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금 피폐 소설 속 흑막의 시한부 아내로 빙의했다.하필 있는 듯 없는 듯 조용히 살다가 시한부인 걸 밝히고 흑막의 앞에서 독약을 먹고 스스로 숨을 거둬 트라우마를 안겨준 아내라는 게 문제점이다.‘이혼 각이다.’싫은 짓만 골라 하다가 이혼해달라고 하고, 편안한 노후를 맞이하는 거야!“내일도 날씨가 좋았으면 좋겠어요. 매일 날씨가 맑으면 더 좋을 거 같고요.”흑막 남편의 옆에 찹쌀떡같이 달라붙어 재잘거리고,“죄송해요. 제가 손재주가 없어서. 만지는 것마다 다 망가져 버리네요.”손대는 것마다 망치는 재주가 있다고 자랑하고,“제가 싫으신 거 저도 잘 알아요. 콜록… 하지만 그래도… 콜록… 이렇게 같이 있어 주시면 안 되나요?”끝으로 선천적으로 몸이 약한 것을 기반 삼아 아픈 연기를 완벽히 해냈다.***하지 말아줬으면 하는 것들을 다 골라서 하니 이제 날 꼴 보기 싫어할 게 분명해서 먼저 휴양지로 튀었다. 그리고 시한부라는 걸 밝히는 편지와 함께 이혼 서류를 공작가로 보냈다.편지를 보낸 지 며칠이나 됐다고 내 앞에 무릎을 꿇고 눈물을 흘리는 공작이 보였다.“부인만큼은 절 떠나지 않을 거라 한편으로 믿고 있었습니다. 그게 제 오만함에서 비롯된 것이었습니다.”“공작님?”“부인께서 원하시는 건 다 들어드릴 테니 제발 다시 돌아와 주시면 안 되는 겁니까.”왜 갑자기 어울리지도 않게 후회 남주 루트 타세요, 흑막님? 안 그러셔도 돼요!“제 의도는 그런 게 아니었어요. 공작님. 다만, 제가 시한부 판정을 받은 지 얼마 안 돼서 계속 옆에 있으면 그것대로 민폐가 될 것 같아서…….”말끝을 흐리자 그가 흠칫하며 눈이 살짝 커졌다.그리고는 곧장 내 손등에 제 이마를 지그시 누르며 나지막이 말했다.“부인께서 돌아가시면 사용인들과 함께 저도 따라가겠습니다.”……네? 저, 순장 반대하는데요.저승길 동무로 사용인들까지 불러드릴 느낌이라 벌써부터 오싹해졌다.“그러니 제발. 절 버리지 말아 주십시오. 부인.”아니. 그것보다 저 안 죽어요! 시한부 벗어났다니까요!어쩐지 일이 많이 꼬여버린 거 같다?!
19금 피폐 BL 소설 속 병약수의 시한부 누나로 빙의했다. 병약수를 괴롭히다가 집착 광공의 손에 죽을 밀레니아로. 문제는 미래를 바꾸려고 노력해 보기도 전에…… “인사하렴, 밀레니아. 네 새아버지와 동생이란다.” 벌써 어머니가 재혼해 버리고 말았다는 것이다. 게다가 빙의 전의 밀레니아는 이미 병약수를 괴롭힐 대로 괴롭혀 버린 후. “역시, 기억을 잃어도 누님은 변하지 않는군요. 조금은 달라졌을 거라 기대한 제가 바보 같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별말도 하지 않았는데 병약수는 나를 향해 싸늘하게 조소해 왔다. ……억울하다. 빙의를 해도 왜 하필 이 타이밍에 하는 거야? ‘미치겠네, 진짜!’ * * * 어차피 내가 시한부로서 죽은 뒤에야 나올 치료제다. 즉, 나는 이러나 저러나 오래 살 길이 없다는 뜻. 그렇다면 이왕 이렇게 된 거, 원작 구경이나 실컷 하다 죽어야 원이 없지 않겠어? 아직 집착 광공이 등장하려면 시간이 꽤 남았다. 그 전까지 병약수와의 호감도를 착실히 쌓아 원작의 VIP 관람석 자리를 맡아 놓아야지. 그런 생각에서 나를 향해 가시 세운 고슴도치처럼 까칠하게 구는 병약수에게 상냥하고 친절하게 대해 주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그의 행동이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했다. 급기야…… “별장으로 떠나신다고요? 아뇨, 가실 수 없습니다. 누님은 돌아가실 때 돌아가시더라도 제 품에서 돌아가셔야 하니까요.” 어째 곧 눈물이라도 맺힐 듯 붉어진 눈매를 한 채, 나를 향해 저리 말하기까지. ……대체 어쩌다 일이 이 지경이 된 걸까?
