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몰트 사나이 1> 이것이 스릴러다 1억 상금의 1회 대한민국 뉴웨이브 문학상 수상작가 유광수의 야심작 베일에 싸인 ‘그림자’를 추적하는 차가운 이성과 뜨거운 열정의 칵테일 [진시황 프로젝트], [윤동주 프로젝트]의 강태혁 형사가 돌아왔다! 공황장애로 불안정한 전직 형사 강태혁에게 찾아온 은밀한 수사 제안! 연관성 없이 이어지는 정교한 목적 살인의 범인을 찾아가는 초대형 스릴러 『싱글몰트 사나이』. 이 책의 저자인 유광수는 연세대학교에서 고전문학을 가르치면서, 한중일 민족주의자들의 대결을 그린 역사추리소설 [진시황 프로젝트]로 상금 1억 원의 제1회 대한민국 뉴웨이브문학상을 수상한 작가다. 이후 [왕의 군대], [윤동주 프로젝트] 등의 추리소설로 독자들에게 실력을 인정받아 이번 ‘H&B 스릴러-미스터리 컬렉션’의 첫 포문을 열게 되었다. 목적 살인의 퍼즐을 관통하는 거대한 음모! 과거엔 능력 있는 형사였지만 지금은 공황장애에 시달리는 대학교 시간강사인 강태혁. 그는 늘 자신감 있고 밝은 학생인 전민주가 왠지 모르게 거슬린다. 강의에 대한 항의 때문에 강태혁은 반강제로 전민주와 요양원에 방문하게 된다. 그곳에서 만난 한 치매 환자는 전민주가 자리를 비우자마자 다급하게 그를 끌어당겨 이해할 수 없는 말을 하는데… 한편 서울 강남 코엑스에 들어선 블루문 호텔 스위트룸에서 국산 그룹의 김동욱 회장이 날카로운 메스에 목이 잘린 채로 발견된다. 매섭고 냉정한 일처리로 ‘얼음공주’라 불리는 기무사 요원 윤소영은 국산그룹 회장 살인사건 파일과 이를 파헤칠 적임자 명단을 받게 된다. 사실상 한 명을 겨냥한 인선... ‘왜 하필 그 자를?’ 의자에 묶인 채로 고문 끝에 살해당한 목사 콜걸과의 정사 후 목이 찔려 죽은 국산그룹 회장 살해 의혹을 남긴 채 죽은 학교 모델 전민주 가산유통 사장의 심장마비 인수그룹 회장의 어이없는 실족사... 연관성 없이 이어지는 정교한 목적 살인의 범인은 누구인가! 살인의 배후에 도사리고 있는 악의 그림자를 추적하는 전직 형사와 기무사 요원의 추리 게임!
<왕의 군대> ■ 3일 천하의 갑신정변, 김옥균의 숨 가쁜 72시간이 펼쳐진다! - 제1회 대한민국 뉴웨이브 문학상 수상작가 유광수의 두 번째 장편소설 〈진시황 프로젝트〉로 1억 원 상금의 제1회 대한민국 뉴웨이브 문학상을 수상했던 유광수 작가의 두 번째 장편소설이 출간되었다. 휴먼앤북스 뉴에이지 문학선 13번째 작품인 〈왕의 군대〉가 바로 그 작품이다. 쇄국과 개국 사이의 혼란, 청나라와 일본의 야욕, 민씨 일가의 폭정과 민초들의 암울한 현실이 혼재되어 암울했던 1880년대 초반을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이라는 역사적 사실에 저마다의 대의를 품었던 여러 집단 사이의 알력을 담아낸 상상력과 절묘한 구성이 돋보이는 소설이다. 특히 이야기의 클라이맥스라고 할 수 있는 4부에서는 3일간 숨 가쁘게 전개되었던 갑신정변을 미국드라마 ‘24시’처럼 시시각각으로 쪼개 현장감을 극대화한 구성으로, 마치 격변의 역사 현장에 직접 들어가 ‘왕의 군대’를 둘러싼 미스터리와 갑신정변의 진실을 파헤치는 당사자가 된 기분을 느끼게 한다. 작품의 역사적 배경이 된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의 관련 인물들과 사실들을 꼼꼼히 추적해 역사소설로서의 묘미를 드러냈다면, ‘정조의 유산(금과 군대)’을 둘러싼 미스터리는 작품의 재미와 몰입도를 한층 높여준다. ‘왕의 군대’에 대한 등장인물들 간의 엇갈리는 추론과 모호한 정체가, 갑신정변을 새로운 각도로 조명하며 마지막 순간까지 긴장의 끈을 늦출 수 없게 한다. 역사적 사실과 문학적 상상력, 그리고 흥미진진한 미스터리를 절묘하게 조합한 작가의 필력이 돋보이는 소설로, 재미와 문학성을 동시에 추구한 역사소설의 전범 같은 작품이다. ■ 정조가 남긴 유산, ‘위대한 왕의 군대’를 둘러싼 치밀한 미스터리! - 임오군란에서 갑신정변에 이르는 역사적 팩트와 정조의 유산이라는 미스터리를 결합한 역사 팩션의 전범! 미스터리 구조와 작품의 주제의식을 한층 돋보이게 하는 것은 독창적이고 매력적인 캐릭터들의 창조에도 기인한다. 갑신정변을 주도하며 새로운 세상을 꿈꾼 김옥균, 정체를 알 수 없는 연쇄살인범 흑표, 왕에 대한 충절과 약자에 대한 사명감으로 무장한 종사관 송치현 등이 저마다의 대의와 사명감을 가지고 충돌한다. 고종조차도 무기력하고 나약한 왕이 아니라, 강력하고 독립적인 왕권체제를 갖추기 위해 전략을 펼치는 군주로 그려진다. 그 어느 한쪽의 대의를 강조하며 교훈을 설파하는 대신, 저자는 혼란한 시대에 저마다의 방식으로 애국하려 했던 이들의 운명적 충돌과 그 숙명적 결과를 씨줄과 날줄을 얽듯 흥미롭게 교차시키며 독자들에게 삶의 목적과 길에 대해 묻는다. 〈왕의 군대〉는 〈조선왕조실록〉에서 사라진 1884년의 그 72시간의 기록과 정조 시대의 산물들을 접목시킨 상상력과 치밀하게 구성된 미스터리 덕분에, 그 묵직한 역사적 무게감에도 불구하고 마치 한 편의 영화처럼 긴장감 넘치고 흥미진진하게 읽힌다. 우리 역사의 그 어느 시기 못지않게 긴박하고 치열했던 갑신정변 그 72시간의 드라마가, 치밀한 미스터리와 결합해 독자들에게 강렬한 매혹을 선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