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윤
김희윤
평균평점
안경 여드름 돼지

“우성아, 난 오늘 결심한 게 있어.” “뭔데, 인마.” 덕구는 간만에 초롱초롱한 눈이 되어 이야기했다. “여자친구를 만들 거야!” 지상의 수많은 오타쿠들과 별반 다를 게 없는 자, 오덕구. 모태솔로이기도 한 그에게도 마음에 품은 사람이 있다. 과연 덕구는 모태솔로를 탈출할 수 있을까?

빠르게, 카운터 펀치

‘굿윌헌팅’을 잇는 감동적인 성장 드라마, 빠르게, 카운터 펀치! 강은구. 금성중학교 2학년으로 주먹으로는 학교에서 대항할 자가 없다. 선배든 후배든 그의 주먹 앞에서는 무기력하기만 하다. 걸핏하면 ‘기분 나쁘게 쳐다봤다’는 이유로 주먹질을 하고 교무실에 불려가는 것이 그의 일상이다. 집은 은구의 거울이다. 유복자로 태어난 은구를 임신했을 때, 은구의 엄마는 지금의 아빠를 맞아들였다. 그의 계부는 사업의 실패로 알코올 중독이 되었고, 술을 마시거나 폭력을 행사하거나 둘 중 하나가 그의 일과가 된 사람이다. 그러던 어느 날, 노점을 운영하며 근근이 먹고 사는 그의 집에 벌어져서는 안 될 일이 벌어졌다. 계부의 폭력으로 엄마가 세상을 등지고 만 것이다. 방황하는 은구에게 빠져나올 수 없는 ‘늪’같은 대화로 힘을 실어주는 멘토, 박신재 선생님. 증오와 울분, 세상에 대한 분노로만 가득한 은구. 그에게 매일같이 담임선생님이 찾아온다. 선생님은 은구와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어가며 내면에 감춰둔 이야기를 끄집어내고, 조금씩 드러나는 감정들을 은구에게 인지시키며 스스로 치유할 수 있도록 발돋움을 만들어 준다. 그리고 한 번도 패한 적이 없다는 은구의 주먹질을 스포츠로 승화시켜줄 의향으로 복싱을 권해보는데. 은구는 복싱을 통해 그동안 외면했던 자기 자신과 과거를 되돌아보며, 폭력과 스포츠 사이의 아슬아슬한 경계선 위를 걷는다. 링 안에서 상대에게 제압당하는 순간 계부로 인한 상처가 떠올라 자제력을 잃은 폭력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그는 선택에 기로에 선다. 뒷걸음질 치거나, 앞으로 나아가거나. 은구는 앞으로 새로운 세상을 꿈꿀 수 있을까?

합본 | 빠르게, 카운터 펀치 (전2권/완결)

