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가 없는 나라로 가고 싶다> 중견 동화작가 이규희의 자적적 성장소설. 역사적으로 격동의 시기인 1960년대를 배경으로, 아버지의 존재를 애증의 교차하는 어린 여자아이의 시선으로 그린 작품이다. 수희는 한의사인 아버지와 평범한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자란다. 그런데 아버지는 수희 어머니를 셋방으로 내몰고 다른 여자와 딴살림을 차린다. 순하고 나약한 심정을 지닌 어머니는 눈물로 얼룩진 삶을 살아가고, 배다른 남매들에게 아버지와 본가를 내주어야 했던 수희도 늘 허기지고 우울한 나날을 보낸다. 그러던 중 향락에 빠져든 아버지는 가산을 탕진하고 한의원마저 남에게 넘겨주는 처지가 되는데…….
<모래시계가 된 위안부 할머니>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 꽃다운 처녀 시절을 유린당한 황금주 할머니의 실제 이야기를 김은비라는 열두 살 소녀의 이야기와 엮어 액자 형식으로 쓴 장편소설이다. 은비는 성추행을 당한 경험을 통해 위안부로 살아야 했던 할머니의 삶을 이해하게 되고 할머니 마음에 지워지지 않는 상처를 헤아리게 된다. 독자들은 ‘용서하되 잊지 말아야 할’ 민족의 뼈아픈 과거를 들려주는 이 작품을 통해, 모래알이 다 빠져나가 텅 비어 버린 모래시계처럼 하나둘 세상을 떠나 곧 시간의 뒤안길로 사라져 버릴 할머니들의 삶을 가슴에 새겨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독립군 소녀 해주> 한글도, 태극기도 몰랐던 해주는 어쩌다 독립군 소녀가 되었을까요? 이 대감댁 머슴의 딸로 태어난 해주는 분희 언니랑 장에 가는 게 유일한 낙인 열두 살 소녀입니다. 어느 날, 해주는 분희 언니와 함께 건어물을 사러 나왔다가 경성역에서 일장기를 들고 팔락이는 사람들을 만납니다. 젊은 군인들도 잔뜩 있었지요. 그 무리는 제2차 세계대전에 끌려가는 조선인 청년들의 출정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을 알 리가 없는 해주는 그저 많은 사람과 경쾌한 노래에 신이 났지요. 일장기를 팔락이며 집으로 돌아온 해주는 문지방을 넘자마자 주인어른의 불호령을 듣습니다. 일장기를 든 게 왜 나쁜 일인지 모르는 해주는 그만 울음을 터뜨렸지요. 주인어른은 해주를 달래며 조심스럽게 분희와 해주에게 태극기를 보여주셨습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본 태극기는 해주의 가슴을 떨리게 했지요. 그리고 태극기를 자랑스레 드러낼 수 없다는 사실에 슬펐습니다. 해주에게 이렇게 태극기를 보여 준 주인어른은 독립운동을 뒤에서 열심히 돕는 이시창 어른이었습니다. 그러나 점점 감시가 심해져 도움을 주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요. 그때 해주가 나서게 되었습니다. 어린아이에게는 일본의 감시가 소홀하다는 틈을 타 해주가 편지를 전해 주게 되었지요. 해주의 첫 번째 독립운동이었어요. 벌벌 떨리는 가슴을 안고, 무사히 편지를 전달한 해주는 가슴 깊이 올라오는 분노에 두근거렸습니다. 왜 우리나라가 일본에게 이렇게 고통 받아야하지? 조선말을 쓰고 조선 노래를 부르는 조선인으로는 편히 살 수는 없는 걸까? 라면서요. 해주는 처음으로 조선인으로 독립을 간절히 소망하였습니다. 과연 독립군 소녀 해주는 앞으로 또 어떻게 독립운동을 하게 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