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이 피폐해진 주인공 로한이 햇살처럼 밝고 다정한 성녀에게 마음을 위로받으며 사랑을 키워나가는, 한 로맨스 판타지 소설 속에 빙의해 버렸다. 그것도 주인공을 피폐하게 만드는 원흉이자, 신전에 의해 봉인 당하는 타락한 마검으로. “나중에 네가 검을 필요로 하면, 내가 네 검이 되어 줄게.” 지키지 못할 약속까지 해가며,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다 잃고 떠돌아다니게 된 주인공을 거두어 신전에 가기 전까지만 돌보기로 하는데. 어느샌가 육아는 진심이 되고 말았다. *** “아르펠이 계속 나랑만 있었으면 좋겠어요…….” 속삭이는 듯한 작은 목소리였음에도 불구하고 아르펠은 어느 때보다 로한의 말을 선명하게 들을 수 있었다. 어쩐지 가슴이 빠듯하게 차올랐다. 이유를 알 수 없는 충족감이었지만 어찌 됐든 로한으로부터 비롯된 감정이니 달갑게 받아들였다. 빵빵한 볼을 손가락으로 꾹 찔렀다. 이런 걸 귀엽다고 하는 것 같다. 손가락으로 살살 누를 때마다 쿡 들어가는 볼살을 몇 번이고 만지작거렸다. 자꾸만 볼을 건드리자 로한이 어깨에 묻고 있던 고개를 홱 들었다. 아무런 말도 하지 않았지만, 아르펠은 어쩐지 로한의 시선이 ‘아르펠은요?’하고 묻고 있는 것 같다 느꼈다. 이제는 로한을 따라, 제법 자연스럽게 옅은 미소를 머금을 수 있게 된 아르펠이 답했다. “나도. 너랑만 있었으면 좋겠어, 로한.” 내게 의미 있는 존재는 너뿐이야.
* 키워드 : 현대물, 다공일수, 미남공, 미인공, 울보공, 까칠공, 집착공, 광공, 복흑/계략공, 재벌공, 상처공, 존댓말공, 미인수, 평범수, 츤데레수, 재벌수, 얼빠수, 차원이동/영혼바뀜, 오해/착각, 질투, 수시점 [빙의 프로젝트가 시작됩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시스템에 의해 고수위 피폐 BL 소설 <네버 엔딩>의 백서한으로 빙의했다. 한데 원작수를 괴롭히다가 죽임당하는 서브공이라고? [주의! 싱크로율 수치가 극도로 낮습니다. 몸이 돌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심지어 가끔씩 이전의 ‘백서한’에게 몸도 빼앗긴단다. 일단 살기 위해 원작수 이도훈의 노예 계약서를 없애고 싱크로율을 올리기 위해 ‘백서한’답지 않은 착한 일을 하는데……. 이상하게 뭔가 할 때마다 잘생긴 남자들이 꼬인다? “내가 무서워요? 왜지? 무서울 만한 짓은 아직 안 했는데.” “날 여기에 가둬 두고, 밖에서는 진연오와 놀아나니 좋았나?” “흐으…… 제가 일부러 그런 게, 흡, 아닌데. 저도 예뻐해 주시면 안 돼요……?” ‘왜 내 주변에는 다 미친놈들밖에 없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