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원
강호원
평균평점
물망

<물망> 난이 된 거병, 역심이 된 충정, 은폐된 충신, 무신 이징옥을 기억하다 세종~단종 삼 대에 걸쳐 조선의 북방을 지켰던 무장 이징옥을 소설로 만난다. 비교적 잘 알려진 동시대 인물로 이징옥과 조선 북관의 양대 산맥을 이루었던 김종서가 있지만, 이징옥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고 그저 ‘이징옥의 난’이라는 말로 단순하게 설명되고 있는 현실이다. 단종조 계유정난 당시 혼란한 틈을 타 북방의 여진족 세력을 등에 업고 대금황제大金皇帝를 칭하며 군사를 일으켜 역모를 도모했다는 것인데, 소설 『물망』의 작가 강호원은 이징옥의 거병을 그와 같이 해석하는 시각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징옥은 역심으로 군대를 일으킨 것이 아니라, 종신들을 피살하고 단종을 사실상 구금 상태에 두며 왕위 찬탈에 대한 야욕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수양대군의 계유정난에 반기를 들고 종사를 정상화하기 위해 분연히 의거한 것이라고 보아야 옳다는 것이다. 이징옥을 애민 정치를 펼쳤던 참 수령이자, 왕의 두터운 신임을 입었던 충신이라 평가하고 있는『세종실록』이 바로 그 증거이다. 그러나 결국 역사의 승자가 된 것은 수양대군이니 패자인 이징옥은 역신이 되어 역사에서 언급되어서는 아니 될 인물로 남았다. 소설 『물망』은 『조선왕조실록』을 기반으로 한 철저한 역사적 고증을 통해 사필귀정事必歸正, 파사현정破邪顯正의 기치를 들고 수양대군과 그 도당의 패도에 맞서 일어서는 이징옥과 그를 따르는 북방의 무장들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소설 『물망』은 잊힌 충신들을 재평가하고, 은폐된 역사를 드러내고자 하는 문학적 시도인 것이다. 잊힌 우리 북방 역사, 그 한가운데에 이징옥이 서 있다! 이징옥을 역도로 몰아가는 역사의 흐름 속에서 이징옥과 함께 조선 북방의 역사를 이루었던 여진족에 대한 평가도 왜곡되었다. 수양대군은 이징옥의 거병 이후 보복 차원에서 친이징옥 성향의 올량합 여진족을 가차 없이 숙청한다. 그로 인해 태조 이성계의 조선 건국 당시부터 함께하며 줄곧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왔던 여진족과의 관계는 극도로 악화된다. 오늘날까지도 우리 사회에서는 올량합의 독음을 변형한 ‘오랑캐’라는 말이 비하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강호원은 여진족과 관련된 역사를 부정하고 이들을 적대시하는 태도에서 발해 역사를 삭제했던 『삼국사기』의 편협한 사고와 같은 역사 인식이 되살아났다고 탄식한다. 세조대에 이르러 이징옥에 대한 역사를 지우는 과정에서 여진족과 관련된 우리 북방 역사도 상당 부분 누락되었기 때문이다. 식민사관은 이런 잘못된 역사관을 잇는 또 하나의 사생아일 뿐이다. 이징옥과 그와 관련된 역사를 되새기는 일은 결국 잊힌 우리 북방 역사를 회복하는 일이다. 역사의 격랑 속에서 스러져간 모든 이들에 대한 헌사, 물망 소설 『물망』은 이징옥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실제로 상당 부분을 이징옥에 대해서 다루나, 그에 못지않게 중요히 다루고자 했던 것은 올량합 여진족장 낭발아한의 딸 토로고와 이징옥을 따르는 무장 김죽의 비극적인 사랑이다. 이징옥의 거병은 결국 내부의 배신으로 허무하게 끝나고, 의를 위한 거병은 난으로, 이징옥은 역사 속에서 절대 언급되어서는 아니 될 역도로 남았다. 강호원은 소설을 통해 그런 이징옥을 재발견하려 하는데, 그것은 단순히 잊힌 충신에 대한 안타까움 때문만이 아니라, 이징옥이 잊히면 그와 관련된 역사 속 개인의 비극 또한 잊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소설 이징옥은 역사의 격랑 속에서 스러져간 이들에 대한 헌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