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에는 서재에서 남편의 첫사랑이 보낸 편지를 찾았다. [나는 네 짝이 클로에였으면 좋겠어. 네가 클로에의 옆에 있어 준다면 난 너무 안심이 될 거야. 추신. 그 아이가 널 좋아한다는 건 너도 눈치챘지?] 다정한 남편, 사랑스러운 아들과 행복한 나날을 보내던 후작 부인 클로에. 서재에서 남편의 첫사랑, 레일라가 보낸 옛 편지를 발견하던 날. 그녀의 행복은 산산조각이 나고 만다. 알고 보니 레일라가 남편, 제라드에게 클로에와의 결혼을 종용했던 것. 남편을 깊이 사랑하는 클로에는 8년 만에 알아 버린 진실에 절망한다. 결국 사건의 전말을 알고자 그녀는 레일라가 살고 있는 북부로 향하는데……. * “부인, 제가 잘못했습니다. 제가 정말 잘못했어요…….” 고고한 후작 제라드 블란쳇이 제 아내에게 무릎을 꿇은 채로 빌었다. 슬픔의 끝까지 내몰린 경험으로 이미 그는 제정신이 아니었다. 스스로가 무슨 말을 하는지도 모른 채 아내에게 매달려 용서를 구할 뿐. “그러니까…… 버리지 마세요, 예? 클로에, 제발…….” 애달프게 울며 매달리는 이 남자. 도대체 그의 진심은 무엇일까.
“황제께 알려라, 내가 왔다고.” 황녀는 죽으라고 보낸 전쟁터에서 전쟁영웅이 돼 돌아왔다. 그러나 그녀에게 돌아온 건 유배지 같은 작위였다. 예상했던지라 실망하지도 놀라지도 않았다. 다만 갈 땐 가더라도. “망국의 왕자를 제게 주십시오.” 눈앞에 아른거리는 그것을 챙겨가야 했다. “혹 압니까? 그가 폐하께서 7년 동안 바라왔던 제 죽음을 가져다줄지.” * * * 주인과 전리품. 또는 대공과 그의 정부. “춥고 아무것도 없는 북부에서 나를 즐겁게 해 주는 게 네 역할이지. 낮에도 시중들고, 밤에도 시중들고. 뭐 그리 어려울 건 없는 일이야.” 분명 로잘린과 시온느의 관계는 그렇게 정립되어 있었다. 한순간에 그녀가 28살에서 21살이 되기 전까지는. “어떻게… 나를 이리 쉽게 내칩니까, 로잘린.” 그가 가증스러운 연기를 시작하기 전까지는. 표지 : 르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