로판 소설 속 악녀에 빙의했다. 그것도 여주를 괴롭히다 입양 딸 자격도 박탈당하고 늙은 귀족에게 팔려 가듯 시집가는 악녀, 이사벨로. 다행히 원작이 시작되기 한참 전인 상황! 이제라도 행실을 바르게 해 악녀처럼 행동하지 않겠다고 다짐했건만, 그 다짐이 무색하게 이 집안, 상당히 콩가루다! 이대로라면 능력이 숨겨진 채 착취당하며 살아갈 가시밭길 미래가 그려지는데…. ‘절대 안 돼.’ 착취하려는 가문에서 벗어날 유일한 방법. 그건 저주를 풀고자 하는 남주의 형, 테오도르와의 계약 결혼뿐이었다. 그렇기에 에이버렛 공작이 후작가를 방문했을 때, 필사적으로 붙잡은 것과 동시에 소리쳤다. “치유 능력 있으니까 저주 풀 수 있어요.” 물론 비장한 표정으로 가장 중요한 말을 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불만족 시, 상시 이혼 가능.” 그렇게 빛보다 빠르게 계약 결혼을 달성한 건 좋았는데…. *** “쥐 밤톨만 한 게, 어린애가 그런 말 하는 거 아니다.” 냉정하다고 알려진 남주의 아빠도. “착각하지 마. 그냥 형 옆에 다른 사람이 있는 게 싫어서 인정해 주는 거니까.” 누구보다 형을 가장 믿고 따른다고 알려진 세계관 최강자 남주도. “놓아달라고 한다면, 그것만큼은 들어드리지 못할 것 같습니다, 부인.” 꿈도 희망도 없던 남주의 형까지 모두 나를 싫어하지 않는다? 나, 이대로 무사히 이혼할 수 있을까?
「부디 당신은 저와 같이 근무 수칙을 우습게 보지 말기를 바랍니다. 할 수 있는 한, 빨리 이 저택을 떠나시고 근무하시는 내내 모든 수칙을 지키십시오.」 「<로제피나 가문의 근무 수칙> 제3항. 한밤중 피아노 연주가 들린다면, 그곳으로 가까이 가지 마십시오.」 본능처럼 입안의 여린 살을 깨물며, 침착하려던 그때. [어. 디. 있. 는. 거. 야?] ‘그것’의 목소리가 피아노 연주 소리를 비집고 들려왔다. 직감으로 알 수 있었다. 멀지 않은 곳이라는 것을. [아래층으로 와.] [네 먹이는 우리 앞에 있어.] [해가 떠오르기 전에 어서 이곳으로 와.] 이번엔 벽면을 가득 채운 초상화 속의 ‘그것’들이 키득거리며 웃다가 조언을 시작했다. [거. 기. 있. 다. 고?] 더는 망설일 이유가 없다. ‘그것’에게 발각된 이상, 죽기 살기로 도망치는 수밖에 없다. 「한 가지 더. 이런 말 할 주제는 안 된다고 생각하지만, 마지막으로 조언하겠습니다. 살고 싶다면, 제물을 선택하세요. 수칙을 지키더라도 위험은 반드시 따라올 겁니다. 그렇다면 차라리 당신들을 대신해 ‘그것’에게 희생될 사람을 선택하십시오.」 문장을 다 잇기도 전에, 문이 벌컥 열렸다. [찾. 았. 다.] ‘그러니 부디 살아남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