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하
박상하
평균평점
왕의 노래

<왕의 노래> 바꾸려는 자 ‘정조’와 지키려는 자 ‘노론’ 사이에서 벌어지는 7일 동안의 궁중 암투기! 조선왕조 역사상 가장 장엄하다는 을묘년(1795) 화성華城 행차를 앞두고 궁중은 두 쪽으로 갈라서게 된다.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묘를 참배하기 위해 화성 행차를 감행하겠다는 정조, 그에 반해 민심의 이반을 들어 화성 행차를 온 몸으로 막으려는 노론 사이에 갈등은 깊어간다. 그러나 화성 행차는 그저 표면적인 이유일 뿐 정작 속내는 양쪽 모두 다른 데 있다. 화성 행차를 통하여 실추된 왕권을 되찾으려는 정조 측과, 화성 행차를 막아내어 신권을 지키려는 노론이 정면으로 충돌케 된 것이다. 바꾸려는 군주 정조와 지키려는 노론 정파 사이에 벌어지는 7일 동안의 궁중 암투기를 정밀하게 집중적으로 그리고 있다. 화성 행차를 다짐하며 절규하는 정조의 생생한 육성은 사회 갈등이 적지 않은 지금의 시점에서도 그 울림이 크게 다가온다. ‘아버지 사도세자가 미처 이루지 못한 채 스러져간 꿈, 농토마저 없는 가난한 백성들에게 장사라도 마음 놓고 할 수 있게 하여 자신의 생계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하리라. 국초 이래 시행되어온 지엄한 국법이라 할지라도 마땅히 바꾸어 금난전권을 폐지시키고 말리라. 종루 육의전과 노론 사이에 드러나지 않은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어내어 가련한 민생을 구하고, 육의전 상인들의 이윤을 보존해 주리라.’ 정조 말년 육조의 정치 성향은 물론이고 33살의 젊은 정약용과 단원 김홍도,‘조선 제일의 검’백동수 등 낯익은 역사 인물들이 역동적이다. 또한 에필로그로 덧붙인 정조의 독살설과 더불어 정순왕후의 세도정치에 대한 작가의 해석이 이채롭다.

나를 성웅이라 부르라 제1권

<나를 성웅이라 부르라 제1권> 숨겨져 있던 임진왜란의 영웅 정기룡의 삶을 그린 역사소설『나를 성웅이라 부르라』. 역사 속에 묻혀 있던 우리 민족의 새로운 영웅을 만날 수 있다. 임진왜란 7년 전쟁 속에서 이순신이 수군의 명장이었다면, 정기룡은 육군의 명장이었다. 그는 나라를 위해 분연히 일어나 최악의 순간에서도 승리를 이끌어낸 고독한 영웅이었다. 이 소설은 젊은 전쟁 영웅 정기룡 장군의 일대기를 그리고 있다. 작가는 이 작품의 단초가 되었던 고문집 <매헌실기>는 물론 <조선왕조실록> 등을 통해 당시의 역사를 살펴보고, 정기룡이 크고 작은 60여 건의 전쟁을 치뤄낸 전적지를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역사적 자료에 작가적 상상력을 더해, 정기룡의 발자취를 새롭게 재현해냈다. 제1권 "매헌실기를 찾아서" 편에서는 정무수가 25세에 과거 무과에 급제하고, 활쏘기에 출중하여 선조로부터 "정기룡"이라는 이름을 받는 청년 시절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역사적 고증을 바탕으로 인물과 사건을 명쾌하게 그려내고 있으며, 전쟁의 양상을 전체적인 구도에서 바라본다. 또한 당시 조선군과 왜군의 전쟁 전술, 무기 체제 등을 엿볼 수 있다.

진주성 전쟁기

<진주성 전쟁기> 1994년 「문예사조」소설 부문 신인상으로 등단한 박상하의 장편 역사소설. 임진왜란 7년 전쟁 가운데 가장 처절하게 싸웠던 진주성 1, 2차 전쟁이야기를 독특한 문체로 실감나게 그려내고 있다. 적의 10만 대군에 겹겹이 에워싸여 죽음의 공포 속에서도 '오직 싸우다가 죽을 각오일 따름'이라고 역사 앞에 홀연히 외치며, 진주성을 지켜내기 위하여 영남, 호남, 충청 3도의 1만여 병사들과 백성들이 모두가 장렬히 산화해 간 그 외로운 순절의 함성을 수많은 자료와 증거에 의거해 낱낱이 되살려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