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문> 최찬식의 신소설 《금강문(金剛門)》은 애정 문제를 중심으로 재산상속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음모와 인과응보, 금강산의 아름다움에 대한 자세한 묘사와 지형 지세를 일종의 기행문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작품이다. 신소설의 문학사적 특징은 일반적으로 문체가 묘사적이란 점이다. 고대소설이 설화체에 그치는 점과 대조를 이룬다. 또 소재 채택과 사건 전개에 있어서 본질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고대소설은 예외 없이 소재를 비현실적인 데에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신소설에서는 그 소재들이 대체로 우리 주변에서 일상 일어나는 것들이다. 그 사건 또한 현실적으로 가능한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신소설이 고대소설보다는 근대소설 쪽에 한 걸음 더 다가섰음을 뜻한다. 학창 시절 국어 시간에 암기하듯 달달 외운 기억이 있는 신소설의 연대기적 개념은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일본에 예속되어 가던 약 15년간의 조선 사회의 황폐한 구조와 당대인의 삶의 양상을 잘 담아낸 서사 양식으로 이인직을 비롯해 이해조, 최찬식, 안국선, 장지연 등 1918년 이광수의 《무정》이 나오기 전까지 창작되거나 발표된 소설들을 한국문학사에서는 ‘신소설’로 분류하고 있다. 이 신소설 작품들은 개화기 수백 년간 지속되어 온 봉건 질서의 해체와 새로운 식민자본주의의 형성기를 배경으로 한 우리나라 개항시대의 시대적 이념을 형상화하는데 가장 야심적이고 대표적인 서사 양식이었다. 그러므로 신소설은 이때 가장 광범위한 독자층을 형성하였다. 최찬식의 신소설 《금강문(金剛門)》은 삼각관계를 그리면서 신ㆍ구 가치관을 절충시키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오랫동안 헤어졌던 약혼자 사이에 부모가 정해준 신부가 끼어들어 신ㆍ구 가치관과 함께 인생의 파탄을 표출하면서 갖은 곡절 끝에 그 여자를 부실(副室)로 들어앉히는 것으로 끝을 맺고 있다. 본서는 1914년 8월 19일 동미서시(東美書市)에서 초판이 발간된 최찬식의 《금강문》을 일반 독자들이 국어사전이나 옥편 없이 그대로 줄줄 읽을 수 있도록 고어체 원고를 현대어 가로쓰기 전자책(이펍 2.0) 판형으로 번역한 편역본에다 최초 발표된 《금강문》 초판본을 <책 속의 책> 형태로 삽입한 전자 도서이다. 그러므로 이 전자책 한 권으로 초판본 원본과 현대문 번역본을 대조해 가며 함께 읽을 수 있는 재미와 실리를 구현할 수 있다. ●
<안의 성> 최찬식의 신소설 《안의 성(雁의 聲)》은 개화기 지식층 젊은이들의 삼각관계를 소재로 자유연애라는 새로운 모럴과 구시대의 반상(班常) 개념 타파를 지향한, 봉건사회에서 근대적인 사회로 바뀌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자유연애와 자유결혼을 주장하는 한편, 기성 사회의 권위인 계급제도 대신에 새로운 지식과 돈의 힘을 새 시대의 권위로 대치시킴으로써 봉건사회가 무너지는 과정과 애정에 대한 새로운 도덕을 제시한 작품이다. 신소설의 문학사적 특징은 일반적으로 문체가 묘사적이란 점이다. 고대소설이 설화체에 그치는 점과 대조를 이룬다. 또 소재 채택과 사건 전개에 있어서 본질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고대소설은 예외 없이 소재를 비현실적인 데에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신소설에서는 그 소재들이 대체로 우리 주변에서 일상 일어나는 것들이다. 