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설야
한설야
평균평점
산촌(山村) - 한설야 한국문학선집

<산촌(山村) - 한설야 한국문학선집> 산촌(山村) - 한설야 한국문학선집 현대문학 단편소설 시리즈 * 도서 구성 및 독자 대상 -첫째, (고품격) 현대 문법 정리(띄어쓰기 및 현대어 적용) -둘째, 한국 근/현대 문학 대표작 선집(한국인 사랑하는 대표 단편소설) -셋째, 국어 교과서 수록 작품(초/중/고등학생 및 남녀노소 필독서) -넷째, 한설야(韓雪夜) 작가/작품 소개 * 한설야(韓雪夜) (1900-1963) 소설가. 1925년 단편소설 '그 날 밤'을 '조선문단'에 발표하면서 문단활동을 시작했다. 카프 창립 초기부터 가담하여 계급문학의 이론적 확립과 그 문학적 실천에 앞장섰다. 1927년 '조선지광'에 발표된 '그 전후'와 '뒷걸음질' 등에 이르러서는 경향적 색채를 짙게 드러내 보이고 있으며, 당시 농촌의 현실인 빈궁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면서 몰락해 가는 농촌사회를 묘사하고 있다. 한설야는 1934년 다른 카프 문인들과 일경에 의해 검거되는데, 이 시기를 맞이해 일대 전환의 모습을 보인다. 즉 그의 작업은 삶의 구체성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형상화에 집중된다. 이러한 결과로 나타나는 작품이 1936년에 발표된 '황혼'이다. '황혼'에서는 당대 자본가의 삶과 노동자의 삶을 대조적으로 형상화시키고 있다. 이후 여러 작품을 발표했고 월북 후에도 작품활동을 계속했던 것으로 보인다. * 산촌(山村) T읍 장날이다. 기술은 가마니를 팔아 가지고 낱돈 얼마를 잘라서 아버지 시키던 대로 성냥과 장수연을 샀다. 그리고 언제부터 벼르던 제 고무신이나 한 켤레 살까 하다가 또 그만두고 가는 빗줄이 금시 눈이 될 듯한 눈갯비를 맞으며 집으로 돌아왔다. 어머니는 부엌에서 저녁을 짓고 아버지는 윗방에서 가마니를 짜고 있다. 자기를 바라보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언뜻 뜨이는 듯한 눈매를 보는 순간 기술은 고연히 속장이 뭉클해졌다. 용돈에 불티가 나던 판에 돈푼이나 쥐면 되레 뒤숭숭해지는 그런 불안과도 다른 어떤 불안이 확실히 아버지의 얼굴에서 읽혀진다. 아버지가 지금 참말 묻고 싶어 하는 사본을 기술은 잘 알고 있다. 하나 그것이 밉성이다.

홍수(洪水) - 한설야 한국문학선집

<홍수(洪水) - 한설야 한국문학선집> 홍수(洪水) - 한설야 한국문학선집 현대문학 단편소설 시리즈 * 도서 구성 및 독자 대상 -첫째, (고품격) 현대 문법 정리(띄어쓰기 및 현대어 적용) -둘째, 한국 근/현대 문학 대표작 선집(한국인 사랑하는 대표 단편소설) -셋째, 국어 교과서 수록 작품(초/중/고등학생 및 남녀노소 필독서) -넷째, 한설야(玄德) 작가/작품 소개 * 한설야(韓雪夜) (1900-1963) 소설가. 1925년 단편소설 '그 날 밤'을 '조선문단'에 발표하면서 문단활동을 시작했다. 카프 창립 초기부터 가담하여 계급문학의 이론적 확립과 그 문학적 실천에 앞장섰다. 1927년 '조선지광'에 발표된 '그 전후'와 '뒷걸음질' 등에 이르러서는 경향적 색채를 짙게 드러내 보이고 있으며, 당시 농촌의 현실인 빈궁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면서 몰락해 가는 농촌사회를 묘사하고 있다. 한설야는 1934년 다른 카프 문인들과 일경에 의해 검거되는데, 이 시기를 맞이해 일대 전환의 모습을 보인다. 즉 그의 작업은 삶의 구체성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형상화에 집중된다. 이러한 결과로 나타나는 작품이 1936년에 발표된 '황혼'이다. '황혼'에서는 당대 자본가의 삶과 노동자의 삶을 대조적으로 형상화시키고 있다. 이후 여러 작품을 발표했고 월북 후에도 작품활동을 계속했던 것으로 보인다. * 홍수(洪水) 함경도 동해안을 육박하는 험준한 산맥과 그 뒤에 펼쳐진 이십팔 방 리의 넓고 넓은 H평야가 연접하는 곳 거기에는 산세(山勢)가 다하는 종곡(終曲)인 동시에 평야가 열리는 서곡(序曲)인 듯 산도 아니요 평전도 아닌 크고 작은 구릉(丘陵)이 '대지의 물결'을 이루고 있다. 그 수많은 구릉 사이에는 넓고 좁은 움푹한 평전이 갇히어 있고 그 언덕 비탈에는 찌그러져 가는 뙤낮은 농막들이 겸손히 쪼그리고 있다. 구릉 꼭대기와 이맛전에는 담방솔(倭松)들이, 혹은 상투같이 모닥모닥 모여 서 있고 혹은 망건같이 둘러치어 있다. 대체로 문명에서 뒤떨어진 미개한 풍경이다.

