십절무록

"우르르릉-- 쾅--!가도 가도 끝이 없는 대막(大漠)의 황원(荒原).느닷없는 섬전비뢰(閃電飛雷) 아래 하나의 거성(巨星)이 모습을 드러냈다.이름하여 금룡성(金龍城)이다.누군가 말했다. 하늘에 태양이 있고 중원(中原)에 천자(天子)가 있다면 대막에는 금룡성이 있다고.그만큼 금룡성의 존재는 대막에서 살아있는 신화이자 영원히 지지않는 태양으로 일컬어져 왔다.그러나 암흑 속에서 드러나 보인 금룡성은 그렇지가 못했다. 지난 날의 영화를 비웃기라도 하듯 찬란하던 웅자(雄姿)는 다 어디로 가고 믿을 수 없게도 폐허(廢墟)로 화해 있는 것이었다.중원무림의 역사가 이어져 내려온지도 어언 천수백년, 그 동안 대막의 하늘로 군림해 오던 금룡성은 철저히 붕괴되어 그 무참한 잔해(殘骸)만을 보여주고 있을 따름이었다.누가? 왜? 어찌하여 금룡성을 그토록 초토화에 이르도록 궤멸시켜 버렸는지는 아무도 알지 못했다. 무림사(武林史)를 기록하는 사관(史官)이 있다면 아마도 다음과 같이 적으리라.- 꽃은 십일을 붉지 못하고(花無十日紅), 권세는 십년을 가지 못하나니(權不十年) 천하에 그 누가 유아독존(唯我獨尊)을 말하랴?"

십전서생

"광풍사(狂風社).지금으로부터 삼십 년 전, 아득한 북방의 사막에서 일대광풍이 불었다. 아니 그것은 혈풍(血風)이었다. 왜냐하면 당시 대막 일대를 주름잡던 두 개의 단체, 즉 대막천궁(大漠天宮)과 사혼방(沙魂 )이 그로 인해 흔적도 없이 멸망했기 때문이었다. 그날 이후로 작금에 이르기까지 대막은 침묵만이 지배하는 마역(魔域)이 되고 말았다. 살아있는 것은 눈을 씻고 봐도 볼 수 없는 죽음의 사막이 되고 만 것이다.아쉽게도 그 원인이나 배경에 대해서는 세간에 전혀 알려진 바가 없었다. 다만 결과가 너무도 끔찍한지라 그 사건은 오랜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무림인들의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고 있을 뿐이었다. 세인들은 당시의 혈풍을 일으킨 신비의 세력을 일컬어 광풍사(狂風社)라 불렀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광풍사의 실체는 여전히 드러나지 않고 있었다. 과연... 공포와 죽음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는 광풍사의 정체는 무엇이길래......?"

만겁무황전

무협소설은 고전적인 정서에 바탕을 둔 픽션이다. 『만겁무황전』은 은(恩)과 원(怨)이라는 전형적인 주제를 다루게 된다. 현대에 이르러 은원이란 단어는 생소하게 들릴지도 모르나 고래로 인간만큼 은원에 집착한 동물은 없을 것이다.대장부는 은원이 분명해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은원을 분명히 할 수 없는 경우가 때로는 존재할 것이다. 거기에서 인간은 갈등을 일으키게 될 것이다.서장(西藏)의 포달랍궁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한 꿈많은 소년의 일대기는 복수할 수 없는 대상을 상대로 복수검을 갈아야 하는데서 출발하게 된다.인간의 탐욕(貪慾)이 소년의 꿈을 짓밟고 피눈물을 자아내게 했지만 그의 사랑은 결국 승리를 쟁취하게 된다. 정도 사도 등을 돌린 현실 앞에서 한 소년영웅이 외롭게 걸어가는 길은 오늘날 현대인의 불분명한 정의감과 모호한 자기주관 앞에 하나의 좌표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등천비마록

활 한번 잡아보지 못한 장군부의 소년 귀공자 백리장천은 어느날 명문공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활쏘기 시합을 벌이게 된다. 호승심으로 전설의 태리공을 잡은 그는 관중의 묘기를 보이면서 파란만장한 운명의 장을 연다. - 그럼 내가 장군의 아들이 아니었단 말이오?- 그렇다면 지금까지의 난...무엇이었단 말이오?새롭게 밝혀진 신세로 반전에 반전은 거듭되고!마침내 무인의 길로 접어든 그의 앞에는 피의 선풍이 소용돌이친다. 초인의 길만이 그가 걸어야 할 길인가?절색의 미녀들이 뿌리는 눈물과 교태 속에서 복수의 행진은 끝이 없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