그 사건 또한 현실적으로 가능한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신소설이 고대소설보다는 근대소설 쪽에 한 걸음 더 다가섰음을 뜻한다. 학창 시절 국어 시간에 암기하듯 달달 외운 기억이 있는 신소설의 연대기적 개념은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일본에 예속되어 가던 약 15년간의 조선 사회의 황폐한 구조와 당대인의 삶의 양상을 잘 담아낸 서사 양식으로 이인직을 비롯해 이해조, 최찬식, 안국선, 장지연 등 1918년 이광수의 《무정》이 나오기 전까지 창작되거나 발표된 소설들을 한국문학사에서는 ‘신소설’로 분류하고 있다. 이 신소설 작품들은 개화기 수백 년간 지속되어 온 봉건 질서의 해체와 새로운 식민자본주의의 형성기를 배경으로 한 우리나라 개항시대의 시대적 이념을 형상화하는데 가장 야심적이고 대표적인 서사 양식이었다. 그러므로 신소설은 이때 가장 광범위한 독자층을 형성하였다. 최찬식의 신소설 《안의 성(雁의 聲)》은 1912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초판이 발간되었다. 이 소설 역시 15판을 거듭한 《추월색》과 마찬가지로 스토리 전개 방식에서 우연의 연속으로 되어 있으며, 양반과 천인이 결합함으로써 평등사상을 부르짖는다든지, 법학을 공부하여 판사가 된다는 내용은, 당시의 개화사상을 고취하는 소설의 공통된 일면이 있다. 작품의 무대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기성사회의 규범을 무너뜨리는 새로운 지식으로 신시대의 도래를 예견한 작품이다. 본서는 1912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발행한 최찬식의 《안의 성》을 일반 독자들이 국어사전이나 옥편 없이 그대로 줄줄 읽을 수 있도록 고어체 원고를 현대어 가로쓰기 전자책(이펍 2.0) 판형으로 번역한 편역본에다 최초 발표된 《안의 성》초판본을 <책 속의 책> 형태로 삽입한 전자 도서이다. 그러므로 이 전자책 한 권으로 초판본 원본과 현대문 번역본을 대조해 가며 함께 읽을 수 있는 재미와 실리를 구현할 수 있다. ●
<추월색> 최찬식 신소설 《추월색(秋月色)》은 갑오경장 이후 부패한 관료정치에 대한 민중의 반항을 나타내어 시대의식을 반영하면서 작품의 무대를 한국, 일본, 중국 등 광범위한 지역으로 넓히고, 개화기 남녀 간의 사랑을 소재로 삼각관계를 그리면서 사랑에 따르는 모럴을 대조시킨 작품이다. 생생한 장면묘사와 남녀 주인공의 기구한 애정 이야기는 당시 신소설 중 가장 널리 애독된 작품 중의 하나이다. 신소설의 문학사적 특징은 일반적으로 문체가 묘사적이란 점이다. 고대소설이 설화체에 그치는 점과 대조를 이룬다. 또 소재 채택과 사건 전개에 있어서 본질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고대소설은 예외 없이 소재를 비현실적인 데에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신소설에서는 그 소재들이 대체로 우리 주변에서 일상 일어나는 것들이다. 그 사건 또한 현실적으로 가능한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신소설이 고대소설보다는 근대소설 쪽에 한 걸음 더 다가섰음을 뜻한다. 학창 시절 국어 시간에 암기하듯 달달 외운 기억이 있는 신소설의 연대기적 개념은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일본에 예속되어 가던 약 15년간의 조선 사회의 황폐한 구조와 당대인의 삶의 양상을 잘 담아낸 서사 양식으로 이인직을 비롯해 이해조, 최찬식, 안국선, 장지연 등 1918년 이광수의 《무정》이 나오기 전까지 창작되거나 발표된 소설들을 한국문학사에서는 ‘신소설’로 분류하고 있다. 이 신소설 작품들은 개화기 수백 년간 지속되어 온 봉건 질서의 해체와 새로운 식민자본주의의 형성기를 배경으로 한 우리나라 개항시대의 시대적 이념을 형상화하는데 가장 야심적이고 대표적인 서사 양식이었다. 