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톨 프랑스
아나톨 프랑스
평균평점
성모 마리아의 저글러

<성모 마리아의 저글러> 프랑스 소설가, 아나톨 프랑스의 단편 -마리아상 앞에서 6개의 구리 공과 12개의 칼을 저글링하고 있는 바르나바스를 발견했다. 성모 마리아를 찬양하기 위해서 지난날 자신에게 명성을 가져다준 기술을 선보이고 있었던 것이었다.

신들은 목마르다

<신들은 목마르다> 순수한 열정으로 가득 찬, 혁명의 지지자. 무엇이 그를 괴물로 만들었는가? 공포정치가 펼쳐지던 1793년의 프랑스 파리를 배경으로, 인간이 얼마나 불완전한 존재인지를 그려낸 노벨문학상 수상자 아나톨 프랑스의 역사소설. 작가는 순수한 열정으로 대혁명에 환호하던 가난한 화가가 혁명과 정치의 과정 속에서 피도 눈물도 없는 '괴물'로 변해가는 과정을 그린다. 서서히 주인공을 잠식해가는 변화의 움직임은 인간이 자신의 이념과 열정을 스스로 정의라고 믿을 때 얼마나 무서운 파멸을 향해 치닫게 되는지를 여실히 드러낸다. 이 소설은 역사적 사건들보다는 당시를 살았던 보통 사람들, '민중'이라 불리는 사람들의 혁명 속 삶과 심리에 초점을 맞춘다. 순수한 정의감으로 혁명 쪽에 선 주인공 가믈랭은 대혁명을 '숭배'하지만 그는 현재 자신이 반혁명분자라 비난하는 이들을 과거에는 똑같이 숭배했다는 사실을 잊고 있다. 그의 연인 엘로디는 혁명에는 무관심한 채 자신의 삶과 현재의 사랑에 몰입한다. 그의 이웃들 또한 언제든 정치적 깃발을 바꿔 달 준비가 되어 있다. 그들 모두는 정치적 혼란에 휩쓸리면서도 살아가는 것에 집중해야만 하는 보통 사람들이다. 가믈랭은 혁명재판소의 배심원이 되어 "공정하고 인간적인 행동"으로 반혁명파를 단죄하고자 한다. 하지만 그는 재판을 거듭할수록 자신도 모르게 숱한 희생자들을 서슴없이 단두대로 보내는 잔혹한 냉혈한이 되어간다. 결국 그 또한 희생자다. 아나톨 프랑스는 이처럼 모두가 희생자가 되어버린 시대, 자신과 사회를 바로 세우려고 할수록 더 깊은 함정 속으로 빠져들고 마는 나약한 인간의 모습을 그리며, 스스로의 한계를 잊고 신이 되고자 한 인간들을 통해 현재의 우리를 둘러싼 진지한 문제의식을 보여준다.

The Crime of Sylvestre Bonnard (영어로 읽는 세계문학 508)

<실베스트르 보나르의 죄> 영문판 1881년에 출간된 아나톨 프랑스의 장편소설. 아나톨 프랑스의 출세작으로, 전2부로 구성되어 있다. 애서가(愛書家) ‘실베스트르 보나르(Sylvestre Bonnard)’는 갈망(渴望)하는 책을 찾아서 시칠리아까지 가지만 문제의 고서(古書)는 여러 사람의 손을 전전하고 있어 찾을 길이 없다. 어느 날 파리에서 경매에 부쳐질 것이라는 말을 듣고 달려갔으나 거기서도 놓치고 마는데...

푸른수염의 일곱아내

<푸른수염의 일곱아내> 오래전서부터 사람들이 읽어 내려온 고전과 명작을 읽을 필요가 있다. 명작을 통하여 사람들은 감동은 물론 세상을 살아가는 자세를 배울 수 있다. 그렇기에 자신의 곁에 인류의 보물인 명작을 가까이 두고 때때로 읽어야 한다. 명작에는 우리의 사상과 생활이 담겨 있다. 우리는 평소에도 책을 읽어야 하지만 여행을 떠날 때 좋은 책 몇 권을 벗하여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고 자신의 교양을 보충하는 삶의 자세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림자의 미사

<그림자의 미사> 유럽 어느 마을에서 전해지는 전설처럼 단순하면서도 아름다운 단편 소설. 한적한 마을에서 가난한 삶을 살고 있는 늙은 부인, 캐서린 퐁텐은 레이스를 짜는 것으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품격 있는 그녀의 태도와 교양이 돋보이는 말 등을 통해서 마을 사람들은 그녀가 귀족 출신이라고 믿고 있다. 그리고 그녀를 따라다니는 소문 중 하나는, 그녀가 젊은 시절 젊은 귀족 기사와 사랑에 빠졌으나, 그 기사가 요절하는 바람에 평생을 혼자서 살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런 마을 사람들의 수군거림을 알지 못하는 듯, 캐서린 퐁텐은 매일 새벽 규칙적으로 미사에 참석하는 경건한 삶을 보낸다. 그리고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습관처럼 성당 종 소리에 잠에서 깨 몸 단장을 하고 미사를 드리기 위해서 집을 나선다. 그러나 그날 따라 너무나도 짙은 안개와 어둠 때문에 그녀는 성당을 찾는 데 어려움을 느낄 정도이다. <추천평> "굉장히 사랑스러우면서도 짧은 유령 이야기. 죽은 자들의 미사에 참석하게된 늙은 여인의 이야기이다." - markM, Goodreads 독자 "소름 끼치는 공포감을 주는 유령 이야기는 아니다. 하지만 기이할 정도로 아름답고, 어느 지방에서인가 전설로 전해올 법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예전 할아버지가 해주셨던 이야기를 기억나게 했다." - Michae, Goodreads 독자 "교회 무덤을 관리하는 교회지기로부터 들었다는 액자 구성을 가진 아주 짧은 이야기이다. 액자 안쪽의 죽은 자들의 미사라는 모티브도 흥미롭지만, 액자 바깥 쪽 무덤에서 일하는 사람들에 대한 평가에서도 여유와 유머가 느껴진다." - 위즈덤커넥트 편집부 <저자 소개> 아나톨 프랑스 (Anatole France, 1844 - 1924)는 프랑스의 시인이자 작가이다. 시인이자 기자로서 경력을 시작한 프랑스는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주요한 문학 협회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고, 1921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노벨상 선정위원회는 수상 이유로 "새로운 문체와 인간에 대한 깊은 공감 능력, 전형적인 프랑스적 성격의 구현'을 꼽았다. <번역자 소개> 2014년, 활동을 시작한 TR 클럽의 구성원은 인문학과 공학 등을 전공한 전문 직업인들로, 모두 5년 이상의 유학 또는 현지 생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각자의 삶의 영역을 가지고 있으나, 자신이 관심을 가진 도서와 컨텐츠가 국내에서도 널리 읽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번역을 진행하고 있다. 대기업 직장인, IT 벤처기업가, 출판 및 서점 편집자, 대학 교원, 음악 전문가 등 다양한 직업군을 바탕으로, 본인들의 외국어 능력과 직업적 특기를 기반으로, 모던한 컨텐츠 번역을 추구하고 있다.

성찬제

<성찬제> 세계 문호들의 판타스틱 단편 고전을 엄선하여 소개하는 시리즈의 아홉 번째 작품! 노벨상 수상작가의 판타스틱 단편 소설. 죽음 직전, 수십 년 만에 찾아온 젊은 날의 연인. 그와 함께 보낸 1시간 동안의 성찬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