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의 가족> 한국 현대 소설의 대표 단편작을 뽑아 한국어.영어로 동시 수록한 '바이링궐 에디션 : 한국 현대 소설' 시리즈. 기획부터 출간까지 5년이 넘는 시간을 들인 이 시리즈는 하버드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연구원이자 비교문학 박사인 전승희,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의 민영빈 한국문학 교수 브루스 풀턴 등 전문 번역인들이 참여해 원작의 품격과 매력을 살렸다. 이 작품은 한국전쟁이 살아남은 자에게 어떠한 상처를 남겼는지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분단과 전쟁을 줄곧 조명해온 전상국의 대표작이면서 한국 ‘분단문학’의 걸작 중 하나이다. 소설은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정의 사랑> 우리는 '동백꽃' '봄ㆍ봄'의 작가 김유정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김유정문학촌 촌장이자 자타 공인 '김유정에 미친 사람'인 소설가 전상국은 김유정과 그의 문학 세계를 전기 혹은 평전의 상투적 일대기가 아니라 독특한 구조의 소설로 형상화했다. 별개일 수 있는 두 이야기를 나란히 늘어놓는, 이중주 서술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그 시대 김유정이 그러했듯 방황의 길을 가는 두 남녀의 사랑, 그 사이 사이에 김유정 관련 자료가 이어진다. 김유정의 소설, 일기, 편지, 시 등에 유족 인터뷰까지 함께 담아내 입체적으로 구성되었다. 김유정은 외로움이 체질인 사람이었다. 그는 연상의 기생 박록주를 짝사랑해 매일 편지를 보냈다. 당시로선 사형선고나 다름없는 폐결핵 진단을 받은 시한부 환자, 햇빛을 차단해 어둠 속에 스스로를 가두던 우울증 환자이기도 했다. 가난 앞에서, 사랑의 거절 앞에서, 불치병 앞에서 그는 속수무책이었다. 그럼에도 생애에 괄호가 닫히는 마지막 순간까지 김유정은 글쓰기를 멈추지 않았다. 글을 계속 쓰는 것, 그것이 김유정 스스로 선택한 자기 구원의 길이었다. 일그러질 대로 일그러진 한 작가의 고독한 영혼은 죽음 직전에도 창조적 에너지로 승화되었던 것이다. 만 스물아홉에 요절한 김유정의 짧은 생애를 관통한 병적 열정과 예술혼. 그의 삶과 문학 세계를 담아낸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