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건
김종건
평균평점
20-21세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진단

<20-21세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진단> 거의 반세기 이상을 제임스 조이스를 연구한 김종건 교수가 <20-21세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진단>을 선보인다. 김종건 교수는 <율리시스>와 <피네간의 경야>의 문학적 진단을 끝으로 조이스의 오랜 탐구를 마무리한다. 제임스 조이스는 20-21세기, 모더니즘 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양대 증언으로 칭하는 <율리시스>와 <피네간의 경야>를 썼다. <20-21세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진단>은 그동안 김종건 교수가 연구한 제임스 조이스 관련 책에서 다루지 않았던 주석들의 낱낱의 조항들을 상세하게 선보인다.

밤의 미로

<밤의 미로> 제임스 조이스의 역작 피네간의 경야를 쉽게 풀어 쓴 책이다. 조이스 작품 연구에만 몰두해온 김종건 교수의 역작이기도 하다. 20세기 문학의 결정판인 <피네간의 경야>가 대중화되기를 바라며, 좀 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원서 내용과 번역을 함께 구성했다. 번역으로만 부족한 곳에는 해설을 덧붙였다. 종전에 출간한 <피네간의 경야 이야기>보다 늘어난 원서의 내용과 저자의 계속적인 연구로 색다른 언어 해석이 담겨 있다. 1400개에 달하는 주석은 수수께끼 같은 언어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제임스 조이스의 아름다운 글들

<제임스 조이스의 아름다운 글들> 제임스 조이스 문학 중 최고의 미문(美文)만을 모은 작품집 『제임스 조이스의 아름다운 글들』. 이 책은 제임스 조이스의 최고 연구가인 김종건 교수가 문학의 진수로 손꼽히는 작품들 중 최고 미문만을 선별하여 독자들이 제임스 조이스 문학의 진정한 아름다움과 인물 간의 대화 속에 감춰진 수많은 수수께끼 혹은 의미심장한 실험적 의도 등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