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공찬전> 1511년(중종 11) 채수 ( 蔡壽 )가 지은 고전소설. ≪ 중종실록 ≫ 에서는 ‘ 설공찬전 ( 薛公瓚傳 ) ’ , 어숙권 ( 魚叔權 )의 ≪ 패관잡기 ≫ 에서는 ‘ 설공찬환혼전(薛公瓚還魂傳) ’ 으로 표기하였고, 국문본에서는 ‘ 설공찬이 ’ 로 표기하고 있다. 한문 원본은 1511년 9월 그 내용이 불교의 윤회화복설을 담고 있어 백성을 미혹한다 하여 왕명으로 모조리 불태워진 이래 전하지 않으며, 그 국문필사본이 이문건(李文楗)의 ≪ 묵재일기 默齋日記 ≫ 제3책의 이면에 〈 왕시전 〉 · 〈 왕시봉전 〉 · 〈 비군전 〉 · 〈 주생전 〉 국문본 등 다른 고전소설과 함께 은밀히 적혀 있다가 1997년 극적으로 발견되었다. 국문본도 후반부가 낙질된 채 13쪽까지만 남아 있다.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순창에 살던 설충란에게는 남매가 있었는데, 딸은 혼인하자마자 바로 죽고, 아들 공찬도 장가들기 전에 병들어 죽는다. 설공찬 누나의 혼령은 설충란의 동생인 설충수의 아들 공침에게 들어가 병들게 만든다. 설충수가 방술사 김석산을 부르자, 혼령은 공찬이를 데려오겠다며 물러간다. 곧 설공찬의 혼령이 사촌동생 공침에게 들어가 왕래하기 시작한다.
<조선 사람들의 개성 여행> 조선 전기에는 개경의 여러 지역을 두루 구경하는 경우가 두드러진다. 특히 채수나 유호인 등은 사가독서(賜暇讀書, 채수의 <유송도록>의 주4 참조)의 기회를 얻어 개경을 가는 경우였는데, 여행 기간도 길면서 이동 거리 역시 상당히 길게 나타난다. 조선의 개국을 앞장서서 이끌었던 사대부들이어서 그런지 이들의 글에는 벼슬아치로서의 자부심이나 여행의 즐거움이 작품 전체에 한껏 배어 있기도 하다. 이러한 흥겨운 여행 분위기가 고려 문화에 대해서는 상당히 비판적이면서 철저히 유학자적인 입장으로 바뀌는데, 그 대표적인 글이 바로 생육신의 한 사람이기도 한 추강 남효온의 글이다. 즉 남효온의 글에는 유학적 입장에서 보면 당연히 배제될 법한 괴력난신의 이야기나 남녀가 함께 어울려 노는 당시 풍속들이 그대로 드러나 있으면서도 그러한 풍습이나 이야기를 바라보는 태도는 아주 비판적이다. 한마디로 남효온의 글은 착한 모범생이 옳지 못한 장소에 갔을 때 자신의 도덕적 입장이 더 크게 드러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이러한 글의 특징을 개인적인 성격의 탓으로 돌릴 수도 있겠지만, 크게 보면 조선 전기를 넘어서면서 성리학이 사대부들의 내면으로 서서히 침투해 들어가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조선의 산하와 풍속들에 대해 성리학적 입장에서 새판을 짜 가는 과정인 셈이다. 조선 중기에 이르러서 개경은 일종의 유학적 성지(聖地)로 부각된다. 이러한 변신은 조선조에 성리학이 발달하면서 나타난 일로 조선 중기 이후 개경의 기행문을 보면 포은 정몽주나 화담 서경덕의 흔적이 깃든 곳인 선죽교나 화담 등이 단골 메뉴처럼 등장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마도 이 두 인물이 개경의 여행 코스에 자주 등장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1573년(선조 6)에 이들을 모시기 위한 숭양서원(崧陽書院)의 건립인 것 같다. 그러나 조선의 전후기를 가릴 것 없이 빼어난 경치를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박연폭포를 찾았다는 것은 전혀 변함이 없다. 박연폭포를 필수 코스로 삼는 까닭으로 뛰어난 풍경 말고도 큰 힘 들이지 않고 찾아갈 수 있는 뛰어난 접근성을 꼽을 수 있다. 한마디로 개경 여행은 박연폭포 찾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책에 실려 있는 글들은 ‘한국문집총간(韓國文集叢刊)’ 가운데 채수의 ≪나재집(懶齋集)≫ 권1, 유호인의 ≪뇌계집(㵢溪集)≫ 권7, 남효온의 ≪추강선생문집(秋江先生文集)≫ 권6, 조찬한의 ≪현주집(玄洲集)≫ 권15상, 김육의 ≪잠곡선생유고(潛谷先生遺稿)≫ 권14, 김창협의 ≪농암집(農巖集)≫ 권23, 오원의 ≪월곡집(月谷集)≫ 권10에서 뽑아서 번역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