그러므로 신소설은 이때 가장 광범위한 독자층을 형성하였다. 최찬식의 《추월색(秋月色)》은 1912년 3월 회동서관에서 초판이 발간되었다. 개화기 부산 지역을 배경으로 작품의 무대를 한국, 일본, 중국 등 광범위한 지역으로 펼치며, 갑오경장 이후의 부패한 관료정치에 대한 민중의 반항을 나타내어 시대의식을 반영하면서 기구한 남녀 주인공의 사랑 이야기를 생생하게 묘사해 나간 문체는 당대 독자들에게 크게 환영을 받으면서 1921년까지 15판이나 거듭 찍는 인기를 누렸다. 1918년 3월에는 신극단 <취성좌(聚星座)>의 첫 공연작품으로 무대에 올려져 단성사(團成社)에서 연극으로 공연되기도 했다. 본서는 1912년 3월 회동서관에서 발행한 최찬식의 《추월색》을 일반 독자들이 국어사전이나 옥편 없이 그대로 줄줄 읽을 수 있도록 고어체 원고를 현대어 가로쓰기 전자책(이펍 2.0) 판형으로 번역한 편역본에다 최초 발표된 《추월색》초판본을 <책 속의 책> 형태로 삽입한 전자 도서이다. 그러므로 이 전자책 한 권으로 초판본 원본과 현대문 번역본을 대조해 가며 함께 읽을 수 있는 재미와 실리를 구현할 수 있다. ●
<추월색 외 : 신소설 - 한국문학산책 50> 한국문학산책 50-신소설 추월색 외 각기 다른 여주인공을 통해 살펴보는 개화기 우리나라의 다양한 모습! 최찬식과 장지연은 각기 다른 행보를 보이나, 개화기 대표적인 신소설 작가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추월색>은 이정임과 김영창의 사랑을 통해 새로운 애정관과 신교육 사상 등을 보여 준다. <애국부인전>은 번안 전기 소설로, 백년 전쟁 때 프랑스의 잔다르크가 벌인 구국 항쟁을 담았다. 외세에 대항하는 잔다르크의 모습을 통해 우리 민족의 애국심을 고양하기 위해 번안하였다. ■ 줄거리 추월색 정임과 영창은 어렸을 때 함께 자란 사이로, 두 부모는 아이들이 자라면 결혼시키기로 약속한다. 그러나 영창의 아버지가 지방으로 부임해 간 뒤 민란이 일어나면서 둘은 헤어진다. 정임이 열다섯 살이 되자, 정임의 부모는 정임을 강제로 결혼시키려 한다. 정임은 자신은 이미 영창과 혼인하기로 약조한 몸이므로 결혼할 수 없다고 말하지만 결혼식은 예정대로 추진된다. 하는 수 없이 정임은 부모 몰래 동경으로 도망친다. 정임은 동경에서 열심히 공부하여 매년 우등으로 진급하고, 마침내 대학을 졸업한다. 강한영으로부터 청혼을 받지만 거절하는데, 어느 날 공원에 나갔다가 강한영에게 칼에 찔리는 변을 당한다. 다행히 한 청년 신사가 정임을 구해 준다. 영창은 초산에서 민란이 났을 때 부모와 헤어지고 죽을 뻔했지만, 영국 문학 박사인 스미스를 만나 영국으로 가게 된다. 영국에서 영창은 훌륭한 청년 문학가가 되었고 양부인 스미스를 따라 일본으로 온다. 영창은 정임을 생각하며 공원을 산책하다가 한 여자가 변을 당하는 것을 보고 구해 준다. 그런데 여자는 기절해 있고 칼을 찌른 사람은 도망간 바람에 그만 살인 미수범으로 몰린다. 정임과 영창은 마침내 경찰서에서 해후하고, 고향에 돌아와서 결혼식을 올린다. 정임과 영창은 만주로 신혼여행을 갔다가 도적을 만나 영창은 나무에 묶이고 정임은 잡혀간다. 그곳에서 정임은 죽은 줄 알았던 영창의 부모를 우연히 만나고 영창도 풀려난다. 조국으로 돌아와 영창과 정임, 그들의 부모들은 술잔을 기울이며 기쁨을 나눈다. 추월색 오백여 년 전 불란서국의 한 농가에서 약안이라는 이름의 한 소녀가 태어났는데, 그녀는 천성이 총명하고 용모가 단아하였다. 어느 날 약안이 들판에서 양을 먹이는데, 영국 군인이 불란서국을 침범하여 향촌으로 다니면서 재물을 탈취하였다. 약안은 숨어서 이를 보고 하늘의 상제에게 나라의 환란을 구원하고 적국의 원수를 갚게 해 달라고 소원을 빈다. 이때 하늘에 서 소리가 들려오는데, 불란서국에 앞으로 큰 환란이 일어나니 그것을 구원해야 한다는 말씀이었다. 이에 약안은 장래를 대비해 문무를 갈고 닦는다. 불란서국과 바다를 사이에 두고 이웃한 영국은 근 백 년 동안이나 싸움을 지속해 왔다. 불란서국 정치인들은 국가의 위기 상황에서도 두 정파로 나뉘어 의견 일치를 보지 못했고, 불란서국은 점점 수세에 몰려갔다. 