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영실
안영실
평균평점
큰놈이 나타났다

<큰놈이 나타났다> 이야기가 열리는 사과나무 꼬마는 사과나무를 심었습니다. 물을 줄 때마다 재미있는 이야기가 주렁주렁 열리라고 주문을 외웠습니다. 눈이 보이지 않는 친구도, 귀가 들리지 않는 할머니도 모두 볼 수 있는 그런 이야기가 열리기를 바랐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기다려도 나무에서는 사과만 열렸습니다. “약속했잖아. 이야기를 주렁주렁 열리게 하기로.” “나는 사과를 키워야 해. 그것을 시고 달게 키우는 일이 내 일인 걸.” 나무는 무척 바빠 보였습니다. 늘 자리를 지키며 숨차게 물을 끌어올렸고, 멀리까지 다리를 뻗어 영양이 될 만한 것들을 가지고 오는 일로 고되게 일했습니다. “사과를 키우는 동안에는 사과나무가 될 수밖에 없어. 이야기는 그 다음이야.” 사과나무는 엄마 노릇도 바쁘다고 말했습니다. 언제쯤 사과 만드는 일을 그만두고 이야기 열매를 맺을 지 알 수 없었습니다. 장마철이 지난 어느 날, 놀랍게도 사과나무에는 이야기가 주렁주렁 열려 있었습니다. 어른이 된 꼬마가 자신이 만든 이야기들을 사과나무 가득 달아 놓았던 것입니다. 돌아가신 나의 아버지는 병석에서 소설을 읽으며 말씀하셨습니다. “감동을 주는 글을 쓰거라. 그것이 작가의 보람이다. 붉게 쓰렴. 정열이 만개하면 자비가 된다.” 아버지의 말씀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그러나 등단 후 저는 살림과 아이의 뒷바라지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습니다. 남들은 여러 개의 일을 한꺼번에 해치우는 것 같은데, 저는 그러지 못했습니다. 아이를 대학에 보내고서야 17년 만에 첫 창작집을 내게 되었습니다. 새로 등단한 자리라 여기고 이야기를 주렁주렁 달아야겠습니다. 붉고 시고 달콤한 그런 열매를 말입니다. 여자로, 어머니로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 『큰 놈이 나타났다』의 등장인물들은 여자가 어머니가 되는 과정과 어머니로 사는 것은 과연 무엇인지를 천착하고 있다. 선·후배, 동료 작가들이 각 작품을 읽고 평설을 썼다. 평소 시작장애인도 함께 읽을 수 있는 책을 만들고 싶다는 작가의 소망을 담아서 첫 작품집을 직접 낭송하여 녹음 제작한 음성책과 점자책을 준비했다. 「부엌으로 난 창」 인생의 슬프고 아픈 과정을 담은 <부엌으로 난 창>에 어린 풍경은 그럼에도 결국 행복이란 우리 편이 될 수 있다는 희망에 이르는 길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한 여성이 ‘진짜 엄마’가 되어가는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윤후명- 「행복한 전파사」 작가가 상처를 품어 만든 알알의 진주들로 만든 매력적인 작품집-구자명- 「큰놈이 나타났다」 이 소설은 이해 불가능을 이해 가능으로 읽히게 함으로써 차별화된 특수성의 글쓰기를 보여주고 있다. - 황충상- 「그늘 우거진 소리」 그녀는 왼쪽 발가락을 잘랐다. 심장 없이 살기를 택했다. -방현희- 「한계령」 ‘채 맞은 생짜’ 기생의 ‘앵도를 똑똑 따는 소리’가 들린다. -김정묘- 「너는 아니?」 청바지 상표 GUESS 로고에 쓰인 물음표를 알레고리로 ‘의식 속의 함정’을 찾아가는, 가볍지 않은 얘기를 무겁지 않게 풀어내는 작가의 역량이 돋보이는 심리소설 -유경숙 「한 다리 김씨」 도깨비도 어쩌지 못하는 안영실 소설의 힘.-심아진- 「만우절」 시치미를 뚝 뗀 작가, 소설의 묘미는 이런 데 있지 않나 싶다.- 김병언 「11월의 랩송」 분열된 자아에 투사된 모성의 갈등과 욕망의 좌절에 대한 이야기다. 해숙은 모성으로 포장된 자신의 욕망을 체념하지 않는다. 다만 유보하고 있을 뿐이다. - 김민효 -

화요앵담

<화요앵담> 1996년 문화일보로 등단한 안영실의 소설집. 이 책은 20년 동안 다져온 비옥한 땅에서 자란 한 그루 앵두나무에서 쉰일곱 알의 곱디고운 앵두를 따 담아낸 빛깔 고운 사발이다. 57편의 초단편소설이 수록되어 있다. 안영실은 자신의 한뼘소설(초단편소설)을 앵두에 빗대어 설명한다. 저절로 터져버릴 듯 탱탱한 빨강의 껍질을 살짝 깨물어 한 알 한 알 씹으며 그 새콤달콤한 앵두의 붉은 즙을 맛보시라고.

