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제
임제
평균평점
원생몽유록

<원생몽유록> <원생몽유록>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임제(林悌)가 지은 한문 단편소설로 일명 <원자허전(元子虛傳)>이라고도 한다. 이 작품은 임제의 〈화사(花史)>와 합철된 단권 필사본 이 외에 <조야첨재(朝野僉載)> 권지8에 수록된 본문, <육신전(六臣傳)>에 수록된 국역본 등이 현존하는 필사본이다. 그 외 인간본(印刊本)으로는 <장릉지 莊陵誌>, 남효온(南孝溫)의 <남추강집(南秋江集)>, 원호(元昊)의 <관란유고 觀瀾遺稿>, 임제(林悌)의 <백호문집(白湖文集)> 등에 수록된 것들이 전하고 있는데, 본 편역 작품의 출전은 원호(元昊)의 <관란유고 觀瀾遺稿>와 임제(林悌)의 <백호문집(白湖文集)>을 서로 대조하며 저본으로 삼았다. 작자에 대해서는 김시습(金時習)과 원호를 주장하는 이설이 있었다. 그러나 황여일(黃汝一)의 <해월문집(海月文集)> 기록에 의해 본 작품의 저자가 임제(林悌)라는 것이 확정되었다. 작품의 제작 연대는 확실하지 않지만 작품 말미의 연기(年記)로 추정하면 1568년(선조 1)으로 보인다고 선임연구자들은 밝히고 있다. 이 소설의 주제는 인간사의 부조리에 대한 회의와 모순된 정치권력을 비판하고 있으며, 생육신의 한 사람인 원자허(元子虛)를 주인공으로 하여 사육신과 단종의 사후생활을 그린 작품이다. 줄거리는 원자허가 어느 가을밤에 꿈을 꾸었는데, 장강(長江) 연안에서 왕(단종)을 모시고 박팽년(朴彭年) · 하위지(河緯地) · 성삼문(成三問) · 이개(李塏) · 유성원(柳誠源) · 최덕지(崔德之) 등이 모여 앉아 강개시(慷慨詩)를 화답하는데 유응부(兪應孚)가 뛰어들어, 썩은 선비들과는 대사(大事)를 도모할 수 없다고 탄식하며 검무(劍舞)와 함께 비가(悲歌)를 부르는 소리에 깜짝 놀라 잠을 깼다는 내용이다. 인간사의 부조리한 면을 주제로 삼은 이 소설은 “몽자소설(夢字小說)이 역사적 · 사회적 주제를 다루는 차원 높은 본격소설로 발돋움하는 데 기초가 된 소설”이라고 선임연구자들은 이 소설의 역사적 평가를 덧붙이고 있다. ▣ 작품 줄거리 주인공 원자허(元子虛)는 강개한 선비로 초야(草野)에 묻혀 살아가던 어느 날 밤, 꿈에서 죽은 사람들이 사는 영계로 우연히 가게 되었다. 그곳에서 복건자(幅巾者, 南孝溫 남효원)의 마중을 받아 왕(단종)과 다섯 신하가 있는 정자로 가서 이들과 어울려 고금의 흥망사를 의논한다. 마음이 격해 있던 복건자는 요(堯)·순(舜)·탕(湯)·무(武)의 네 성군을 적시(賊視)하는 발언을 한다. 이들은 선양(禪讓)을 빙자해서 찬탈의 선례를 역사에 남겼다는 것이다. 왕은 이에 이를 빙자하는 자가 나쁠 뿐이지, 결코 성군을 탓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일동은 술을 마시며 지난 일들을 시로 읊어 회한을 토로한다. 왕의 노래를 시작으로 신하들이 차례로 음영하고 마지막으로 자허는 감정이 복받쳐서 눈물을 흘리며 시 한 수를 읊었는데, 동석자들이 이 시를 듣고 비감에 젖어든다. 이때 씩씩한 장부(兪應孚에 해당)가 자리로 뛰어 들어와 왕에게 인사하고 썩은 선비들과는 대사를 이룰 수가 없다며 칼을 뽑아 춤추며 큰 소리로 노래한다. 노래가 채 끝나기도 전에 갑자기 날이 어두워지며 비바람이 몰아치고 우레 소리가 천지를 울리는데 이 때 원자허는 꿈에서 깨어난다. 작중인물 복건자에 대해 통설과는 달리 최덕지(崔德之)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많은 문헌에서 남효온으로 인정되고 있다. <원생몽유록>은 폐주 단종과 사육신의 억울한 경우를 드러내어 은연중 세조의 찬탈을 비판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것은 당대에서는 함부로 말할 수 없는 금기된 사실이었다. 그러므로 이 작품의 내용도 필사된 형태로 문집에 실리지 못한 채 전해온 것이다. 그러나 독자층은 일반사대부 외에도 국역본의 존재에서 보듯 부녀자층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된 것이다. 이는 금기시된 내용이기는 하나 불의를 미워하고 약자를 동정하는 인간의 상정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숙종은 <원생몽유록>을 친히 읽고 복건자의 발언 중 <적(賊)> 자(字)만 고쳐 세상에 읽히는 것을 묵인하였다고 한다. 이 작품에서 궁극적으로 문제 삼은 것은 인간사의 부조리한 면이다. 이 점은 해월 황여일의 발문에서도 드러나 있다. 한국소설 사상 몽유록계통의 소설이 이 작품에 이르러 비로소 역사적·사회적 주제를 띤 본격소설로 성격화되었으며, 보다 높은 차원의 몽자소설(夢字小說)의 전개를 촉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수성지 (천년의 우화 컬렉션 28)

