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법의 세계 또한 방대하고 심오하다 들었다. 그 안에 네가 찾고자 하는 해답이 있을 수도 있겠구나.” 천 년 동안 대성한 자가 없는 ‘천뢰신공’. 연씨금창부 후예 연소람은 그 난제를 풀기 위해 운남성에 은거한 술법문파 ‘신기밀문’을 방문한다. 신기밀문 문주의 아들, 천재 술법자 단우관을 만나 우정을 나누고 무공과 술법을 교류하는 연소람. 하지만 단우관의 외숙부 대독흠은 야망에 불타 신기밀문을 삼킨 뒤 무림을 지배하고자 하고, 소람과 우관은 목숨을 건 도피행에 나서는데. 단철의 무공과 영검의 술법이 함께할 때 무림을 구원할 최강의 ‘파왕’이 탄생한다!
<정생전> 경기도 양근에 살던 정생은 어려서 고아가 되어 고모부인 한양 권 상서의 집에서 자랐다. 어느 날 함께 공부하던 이들과 삼청동에 놀러 갔다가 우연히 한 여인과 만나 인연을 맺었다. 여인이 임신 사실을 알렸지만 정생은 지방관으로 부임하는 권 상서를 따라가 버리고 말았다. 여인은 출산 후 여종에게 아이를 맡기고 자결했다. 이후 정생은 과거에도 연거푸 떨어지고 정실과의 사이에 낳은 네 아들 중 셋이 연거푸 죽고 부인까지 죽었다. 권 상서 아들에게 기탁해 있는 동안 병이 들어 산사에 들어가 몸을 보했다. 그때 묘원 법사가 찾아왔다. 그는 정생의 아들이었다. 묘원은 깊은 산으로 들어가 아버지만을 모시며 효도하며 지냈다. 아버지의 병도 낫게 했을 뿐만 아니라, 아버지에게 도교적 수련 방식을 가르쳐서 득도하게 하기도 했고, 다양한 주제의 문답을 함께 나누기도 했으며, 아버지의 소원에 따라 탈신(脫身)하여 천상계의 여러 장소를 방문하기도 했다. 나중에 정생이 죽자, 묘원대사는 동생인 소정생과 함께 양근에서 좋은 묏자리를 선택하여 장례를 지내고, 전에 돌아가신 어머니와 유모의 묘까지 옮겨 와 합장하고 떠나갔다. <정생전>은 전기소설의 전통을 이으면서도 이전 시기에는 볼 수 없는 특이한 구성을 보인다. 양반 남성과 중인 여성 간의 결합, 남성 주인공의 우유부단한 배신이 그려진다는 점이다. 신분의 문제로 양반 자제인 남성이 다른 계급 여성을 배신하게 되는 모티프는 18세기 말 이후 소설에서 드러나는 특징이다. <정생전>은 이른 시기에 이런 모티프를 보인다는 점에서 또 특별하다. 남성의 배신에 대해 여성이 저주와 복수를 하는 구성도 보기 드물다. 또 하나의 특징은 잡다한 지식이 나오고, 내용 설명 문답 등이 이어지는 의론형 대화가 많이 나온다는 점이다. 백과사전처럼 여러 지식이 나열되고 다양한 설명과 문답이 이어지는 것은 18∼19세기 장편 한문소설의 특징이다. <정생전>은 그런 성격을 보여 주는 초기 작품으로 주목을 받는다. 그간 선학들의 논문에서 여러 번 다루어졌으나 번역 소개된 적이 없는 작품을 최초로 옮겼다. 자료로서의 가치를 더하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원문을 함께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