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B - 한현주 희곡 [2019 아르코 창작산실 대본공모 선정작품]> « 괴물 B » 시놉시스 주인공 B는 성별, 나이 모두 짐작할 수 없는 인물이다. 그의 몸은 좀 특별하다. 신체의 각 부분이 결합된 몸이다. 프랑켄슈타인이 만든 괴물을 떠올려볼 수도 있겠지만 그것과는 좀 다르다. B의 몸은 노동 중에, 즉 산업 재해로 손실된 몸의 일부들로 결합된 것이다. 그러다보니 신체의 각 부분의 주인이었던 자들의 성격들이 마구 발산된다. 특히 그들이 몸의 일부를 잃을 당시에 느꼈던 감각이 마구 전해져 B를 고통스럽게 해왔다. 거의 120여 년 동안 말이다. 이런 B를 지칭하는 수식어들은 다음과 같다. ‘살아있는 시체?’ ‘죽지 않은 자?’ ‘태어나지 않은 자?’ ‘비참한 자?’ ‘단수이자 복수?’ B는 이제 이 지긋지긋한 삶을 끝내려 한다. 하지만 그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자살도 불가능하다. 몸의 모든 주인들이 죽어야 자신도 죽을 수 있기 때문이다. B는 자신과 같은 부류에서 가장 늙은 축에 속한다. 그만큼 몸의 많은 주인들이 늙거나 병들어 죽었다. 이제 셋 남았다. B는 그들을 죽이고 생을 마치려 한다. 그는 자신을 돌봐준 신부님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몸이 시작된 한 폐공장에 짐을 푼다. 요람에 무덤을 만들려는 것이다. 물론 신부는 그의 살인 및 자살 계획을 알지 못한다. 그런데 그곳을 휴식 공간으로 쓰는 스물 두 살의 ‘연아’가 있다. 인근 공장에서 3교대로 일하는 그녀는 식사 시간이나 퇴근 후에 이곳에서 시간을 보낸다. 연아는 B의 정체를 모른 채, 신부님의 간곡한 부탁으로 폐공장을 공유하기로 한다. 그리고 그곳에 또 하나의 인물이 찾아온다. B의 후배인 b다. b는 누구보다 B의 고통을 잘 알기에 그의 계획에 동참하고자 하는 것이다. B는 일단 자신이 죽이고자 하는 세 사람이 어디에 살고 있는지 찾아야 한다. 그래서....
<컴퓨터를 사주고 싶어요> 단칸방 엄마는 멋진 내일을 꿈꾼다. 그녀가 생각하는 멋진 내일을 만들려면, 스스로 인내하고, 기다리고. 때로는 악을 써대고 화해야야 한다. 감내해야 할 것들이 너무 많다. 단칸방 엄마는 과연 멋진 내일을 만들기 위한 한걸음을 또 다시 내딛을 수 있을까 이 소설을 읽으면, 마음의 위로가 된다. 우리의 삶은 단칸방 엄마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매일은 아니라도 우리에게 단칸방 엄마가 겪었던 류의 이야기는 매우 자주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1998년 서울의 한 동네. 비좁고 꼬불꼬불한 골목길을 따라 시멘트 블록, 빨간 벽돌 등으로 지어진 허름한 집들과 다세대 주택이 다닥다닥 붙어 있다. 이 동네에 살고 있는 주인공 여분씨. 그는 슈퍼를 운영하며, 단칸방에서 남편과 함께 아들 한명과 딸 한명을 키우고 있다. 어느 날 주인공은 아들에게 컴퓨터를 사주려 한다. 또한 그녀는 저렴한 수학 학습지 공부 대신, 가격이 비싼 수학 과외를 시키려 한다. 그러나 살림은 넉넉하지 않다. 그녀의 바람은 어떻게 될까? 인간은 행복을 꿈꾼다. 그러나 행복은 아무 때나 누구에게나 주어지지 않는다. 스스로 노력하고, 때론 인내하고, 때로는 싸우기도 해야 한다. 행복을 이루는 과정은 인간의 투쟁이다. 그러나 그 투쟁의 과정은 만만치 않다. 스스로 상처 받기고 하고,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기도 한다. 그러나 인간은 행복해야 하고, 투쟁해야 한다.
<토론은 싸움이 아니야!> 《토론은 싸움이 아니야!》는 어린이 친구들에게 토론에서 나와 다른 의견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갖고, 더 성숙한 태도로 토론하게끔 이끌어주는 책이다. 어린이는 물론 어른들도 토론을 하며 감정이 격해지고 싸움이 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 토론이 감정싸움으로 변질되는 이유는 ‘나와 다른 의견’은 ‘나를 무시하고, 나를 지적하는 의견’으로 받아들이는 시각의 탓이 크다. 이 책은 어린이 친구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남에게 더 정연하게 전하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은 물론, 나와 다른 생각을 포용력 있게 받아들이는 자세를 일깨워준다. 토론으로 생각의 폭을 넓히고 나를 이롭게 적용하게끔 토론 능력을 길러준다.
<나랑만 친구해!> 나랑만 친구해!》는 어린이 친구들의 관계 욕구를 재미있는 동화로 살펴보며, 친구는 서로 존중하고 즐겁게 지내야 할 존재임을 일깨워주는 심리동화책이다. 어린이 친구들이 점점 커가며 친구 관계도 긴밀해지는데, 친구를 사귀면서 부딪히는 못된 감정과 미숙한 마음에 대해 이야기한다. 어린이 친구들에게 단짝 친구에 대한 소유욕을 자연스럽게 해소하게 돕는다. 또한 자신과 다른 성격의 친구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즐겁게 친구 사이로 지내도록 도와준다. 초등 어린이의 친구 관계를 생생하게 묘사하며 어린이 친구가 자기 이야기일 수도 있다는 공감을 이끌어낼 것이다. 더 나아가 친구를 존중하며 대하고 건강한 사이로 발전시켜나가는 모습을 안내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