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우화 컬렉션 : 심신 편 (총3권)> - 픽사, 디즈니를 뛰어넘는 상상력을 우리 옛 우화 소설 속에서 만난다 - 서울대학교 등 전국 주요 대학 필독서와 접하기 어려운 희귀 작품이 한가득! - 그동안 어려웠던 우리 옛 우화 소설을 더 쉽게 풀어내 읽는다 우화 소설은 동식물이나 기타 사물에 인격을 부여하고 당대의 사회제도, 이념, 풍습 등을 풍자해 사람들에게 교훈을 준다. 가전체 소설, 의인 소설 등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같은 것이라 보면 된다. 동물을 의인화한 민담이나 설화 등은 오래 전부터 전해 왔다. 기록 문학으로서는 신라의 설총이 지은 「화왕계」부터 1천여 년 동안 다양한 작품이 태어났다. 양반 사회의 가치관, 윤리, 권위 등이 무너지는 조선 후기에는 한글 작품까지 나오며 우화 소설이 가장 활발히 창작되었다. 그러다 일본에게 국권을 강제로 뺏기는 1910년 전후로 점점 쇠퇴한다. 힘든 현실 속에서 세태를 풍자하는 소설이 살아남기에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 소설을 자유롭게 짓기에는 우화라는 틀이 너무 좁았다. 그러나 이후 100년을 넘겨 어느 때보다 창작이 중요해진 오늘날, 우리 옛 우화 소설은 그 발상과 소재 면에서 되짚어 봐야 할 소중한 자산이 되어 있다. 임제의 「수정지」 등 사람의 감정을 소재로 한다는 발상은 픽사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 영화 「인사이드아웃」보다 400년 이상 앞섰다. 또 송세림의 「주장군전」처럼 사람의 성기를 의인화해 주인공으로 삼은 점은 성도덕이 엄격했던 조선 사회에서 그야말로 파격 그 자체다. ‘천년의 우화 컬렉션’은 우리 옛 우화 소설의 창작 세계를 가늠하고 살핀다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책들보다 훨씬 쉬운 우리말로 풀어냈고, 접하기 어려운 희귀 작품도 많이 발굴해 포함시켰다. 이 기획으로 우리 옛 우화 소설이 새롭게 인식되고 평가받기 바란다. 더불어 현재의 수많은 창작자들에게도 새로운 자극이 되기를 바란다.
<주장군전 관부인전 (천년의 우화 컬렉션 26)> - 픽사, 디즈니를 뛰어넘는 상상력을 우리 옛 우화 소설 속에서 만난다 - 서울대학교 등 전국 주요 대학 필독서와 접하기 어려운 희귀 작품이 한가득! - 그동안 어려웠던 우리 옛 우화 소설을 더 쉽게 풀어내 읽는다 우화 소설은 동식물이나 기타 사물에 인격을 부여하고 당대의 사회제도, 이념, 풍습 등을 풍자해 사람들에게 교훈을 준다. 가전체 소설, 의인 소설 등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같은 것이라 보면 된다. 동물을 의인화한 민담이나 설화 등은 오래 전부터 전해 왔다. 기록 문학으로서는 신라의 설총이 지은 「화왕계」부터 1천여 년 동안 다양한 작품이 태어났다. 양반 사회의 가치관, 윤리, 권위 등이 무너지는 조선 후기에는 한글 작품까지 나오며 우화 소설이 가장 활발히 창작되었다. 그러다 일본에게 국권을 강제로 뺏기는 1910년 전후로 점점 쇠퇴한다. 힘든 현실 속에서 세태를 풍자하는 소설이 살아남기에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 소설을 자유롭게 짓기에는 우화라는 틀이 너무 좁았다. 그러나 이후 100년을 넘겨 어느 때보다 창작이 중요해진 오늘날, 우리 옛 우화 소설은 그 발상과 소재 면에서 되짚어 봐야 할 소중한 자산이 되어 있다. 임제의 「수정지」 등 사람의 감정을 소재로 한다는 발상은 픽사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 영화 「인사이드아웃」보다 400년 이상 앞섰다. 또 송세림의 「주장군전」처럼 사람의 성기를 의인화해 주인공으로 삼은 점은 성도덕이 엄격했던 조선 사회에서 그야말로 파격 그 자체다. ‘천년의 우화 컬렉션’은 우리 옛 우화 소설의 창작 세계를 가늠하고 살핀다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책들보다 훨씬 쉬운 우리말로 풀어냈고, 접하기 어려운 희귀 작품도 많이 발굴해 포함시켰다. 이 기획으로 우리 옛 우화 소설이 새롭게 인식되고 평가받기 바란다. 더불어 현재의 수많은 창작자들에게도 새로운 자극이 되기를 바란다.
<어면순, 잠도 떨쳐버릴 이야기 1> # 야하고도 고급진 웃음으로 세상을 뼈 때리게 비판하는 조선의 하이개그 # 한 번 읽기 시작하면 멈출 수 없는 우리 옛사람들의 핵잼 우스개가 터진다! # 「어면순」 첫 전자책 출간 「어면순(禦眠楯)」은 조선 시대의 문신 송세림이 고향인 태인 근교에 떠돌던 야담이나 우스갯소리를 모아 기록한 한문 소담집(笑談集)이다. 제목은 ‘잠을 막아주는 방패’로 풀이되는데, 잠이 달아날 만큼 재미있다는 뜻에서 붙였다. 23세에 장원 급제한 송세림은 두 차례의 병치레 때문에 관직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낙향한 뒤 이 책의 글을 썼다. 다만 그가 직접 출간하지는 않았다. 동생 송세형이 그 글들을 모아 1590년경 목활자본으로 세상에 내놓았다. 아쉽게도 이야기 88편이 모두 담긴 그 첫 판본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어면순」은 이야기의 절반가량이 노골적인 성(性)과 연관된 탓에 당시 보수적인 많은 사람들로부터 강하게 비판받으며 졸작으로 폄하되기도 했다. 하지만 그렇게 한심한 책이 아니다. 품격 있는 풍자와 교훈적인 마무리를 비롯해 한글 표현으로 도저히 살릴 수 없는 웃음의 포인트를 한문 표현으로 독특하게 승화시켜 소담의 진수를 보여준다. 저속하다고 치부하기에는 문학적인 수준이 상당히 높다고 하겠다. 이번 전자책 작업에는 1958년 민속학자료간행회에서 나온 「고금소총」 유인본을 저본으로 사용했다. 상권에 20편, 하권에 62편의 이야기가 있는데, 다른 번역본들도 참조하며 그 원문의 느낌을 최대한 살리면서 총 82편을 순서대로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