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매의 강남 산수 유람시> ≪원매의 강남 산수 유람시≫는 “성난 물결이 산처럼 솟구치는데, 외로운 나룻배에 나는 홀로서 간다(水怒如山立, 孤篷我獨行)”는 강인한 용기와 “목숨을 내던져 산 오르는 일과 맞바꾸려 했으니, 위험을 만났어도 어찌 그만둘 수 있겠는가!(拼將命換山, 遇險那肯止!)”라는 굳센 의지로 길 위에 나서기를 주저하지 않았던 중국 청나라의 원매(1716∼1798)가 강남 산수를 유람하고 지은 시들을 선별해 엮은 책이다. 회재불우(懷才不遇)한 중국의 전통 지식인처럼 재능은 출중했지만 지방의 현령으로 전전해야 했던 원매는 일찍부터 벼슬에 환멸을 느끼고 남경(南京)에 수원(隨園)이란 주택과 정원을 가꾼 뒤에 그곳에서 살며 전업 작가의 길을 걸었다. 그는 개성이 강하고 주관이 뚜렷해서 유교적 예교주의 전통에 반기를 들고 인간의 자유로운 정욕(情欲)을 긍정했으며 시에서도 시인의 감정을 진솔하게 펴낼 것을 주장하면서, 정교(政敎) 상의 효용을 강조하던 당시의 보수 시단을 비판했다. 나아가 당시 지식인들은 거의 꿈꿀 수 없었던 여제자들을 직접 거느리면서 그들을 격려해 주기 위해 자신의 저술에 그들과 관련된 언론을 남겼고, 또한 그녀들의 시를 모아 시선집을 편찬해 주기도 했다. 이처럼 반전통적인 시론과 대담한 행동은 당시 시단에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키면서 성령시파(性靈詩派)를 형성하기도 했다. 그런데 우리가 원매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또 다른 특이한 점은 바로 그의 유람벽(遊覽癖)이다. 그가 21세 때 숙부를 만나기 위해 강소성 남경에서 광서의 계림까지 장거리 출타를 한 적이 있는데 이것이 그의 긴 여정의 시작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중장년 시절에도 남경 주변 등지로 자주 유람을 나섰지만 더욱 주목할 만한 점은 당시로서는 완전한 노년이라고 할 수 있는 67세 때 절강성으로 장기간 원거리 유람을 떠난 것을 시작으로 안휘성, 강서성, 복건성은 물론 더 멀리 광동성, 광서성까지 다섯 차례 이상 유람을 나섰다는 점이다. 기간도 몇 개월씩 소요되었으며 심지어는 1년 이상 걸린 유람도 있었다. 원매의 유람벽은 어디에서 기인한 것일까? 그리고 무엇이 그로 하여금 그토록 유람에 신명이 나도록 했을까? 첫째로는 당시 문인들에게 보편적으로 인식되었던 독만권서(讀萬卷書), 행만리로(行萬里路)의 관념 때문이었을 것이다. 지식을 광범위하게 축적하는 것 이외에도 직접 눈으로 보고 체험해 견문을 넓히는 것이 문학적 상상력을 발휘하고 창작 구상을 민첩하게 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그로 하여금 산천을 유람하도록 강하게 이끌었던 것이다. 다음으로는 원매 본인의 자유분방한 기질, 아름다움을 향유하고자 하는 강렬한 욕구, 새로운 문물에 대한 호기심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해 그로 하여금 유람을 나서도록 재촉했을 것이다.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는 자유분방한 기질과 개성은 그를 수원동산에서 유유자적하도록 내버려 두지 않았다. 또한 자연 산수의 이면에 존재하는 아름다움을 그 누구보다 사랑하고 맘껏 누리고 싶어 하는 강렬한 욕망이 그를 집 밖으로 나서도록 이끌었다. 그리고 명성은 익히 들었지만 직접 눈으로 보지 못한 명승지들에 대한 참을 수 없는 지적 호기심이 어떤 난관에도 불구하고 직접 현장에까지 이르도록 그를 견인했을 것이다.
<원매 산문집> 2009년 국내에 처음 소개된 원매의 산문집을 개정 보완했다. 산문 한 편 안에서는 생략되는 내용 없이 전 편의 내용을 담고, 당시 소개하지 못했던 작품을 추가했다. 청나라 중기의 문인 원매는 조용히 은신하는 삶을 산 것이 아니라 ‘마음 가는 대로’ 자신이 좋아했던 것을 펼치고 살았던 이채로움을 가진 인물이었다. 이 책은 원매를 읽어 가는 가장 중요한 밑절미인 ‘감정’을 움직이는 산문들과 원매의 취미나 학술 연구, 그리고 삶의 지향점들을 느낄 수 있는 대표적 산문들을 선별해 원매의 다양한 글을 맛보는 데 손색이 없도록 구성했다. 원매의 자유로운 사상을 통해 지금까지의 중국 고전에서 느껴보지 못한 색다른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깊이 병든 데카당스와 감추어진 가능성의 인물, 원매 일본의 중국 문학 연구자인 이나미 리쓰코(井波律子)는 ≪중국의 은자들≫에서 그에 대해 “깊이 병든 데카당스와 감추어진 가능성에 대한 과감한 도전, 평생 이 양극단을 오간 원매는 중국의 수많은 은자들 중에서도 유난히 스케일이 크고 일종의 요기를 발산하는 괴물 은자”라고 평가했다. 그녀의 평을 통해서 우리는 원매라는 인간이 가진 이채로움을 충분히 실감할 수 있다. 그녀는 두 가지를 축으로 원매의 인생을 갈무리하고 있다. 우선 깊이 병든 데카당스는 원매가 호화로운 원림, 곧 수원(隨園)에서 거듭 만찬을 열어 강남 명사들과 교류하고 수많은 첩을 거느리며 호사스러운 생활을 했던 것, 그리고 전통 사회에서 서른 명이 넘는 여제자를 두었던 것과 여색뿐만 아니라 남색 또한 즐기며 화려한 애정 행각을 벌였던 그의 인생을 함축하는 것일 테다. 사실 이나미 리쓰코는 양극단의 또 다른 축으로 감추어진 가능성에 대한 과감한 도전을 거론하지만, 깊이 병든 데카당스에는 어느 때건 또 다른 탈주를 감행할 무궁한 가능성이 잠재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그렇다면 원매의 당시 전통에 대한 부정, 사회적 금기에 대한 거부의 정서는 그런 점에서 그의 과감한 도전이면서 동시에 데카당스로 간주될 수 있는, 역시 원매를 구성하는 질료들이다. 18세기 중국 사회에서 원매는 어느 쪽으로건 쉽게 계열화될 수 없는 인물이었다. 원매의 다양한 글들을 두루 접할 수 있는 진정한 선집 옮긴이는 자신의 눈물샘을 자극하는 글들, 원매의 체온을 느낄 수 있는 글들을 주된 선정의 기준으로 삼았다. 옮긴이가 자신 있게 추천하는 글은 ‘사랑과 그리움…’ 편에 담긴 것들이다. 원매의 산문은 2009년 국내에 처음 소개된 이후 국내에서도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이 책은 길잡이의 역할도 떠맡아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진 글들,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평가된 글들도 함께 선정했다. 더불어 적은 분량의 책이나마 원매의 글을 맛보는 데 손색이 없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글들을 소개하는 데에도 주의를 기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