나는 힘이 세다

<나는 힘이 세다> <나는 힘이 세다>는 소설가 안영실의 ‘한뼘자전소설“ 21편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한 뼘만큼 짧지만 이야기마다 펼쳐지는 내용은 우리들 삶의 갈피갈피를 웅숭깊게 그리고 있습니다. 또한 이야기마다 작가가 직접 그린 그림 소품들이 곁들여져 책 읽는 기쁨을 더해 줍니다.

부엌으로 난 창

<부엌으로 난 창> 이야기가 열리는 사과나무 꼬마는 사과나무를 심었습니다. 물을 줄 때마다 재미있는 이야기가 주렁주렁 열리라고 주문을 외웠습니다. 눈이 보이지 않는 친구도, 귀가 들리지 않는 할머니도 모두 볼 수 있는 그런 이야기가 열리기를 바랐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기다려도 나무에서는 사과만 열렸습니다. “약속했잖아. 이야기를 주렁주렁 열리게 하기로.” “나는 사과를 키워야 해. 그것을 시고 달게 키우는 일이 내 일인 걸.” 나무는 무척 바빠 보였습니다. 늘 자리를 지키며 숨차게 물을 끌어올렸고, 멀리까지 다리를 뻗어 영양이 될 만한 것들을 가지고 오는 일로 고되게 일했습니다. “사과를 키우는 동안에는 사과나무가 될 수밖에 없어. 이야기는 그 다음이야.” 사과나무는 엄마 노릇도 바쁘다고 말했습니다. 언제쯤 사과 만드는 일을 그만두고 이야기 열매를 맺을 지 알 수 없었습니다. 장마철이 지난 어느 날, 놀랍게도 사과나무에는 이야기가 주렁주렁 열려 있었습니다. 어른이 된 꼬마가 자신이 만든 이야기들을 사과나무 가득 달아 놓았던 것입니다. 돌아가신 나의 아버지는 병석에서 소설을 읽으며 말씀하셨습니다. “감동을 주는 글을 쓰거라. 그것이 작가의 보람이다. 붉게 쓰렴. 정열이 만개하면 자비가 된다.” 아버지의 말씀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그러나 등단 후 저는 살림과 아이의 뒷바라지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습니다. 남들은 여러 개의 일을 한꺼번에 해치우는 것 같은데, 저는 그러지 못했습니다. 아이를 대학에 보내고서야 17년 만에 첫 창작집을 내게 되었습니다. 새로 등단한 자리라 여기고 이야기를 주렁주렁 달아야겠습니다. 붉고 시고 달콤한 그런 열매를 말입니다.

한계령

<한계령> 이야기가 열리는 사과나무 꼬마는 사과나무를 심었습니다. 물을 줄 때마다 재미있는 이야기가 주렁주렁 열리라고 주문을 외웠습니다. 눈이 보이지 않는 친구도, 귀가 들리지 않는 할머니도 모두 볼 수 있는 그런 이야기가 열리기를 바랐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기다려도 나무에서는 사과만 열렸습니다. “약속했잖아. 이야기를 주렁주렁 열리게 하기로.” “나는 사과를 키워야 해. 그것을 시고 달게 키우는 일이 내 일인 걸.” 나무는 무척 바빠 보였습니다. 늘 자리를 지키며 숨차게 물을 끌어올렸고, 멀리까지 다리를 뻗어 영양이 될 만한 것들을 가지고 오는 일로 고되게 일했습니다. “사과를 키우는 동안에는 사과나무가 될 수밖에 없어. 이야기는 그 다음이야.” 사과나무는 엄마 노릇도 바쁘다고 말했습니다. 언제쯤 사과 만드는 일을 그만두고 이야기 열매를 맺을 지 알 수 없었습니다. 장마철이 지난 어느 날, 놀랍게도 사과나무에는 이야기가 주렁주렁 열려 있었습니다. 어른이 된 꼬마가 자신이 만든 이야기들을 사과나무 가득 달아 놓았던 것입니다. 돌아가신 나의 아버지는 병석에서 소설을 읽으며 말씀하셨습니다. “감동을 주는 글을 쓰거라. 그것이 작가의 보람이다. 붉게 쓰렴. 정열이 만개하면 자비가 된다.” 아버지의 말씀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그러나 등단 후 저는 살림과 아이의 뒷바라지에서 벗어날 수가 없었습니다. 남들은 여러 개의 일을 한꺼번에 해치우는 것 같은데, 저는 그러지 못했습니다. 아이를 대학에 보내고서야 17년 만에 첫 창작집을 내게 되었습니다. 새로 등단한 자리라 여기고 이야기를 주렁주렁 달아야겠습니다. 붉고 시고 달콤한 그런 열매를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