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정현
남정현
평균평점
분지

<분지> 남정현 소설. 남정현은 한국문학의 풍자적 알레고리 기법을 대표하는 작가로서, 「분지」에는 작가의 고유한 기법적 특성이 잘 드러나 있다. …… 주인공 홍만수가 홍길동의 제10대손이라는 것부터가 그러하다. 허균의 한글소설『홍길동전』에 등장하는 홍길동은 당연히 가상의 인물이다. 따라서 홍길동의 10대손이라는 것은 작가의 저항의식을 표현하기 위한 인위적 기호라고 할 수 있다. 만수(萬壽)라는 이름 역시 영원히 지속될 민족의 저항과 생명력을 드러내는 기호이다. 홍만수가 숨어 있는 산의 이름은‘미국을 향해 있다’는 의미의 향미산(向美山)이다. 이러한 향미산은 미국을 맹목적으로 숭배하는 당대의 한국 사회에 대한 알레고리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알레고리는 궁극적으로 해방 이후 지속된 한국 사회의 식민지성에 대한 풍자와 직결된다.

남정현 중단편집

<남정현 중단편집> 문학작품이 정치 상황을 포섭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 같아 보인다. 그러나 그것의 미학적 방법론을 완성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선거와 여론을 의식하며 눈치 보는 현대 정치인들은 문화의 흐름보다 더욱 빠르게 정치의 상황을 변화시킨다. 남정현이 초기작을 발표하던 1960년대는 지금과 다르게 정치 상황의 변화 가능성이 희박했다. 사일구와 오일륙이 차례로 일어났고 반공과 독재가 보편화된 시기였다. 1960년대의 리얼리스트들은 자유를 억압하는 주체를 비판하거나 중공업 중심으로 진행되는 산업화에 저항하고자 했고 외세에 의해 형성되는 문화·경제적 예속 상태를 구체적으로 기록하려 했다. 그래서 1960년대 문학에는 부의 축적 과정에서 파생되는 개인의 도덕적 타락상과 외세 개입에 의해 형성되는 정치·사회·문화·경제적 혼란상이 자주 나타난다. 외세는 당대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할 수 있는 키워드인데 남정현의 작품 세계에서는 외세에 대한 반발이 초기부터 후기까지 일관되게 나타난다. 그의 대표작 <너는 뭐냐>는 당시 사회에 만연했던 가치관의 전도 상황을 풍자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이자 주된 초점 화자로 등장하는 남편 관수는 외국 소설을 우리말로 번역하는 일을 하는데 경제적으로 무능하다. 아내 신옥은 무역회사의 사장 비서로 일하면서 바깥에서는 독신으로 행세하고, 안에 들어와서는 남편에게 애인을 자랑한다. 그녀는 남편에게 애인을 자랑할 수 있는 것이 현대적 자유라 주장한다. 도덕적이고 건전한 관수의 이데올로기는 신옥의 속물적이고 왜곡된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번번이 설복 당한다. 신옥은 ‘현대’를 최고의 가치로 내세우면서 방 안에서 요강에다 대변을 보는 희극적 인물이다. 재래식 화장실에 바이러스가 많으니 청결한 요강에다 변을 봐야 한다는 것이 그녀의 주장이다. 관수는 아침마다 아내의 변 냄새를 맡으면서도 그녀에게 반항하지 못하고 그녀가 내세우는 ‘현대’를 마음속으로만 저주한다. 식모 일을 하면서 연예인 되기를 꿈꾸는 인숙, 라디오 드라마 줄거리를 외우는 데에는 천재적이면서 학교 공부에는 그렇지 못한 초등학생 경자와 명자의 태도는 신옥을 닮아 있다. 그들 역시 관수를 비웃고 조롱한다. 이 비정상적인 관계는 결말에 등장하는 의외의 사건을 통해 관수가 쾌감에 도달하면서 마무리된다. 남정현은 한 대담(對談)에서 <너는 뭐냐>의 결말에 등장하는 시위 군중이 사일구 혁명의 분위기를 상징한다고 했다. “너만 살면 제일이냐”, “사람대접을 해라”고 외치는 구호와 “인민을 학대하던 일체의 건물과 일체의 제복이 인민들의 그 피를 토하는 함성과 주먹방망이에 의해서 산산히 부서져 버리는 순간이었다”는 문장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거기에서 관수는 뜻밖에도 신옥을 목격한다. 신옥은 애인으로 짐작되는 사람과 함께 고급 승용차에 타고 있었다. 자동차에서 클랙슨이 울리자 시위 군중이 유리창을 깼고, 차 주인이 “패스포드”를 내민다. 권위로 압도하려 하는 것이다. 군중이 야유하고 비웃는다. 이번에는 차에서 신옥이 화를 내며 내린다. 군중들은 신옥에게 “너는 뭐냐”라고 꾸짖는다. 관수는 신옥이 “현대”를 들이대면서 군중을 휘어잡을 줄 알았지만 그녀의 태도는 예상 밖이다. 그녀는 무릎을 꿇고 빈다. 관수는 문득 다가온 깨달음에서 쾌감을 얻는다. 그리고 그녀에게 다가가 멱살을 잡고 “너는 뭐냐”라고 외치며 즐거워한다. 인물 간의 갈등이 의외의 결말에 의해 해소되는 것과 함께 인물의 행동이 과장되고 감정이 과잉되어 있다는 것은 남정현 소설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특징이다. 그동안 당해왔던 억눌림을 보복하기 위해 관수가 신옥의 멱살을 잡고 “너는 뭐냐”라고 외치는 행위는 과장되어 보인다. 이런 식의 서사 진행은 연극에서 말하는 바 과잉 연기와 유사하다. 연극에서 나타났던 과잉 연기(ham acting)는 과장되고 부자연스런 몸짓이었다. 이는 코믹한 요소를 증가시켜 희화화를 하기 위해 고안되었던 방식이었는데 그것에는 작가의 의도가 강하게 개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