합숙소의 밤

<합숙소의 밤> 『합숙소의 밤』은 원제 1928년 ‘조선지광(朝鮮之光)’에 기고했던 것으로 만주 탄광왕국(B시), ‘푸순’ 탄광을 무대로 조선인들의 열악한 노동환경과 실태, 비참하게 처해있는 노동자들의 역사적 사실을 형국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탑

<탑> 『탑(塔)』은 1942년 매일신보사에서 출간된 연재소설로 일제강점기 한 청년 ‘우길’을 통해 반봉건적인 세태적 가족사와 일본 세도가 지주와 피지배 하층민 사이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이다. 전통사회와 시대적 변혁기의 여성 지위와 식민지하 몰락하는 지배층의 지배적 시련과 구속의 난세에서 해방과 근대적 신여성의 심리적 풍조를 그린 가족사 소설이다. 출판사 서평 이 작품은 한설야의 대표작으로 카프의 대표인물이면서 월북작가로 일제강점기 가족의 수난사를 그린 것으로 우길과 아버지 박 진사, 이순, 정순으로 연결되는 시대적 지주와 피지배 계급 간의 이질적 상관관계를 그리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봉건적 체계 속에 순응할 수밖에 없는 박진사, 나약한 여성 이순은 이른바 시대의 신분적 현실을 잘 반영해 주는 일탈의 매개체로 대립적인 상징적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본문 중에서 정월 한 달은 여자들도 좀 한가하였다. 설날부터 사오 일 동안은 물론이지만 그 뒤에도 마디좀(午日)은 일을 하면 일년 두루 마디마디 일이 막힌다고 놀고, 쥐날(子日)은 일을 하면 쥐가 꾄다고 놀고, 범날(寅日)은 일을 하면 범이 온다고 놀고, 보름이 지나 열엿샛날은 귀신날이라 해서 놀고, 그 뒤에도 오리날이라는 것이 있어서 이날 일을 하면 그해 가을에 오리가 벼이삭을 훑어 먹는다고 해서 놀고, 놀 뿐 아니라 이날은 특히 저녁들을 일찌감치 해먹고 동리 소패들이 횃불을 들고 나가서 동리와 동리가 불쌈을 한다. 원필이는 그 정순이라는 여학생이 서울여자고등보통학교로 유학 간다는 말과 그 다음 두 학생도 역시 같은 학교로 유학 가는 모양이라는 말을 하였다. 우길은 희미한 중에 똑똑히는 보지 못했으나 얼핏 보기에도 그 정순이라는 여학생이 제일 이쁘다고 생각하였다. 관골이 조금 나오고 뺨이 조금 긴 듯하나 그래도 얼굴은 어린 우길이 맘에 어딘지 키이는 데가 있었다. 상도는 학교고 가정교사고 모두 뜻이 없었지만 그런대로 지나갔다. 그러나 갈수록 더 견딜 수 없는 것은 정순에게 대한 사랑이었다. 상도의 아버지 박 진사는 일찍부터 함경도 이원에 철광을 경영하고 있었다. 어떤 사람이 발견해 가지고 그것을 박이 자금을 내기로 하고 공동으로 경영하는 것이다. 하나 자금이 부족한 관계로 크게 채굴도 못 하고 해서 이때까지는 미미한 광산으로 알려지지 않았으나 구주대전이 확대되는 데 따라서 자연 시세가 올라가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 광산을 매매 붙이려는 거간들이 연일 싸대고 내지에 있는 큰 광업회사에서까지 현장을 시찰하였다. 그러나 박은 그것이 구주대전 때문인 것을 생각하느니보다 차라리 자기의 운이 강하고 재수가 센 까닭이라고 믿었다.

한설야 단편집 초판본

<한설야 단편집 초판본> 한설야는 프로문학을 문학적 차원이 아니라 사회적 관점에서 이해했고, 카프 가입 초기에는 이론가로서도 활발한 활동을 벌인다. 하지만 그는 사회과학을 하나의 원리나 질서로 받아들인다. 카프 가입 후 그가 쓴 일련의 평론이 원론적 마르크스주의에 입각해 있는 것이나 카프 해산 후에도 전향하지 않은 작가로 남은 것도 이런 사정과 관련된다. 그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문제는 사상과 현실의 결합이었는데, <과도기>를 “양식에 있어서만 아니라 실로 그 정신에서도 분명히 새 시대의 문학”으로 높이 평가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과도한 정치 지향은 월북 후 ‘인민 예술가’ 칭호를 받는 등 최고의 영예를 누리다가 가차 없이 숙청당하는 비극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함께 습작기부터 일어 창작을 하다가 1930년 말 일제의 만주국 정책을 옹호하는 듯한 ≪대륙≫을 쓰는 등 작가로서 언어 문제에 무감각했다는 점도 비판되어야 마땅하다. 한설야는 사회주의와 계급문학에 관심을 가진 이후 주변의 어떤 강압과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특히 그는 중국과 일본 체류 경험을 통해 동아시아 정세에 대해 폭넓은 시각을 확보할 수 있었는데, 그것이 일어 소설 쓰기에 대한 자의식 결여 등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특히 일제 말기 ≪대륙≫·<혈(血)>·<영(影)> 등 일어 소설을 통해 일본 남성과 만주 여성, 혹은 조선 남성과 일본 여성의 결혼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룸으로써 일제의 ‘신체제 문학’에 은근히 협조하는 것 같은 인상을 준 것도 엄밀하게 평가받아야 할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