<수성지 (천년의 우화 컬렉션 28)> - 픽사, 디즈니를 뛰어넘는 상상력을 우리 옛 우화 소설 속에서 만난다 - 서울대학교 등 전국 주요 대학 필독서와 접하기 어려운 희귀 작품이 한가득! - 그동안 어려웠던 우리 옛 우화 소설을 더 쉽게 풀어내 읽는다 우화 소설은 동식물이나 기타 사물에 인격을 부여하고 당대의 사회제도, 이념, 풍습 등을 풍자해 사람들에게 교훈을 준다. 가전체 소설, 의인 소설 등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같은 것이라 보면 된다. 동물을 의인화한 민담이나 설화 등은 오래 전부터 전해 왔다. 기록 문학으로서는 신라의 설총이 지은 「화왕계」부터 1천여 년 동안 다양한 작품이 태어났다. 양반 사회의 가치관, 윤리, 권위 등이 무너지는 조선 후기에는 한글 작품까지 나오며 우화 소설이 가장 활발히 창작되었다. 그러다 일본에게 국권을 강제로 뺏기는 1910년 전후로 점점 쇠퇴한다. 힘든 현실 속에서 세태를 풍자하는 소설이 살아남기에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 소설을 자유롭게 짓기에는 우화라는 틀이 너무 좁았다. 그러나 이후 100년을 넘겨 어느 때보다 창작이 중요해진 오늘날, 우리 옛 우화 소설은 그 발상과 소재 면에서 되짚어 봐야 할 소중한 자산이 되어 있다. 임제의 「수정지」 등 사람의 감정을 소재로 한다는 발상은 픽사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 영화 「인사이드아웃」보다 400년 이상 앞섰다. 또 송세림의 「주장군전」처럼 사람의 성기를 의인화해 주인공으로 삼은 점은 성도덕이 엄격했던 조선 사회에서 그야말로 파격 그 자체다. ‘천년의 우화 컬렉션’은 우리 옛 우화 소설의 창작 세계를 가늠하고 살핀다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책들보다 훨씬 쉬운 우리말로 풀어냈고, 접하기 어려운 희귀 작품도 많이 발굴해 포함시켰다. 이 기획으로 우리 옛 우화 소설이 새롭게 인식되고 평가받기 바란다. 더불어 현재의 수많은 창작자들에게도 새로운 자극이 되기를 바란다.

화사 (천년의 우화 컬렉션 12)

<화사 (천년의 우화 컬렉션 12)> - 픽사, 디즈니를 뛰어넘는 상상력을 우리 옛 우화 소설 속에서 만난다 - 서울대학교 등 전국 주요 대학 필독서와 접하기 어려운 희귀 작품이 한가득! - 그동안 어려웠던 우리 옛 우화 소설을 더 쉽게 풀어내 읽는다 우화 소설은 동식물이나 기타 사물에 인격을 부여하고 당대의 사회제도, 이념, 풍습 등을 풍자해 사람들에게 교훈을 준다. 가전체 소설, 의인 소설 등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같은 것이라 보면 된다. 동물을 의인화한 민담이나 설화 등은 오래 전부터 전해 왔다. 기록 문학으로서는 신라의 설총이 지은 「화왕계」부터 1천여 년 동안 다양한 작품이 태어났다. 양반 사회의 가치관, 윤리, 권위 등이 무너지는 조선 후기에는 한글 작품까지 나오며 우화 소설이 가장 활발히 창작되었다. 그러다 일본에게 국권을 강제로 뺏기는 1910년 전후로 점점 쇠퇴한다. 힘든 현실 속에서 세태를 풍자하는 소설이 살아남기에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 소설을 자유롭게 짓기에는 우화라는 틀이 너무 좁았다. 그러나 이후 100년을 넘겨 어느 때보다 창작이 중요해진 오늘날, 우리 옛 우화 소설은 그 발상과 소재 면에서 되짚어 봐야 할 소중한 자산이 되어 있다. 임제의 「수정지」 등 사람의 감정을 소재로 한다는 발상은 픽사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 영화 「인사이드아웃」보다 400년 이상 앞섰다. 또 송세림의 「주장군전」처럼 사람의 성기를 의인화해 주인공으로 삼은 점은 성도덕이 엄격했던 조선 사회에서 그야말로 파격 그 자체다. ‘천년의 우화 컬렉션’은 우리 옛 우화 소설의 창작 세계를 가늠하고 살핀다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책들보다 훨씬 쉬운 우리말로 풀어냈고, 접하기 어려운 희귀 작품도 많이 발굴해 포함시켰다. 이 기획으로 우리 옛 우화 소설이 새롭게 인식되고 평가받기 바란다. 더불어 현재의 수많은 창작자들에게도 새로운 자극이 되기를 바란다.

