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
허준
평균평점
허준 습작실에서 외

<허준 습작실에서 외> 「습작실에서」는 주인공이 벽지의 어느 산골 병원에 있는 T형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형적인 고백의 문학이다. 이 작품은 사소한 일상적인 만남이 소설을 구성하고 있어서 소설적인 긴장감을 찾아보기 어렵지만, 등장인물의 내면적인 지향을 통해서 작가의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허준 소설선 초판본

<허준 소설선 초판본> 지식을만드는지식의 ‘초판본 한국 근현대소설 100선’ 가운데 하나. 본 시리즈는 점점 사라져 가는 명작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이 엮은이로 나섰다. 평북 출신의 작가 허준의 중단편 소설 다섯 작품을 실었다. 1936년에 등단해 1948년까지 짧은 기간 동안 강렬한 인상의 작품들을 남기고 월북했다. 허준은 1936년 <탁류>로 등단한 이래 1948년 <역사>에 이르기까지 결코 길지 않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문제성을 보여 줬다. 이는 그의 작품이 단순한 개인의 재능 차원을 넘어 어떤 시대정신 차원에 닿아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이력을 보면 혼돈기의 지식인이 대개 그러하듯 그 역시 좌익 단체인 ‘경성조소문화협회’라든가 조선문학가동맹 주최의 ‘전국문학자대회’에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조선문학가동맹 서울시지부 부위원장을 맡기도 한다. 하지만 다른 좌파 문인들과는 달리 그는 어떤 선명성을 내세운 것도 또 그것에 대해 공개적인 비판과 반성을 행한 것도 아니다. 선명한 깃발을 내세우면서 혼돈의 중심으로 달려간 것이 아니라 회의의 시간을 가지고 그것을 지켜봄으로써 그의 소설은 자의식적인 자기 고민과 성찰이라는 특성을 강하게 드러낸다. 이것은 식민지와 해방기 지식인이 보여 주는 전형적인 특징 중 하나다. 그러나 그가 보여 주는 자기 고민과 성찰이 시대의 우울에 대한 지식인으로서의 그것이라고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 <탁류>나 <습작실에서>, <야한기> 같은 해방 이전 작품들에서는 지식인이기 때문에 혹은 지식인으로서 겪을 수밖에 없는 시대의 우울에 대한 자의식보다는 ‘인간의 보다 근원적이고 본질적인 운명의 힘과 허무를 묘파하고 있는 것’(신수정)이 사실이다. 지식인으로서의 자의식이나 시대정신에 대한 성찰에 앞서 이렇게 운명의 힘과 허무를 천착하는 것은 적나라하게 발가벗겨진 채 실존의 현장으로 내던져진 인간으로서의 개인에 대한 인식 태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해방기 소설에서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것이 꼭 이러한 운명의 힘과 가치 상실로 이어지는 허무만은 아니다. 그의 허무는 ‘강렬한 윤리적 의의’(김동리)를 동반한다. 이것은 그의 허무가 단순히 개인적인 욕구나 욕망의 차원에 놓여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서재길은 “<탁류>의 숙이, <야한기>의 은실 모친, <습작실에서>의 노인과 같은 인물군이 그러한 윤리의식을 보여 주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물들이 “주인공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폐쇄적인 존재론에 갇혀 있는 주인공으로 하여금 타자성에 눈뜨게 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의 해방 이전 소설에서 윤리적 의의를 발견한 것은 탁견이라고 할 수 있다.

습작실에서

<습작실에서> 습작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