이때 불란서 남방의 아리안 고을 지방만 영국에 대항해 불란서 국왕을 지키고 있었다. 약안은 십칠 세가 되자, 부모님께 하직하고 전쟁에 뛰어들었다. 약안의 소문은 널리 퍼지고, 불란서 국왕 샤이 7세는 영웅 여자가 나라를 구하러 군사를 일으켰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한다. 약안의 활약으로 한 영국과의 전투에서 불란서국이 승리한다. 약안이 싸우는 모습을 본 군사들은 입을 모아, 그녀의 용맹스러움을 칭찬한다. 그러나 어느 날 약안은 전투에 나갔다가 영국군에게 포위되어 붙잡힌다. 영국군은 그녀에게 억지로 죄인의 혐의를 씌워 화형에 처한다. 불란서국 사람들은 이후에도 약안의 이야기를 전하면서, 그녀의 애국심과 공을 기념하며 칭송한다.
<안의 성 초판본> ≪안의 성≫은 신구 세대 모두가 이해 가능한 자유연애를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1910년대의 사회에서 자유연애는 가문과 신분을 중시하는 당대 문화적 상황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것일 수 있지만, 최찬식은 그의 소설 속에서 그것을 이해·수용될 수 있는 것으로 그려낸다. 그의 소설에서 ‘이십 세기 청년’인 김춘식의 자유연애가 구세대에게 허락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신학문을 한 인물을 중시하는 태도에서 찾을 수 있다. 조선 사회에서 “양 가문의 세교 전도와 가문 출신, 그리고 그 덕행을 혼인 성립의 요건으로 삼”은 데에 반해서, 최찬식의 소설은 가문보다 인물이라는 요건을 더 중시한다. 김상현은 통학하는 길에서 만난 어떤 여학생의 ‘어여쁜 모습에 반해’ 졸업식 날 쫓아가서, 그 여학생이 박정애라는 것과 오빠 박츈식이 비천한 생선 장수라는 것을 확인하고, 마포 동리 동장 성운경에게 혼담을 주선할 것을 청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김상현이 가문과 위세보다도 그 여학생의 인물과 그 인물의 지식이라는 요소를 결혼 결정의 중요 사항으로 삼는다는 사실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김상현의 태도를 구세대인 어머니도 인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점은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결혼이 가문의 어른에 의해서 일방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문 어른조차 당사자에게 맡기려는 태도를 보여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태도는 당대 사회에서 비천한 가문이라도 신학문을 통한 새로운 신분의 상승이 가능함을 묵시적으로 인정하고 있음을, 나아가 그 만큼 반상의 차별이라는 가문 의식이 현저히 약화되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가문보다 인물을 우선시하는 자유연애 문화는 김상현의 어머니를 비롯한 구세대에게도 소통되었던 것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김상현의 자유연애란 그가 자신의 삶(연애, 결혼)을 스스로 책임지는 계몽 주체 되기의 양상을 띠는 것이다. 그리고, 자유연애를 통해서 결혼한 김상현은 그의 여동생 영자와 이웃 처녀 봉자의 방해로 인해 결혼생활의 위기에 처하고 이혼 문제를 겪게 되는데, 이때 그가 택한 행동은 세계 주유다. 김상현의 주유는, 조선에서 시작해서 중국, 인도, 유럽을 거쳐 아프리카와 호주와 남양 제도로까지 이어진다. 김상현은 주유 이후 다시 조선으로 돌아오는데, 돌아오자마자 자기 가계의 갈등을 해결하는 주체가 된다. 이는 자기 계몽의 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