서옥설 (천년의 우화 컬렉션 9)

<서옥설 (천년의 우화 컬렉션 9)> - 픽사, 디즈니를 뛰어넘는 상상력을 우리 옛 우화 소설 속에서 만난다 - 서울대학교 등 전국 주요 대학 필독서와 접하기 어려운 희귀 작품이 한가득! - 그동안 어려웠던 우리 옛 우화 소설을 더 쉽게 풀어내 읽는다 우화 소설은 동식물이나 기타 사물에 인격을 부여하고 당대의 사회제도, 이념, 풍습 등을 풍자해 사람들에게 교훈을 준다. 가전체 소설, 의인 소설 등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같은 것이라 보면 된다. 동물을 의인화한 민담이나 설화 등은 오래 전부터 전해 왔다. 기록 문학으로서는 신라의 설총이 지은 「화왕계」부터 1천여 년 동안 다양한 작품이 태어났다. 양반 사회의 가치관, 윤리, 권위 등이 무너지는 조선 후기에는 한글 작품까지 나오며 우화 소설이 가장 활발히 창작되었다. 그러다 일본에게 국권을 강제로 뺏기는 1910년 전후로 점점 쇠퇴한다. 힘든 현실 속에서 세태를 풍자하는 소설이 살아남기에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 소설을 자유롭게 짓기에는 우화라는 틀이 너무 좁았다. 그러나 이후 100년을 넘겨 어느 때보다 창작이 중요해진 오늘날, 우리 옛 우화 소설은 그 발상과 소재 면에서 되짚어 봐야 할 소중한 자산이 되어 있다. 임제의 「수정지」 등 사람의 감정을 소재로 한다는 발상은 픽사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 영화 「인사이드아웃」보다 400년 이상 앞섰다. 또 송세림의 「주장군전」처럼 사람의 성기를 의인화해 주인공으로 삼은 점은 성도덕이 엄격했던 조선 사회에서 그야말로 파격 그 자체다. ‘천년의 우화 컬렉션’은 우리 옛 우화 소설의 창작 세계를 가늠하고 살핀다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책들보다 훨씬 쉬운 우리말로 풀어냈고, 접하기 어려운 희귀 작품도 많이 발굴해 포함시켰다. 이 기획으로 우리 옛 우화 소설이 새롭게 인식되고 평가받기 바란다. 더불어 현재의 수많은 창작자들에게도 새로운 자극이 되기를 바란다.

모든 시작은 너였다

“S급 박유하와 팀이 되세요. 그러면 퇴학은 보류하겠습니다.” 빙하기 도래 500년. 유일하게 봄을 유지하는 도시 '스노드롭'에서 신인류, 각성자를 키우는 육성학교에 입학했다.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성적 우수자가 되어야 하는데, 빌어먹을 체질 때문에 문제아에 불량품으로 찍히고 퇴학까지 당하게 생겼다. 학교에 남을 수 있는 조건은 하나. '저주 받은 파란 눈'이라는 남자의 손을 잡아야 한다. 퇴학만 면할 수 있다면 누구 손을 못 잡을까. 그런데. “죽고 싶으면 혼자 조용히 죽어.” “역시 자살 희망자였네.” “학교 때려치우는 게 어때? 너 사라져도 아쉬워할 사람 없어 보이던데.” S급? 연예인 뺨 치는 외모? 하늘처럼 예쁜 눈? 그러면 뭐 하나. 이 남자, 정말 마음에 안 든다. 마음 같아서는 한 대 치고 싶다. 아니, 그러면서. “한 번만 더 쟤 건드리면 그때는 팔, 다리를 아예 못 쓰게 될 줄 알아.” “네가 여기 있는 것 자체가 신경쓰인다고!” 왜 걱정하는 사람처럼 나를 쳐다 봐? 왜 자꾸 구해주는데? 이때까지는 몰랐다. 서로가 불행의 시작이었고, 구원의 시작이었음을.

라이벌과 계약 결혼한 이유

기사 서임 직전, 잔느는 전생을 기억해 냈다.충성을 맹세했던 왕자 놈이 나를 배신하고 불에 태워 죽였다는 것을.옛날에는 미련해서 속았지만, 이번 생에는 어림도 없다.저놈과 엮이지 않기 위해 한때 라이벌이었던 대공작, 클로드의 밑에 들어가 비호를 받는 수밖에. 자존심은 밥도 안 먹여 주고 살려 주지도 않으니까.“꽤 건방진 신입이네?”“왜? 혹시 무서워? 같이 가 줄까?”여전히 속을 박박 긁는 얄미운 놈이지만 덕분에 최악의 미래는 피했다.그랬는데 망할 놈의 왕자가 저를 되찾겠다며 함정을 팠다.이를 벗어날 방법은 단 하나.“나와 결혼하자.”“……뭐?!”쉽지 않다. 새로운 인생 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