<합본 | 빠르게, 카운터 펀치 (전2권/완결)> ‘굿윌헌팅’을 잇는 감동적인 성장 드라마, 빠르게, 카운터 펀치! 강은구. 금성중학교 2학년으로 주먹으로는 학교에서 대항할 자가 없다. 선배든 후배든 그의 주먹 앞에서는 무기력하기만 하다. 걸핏하면 ‘기분 나쁘게 쳐다봤다’는 이유로 주먹질을 하고 교무실에 불려가는 것이 그의 일상이다. 집은 은구의 거울이다. 유복자로 태어난 은구를 임신했을 때, 은구의 엄마는 지금의 아빠를 맞아들였다. 그의 계부는 사업의 실패로 알코올 중독이 되었고, 술을 마시거나 폭력을 행사하거나 둘 중 하나가 그의 일과가 된 사람이다. 그러던 어느 날, 노점을 운영하며 근근이 먹고 사는 그의 집에 벌어져서는 안 될 일이 벌어졌다. 계부의 폭력으로 엄마가 세상을 등지고 만 것이다. 방황하는 은구에게 빠져나올 수 없는 ‘늪’같은 대화로 힘을 실어주는 멘토, 박신재 선생님. 증오와 울분, 세상에 대한 분노로만 가득한 은구. 그에게 매일같이 담임선생님이 찾아온다. 선생님은 은구와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어가며 내면에 감춰둔 이야기를 끄집어내고, 조금씩 드러나는 감정들을 은구에게 인지시키며 스스로 치유할 수 있도록 발돋움을 만들어 준다. 그리고 한 번도 패한 적이 없다는 은구의 주먹질을 스포츠로 승화시켜줄 의향으로 복싱을 권해보는데. 은구는 복싱을 통해 그동안 외면했던 자기 자신과 과거를 되돌아보며, 폭력과 스포츠 사이의 아슬아슬한 경계선 위를 걷는다. 링 안에서 상대에게 제압당하는 순간 계부로 인한 상처가 떠올라 자제력을 잃은 폭력성이 나타나는 것이다. 그는 선택에 기로에 선다. 뒷걸음질 치거나, 앞으로 나아가거나. 은구는 앞으로 새로운 세상을 꿈꿀 수 있을까? 상처 없는 사람은 없다. 누구나 상처를 지니고 살아간다. 자신으로 인한 것이든 타인으로 인한 것이든 그 출처에 관계없이 사람은 누구나 상처를 가지고 살아간다. 얼마나 큰 상처를 가지고 있는지 그래서 누가 더 불행한지, 겨룰 수 있는 문제도 아니고 그럴 가치도 없다. 하지만 상처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개인의 의지에 달려있다. 은구는 자신이 원해서 불행하게 자란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그것을 뛰어넘기 위해 노력한다. 선생님의 도움이 있었지만, 그의 조언을 받아들이느냐 마느냐 하는 선택은 온전히 자신의 몫이다. 과거의 상처를 딛고 한 단계씩 성장하는 은구의 모습을 보면서 독자들도 그와 함께 개인적인 트라우마를 뛰어넘는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불현듯 사랑한다는 것

<불현듯 사랑한다는 것> ▶ 사랑의 향기를 느껴볼 수 있는 소설 누구나 사랑을 겪어본 적이 있다.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하고 사랑에 대한 갈망과 애착, 후회, 애증 등 갖가지 감정의 소용돌이를 겪고 난 인간만이 사랑을 잃은 뒤에야 자신을 성찰할 수 있게 된다. 집착과 미련으로 점철된 젊은 날 떠나간 이를 잡을 수조차 없어 후회하는 이들의 정서를 공감하고 위로해줄 수 없을까하는 생각으로 기록된 언어들이다. 독선적인 모습으로 나타나는 사랑, 그 겉껍질을 벗겨내고 나면 내면에 숨어있는 거대한 감정의 알맹이를 삼킬 줄 몰라 내뱉기만 하던 우리의 뼈아픈 자화상이자 후회다. ▶ 감정을 전해주는 소설 사람은 누구나 후회라는 감정을 느끼지만 그것을 구체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 이들일수록 소설을 매개로 스스로를 객체화할 수 있어야 한다. 온전하지 못한 자신을 돌아보고 난 뒤에야 가슴에 큰 울림이 있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감정이입은 참으로 유용하다. 감정은 사람을 조종한다. 누구든 자신이 감정을 제어한다고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실은 감정에 따라 하루가 어떠한 방향으로 흘러갈지 알 수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매일 어떤 감정을 생성해내고 그 촉발된 감정을 가지고 어떠한 삶을 살아가느냐가 관건인 셈이다. 소설의 목적은 어떤 깨달음을 주거나 교화를 가져다주는데 있지 않다. 흥미를 위주로 인간의 갖가지 감정을 가져다주면 그만이다. 소설적 허구는 피로한 현대인들의 일상에 촉촉한 단비가 되어주고 정서적 변화를 불러일으킨다. 그렇기 때문에 텍스트는 술술 읽히면 그만이고 한 사람이라도 더 읽어주어 꾸준히 글의 활기를 되찾아가는 일이 소설의 본질이다. 필자의 손을 떠난 글은 이제부터 독자가 주인이 되는 셈이다. 양껏 먹고 마음껏 혼내주시길! 이 책이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얼마나 많은 정서상의 변화를 가져다줄지는 쉽사리 단언할 수 없지만, 필자의 부족함과 그로 인해 빚어진 몇몇 오류에 대해서는 너그러움을 발휘해주시길 기대하는 바이다. 또한 수면 아래로 가라앉지 않도록 성원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