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평균평점
그림자를 판 사나이

<그림자를 판 사나이> 현실과 허구의 구분을 해체시키는 세련된 문학 기법으로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그늘을 미리 예견한 19세기 독일 문학의 수작 『그림자를 판 사나이』 여기 자신의 그림자를 팔아 부와 명예를 거머쥔 남자가 있다. 그는 과연 행복했을까?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의 19세기 소설 『그림자를 판 사나이』는 주인공 슐레밀이 자신의 그림자를 정체불명의 남자에게 팔면서 시작한다. 궁핍했던 그는 그림자를 판 대가로 금화가 고갈되지 않는 마법의 주머니를 얻는다. 그는 그 주머니를 통해 많은 사람들의 존경과 부러움을 얻으며 호화로운 생활을 영위한다. 하지만 이내 그림자가 없이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지위를 얻지 못하며 사람들에게 혐오의 대상이 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이때부터 그의 비극이 시작된다. 많은 사람들이 그를 백작으로 알고 추앙하지만 정작 그는 그림자 때문에 하인의 도움 없이는 방 밖으로 나가기도 어려운 몸이 되었다. 또한 자신이 사랑하는 여인에게도 온전히 다가가지 못하고 주위를 맴돌아야 하는 비참한 신세로 전락한다. 결국 그림자가 없다는 사실이 사람들에게 발각되고, 마법 주머니를 통해 쌓아 올린 자신의 왕국에서 쫓겨난다. 그에게서 그림자를 사 간 정체불명의 남자는 자신에게 영혼을 팔면 그림자를 되돌려 주겠노라고 제안하지만 그는 이를 거절하고 방랑길에 오른다. 그는 다시 행복을 찾을 수 있을까?

페터 슐레밀의 기이한 이야기

<페터 슐레밀의 기이한 이야기> 작가 샤미소에 따르면, 슐레밀(Schlemihl, 또는 Schlemiel)은 히브리 인명으로, ‘신에게 사랑받는 자’라는 뜻인데, 유태인 은어로는 반어적으로 ‘서툴고 재수 없는 사람’을 가리킨다. 슐레밀은 구체적인 잘못이나 죄도 없이 ‘재수 없게’ 악마의 유혹을 받아 그림자를 잃는다. 그러나 샤미소는 이 작품에서 그림자의 상실 자체보다는 오히려 인간의 자기기만과 공허한 환상을 보여 주려 한다. 작가는 기적과 환상을 마치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인 듯이 사실적인 문체로 묘사한다. 작가는 원래 그의 “기이한 이야기”를 어린이 대상의 단순한 동화로 규정하려 했다. ‘그림자 없는 사람’이라는 착상도 우연한 계기에 즉흥적으로 나온 것이었다. 샤미소는 여행하다가 여러 옷가지를 도둑맞은 적이 있는데, 이에 그의 친구 푸케가 혹시 그림자마저 잃지 않았냐고 농담으로 물었고, 이 질문에서 영감을 얻어 슐레밀 이야기가 구상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겉으로 보기에 소박한 발상과 단순한 동화적 구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이 작품에는 포괄적이고 철학적인 실존의 문제가 함축되어 있다. 토마스 만에 따르면, 슐레밀의 그림자는 현실 세계에서의 안정, 시민사회의 ‘미덕’을 표현한다. 이러한 시민 생활의 토대를 다시 회복하지 못하는 슐레밀은 사회 현실에서 소외된 낭만적 예술가의 상징이면서, 동시에 작가 샤미소가 겪은 불안정한 생활의 체험을 비춰 보여 준다. 낭만주의적 고향 상실과 근원적 진실의 추구를 뜻하는 “자신만을 위한” 삶을 슐레밀은 생산적인 대안으로 받아들여 자연 탐구에 전념한다. 그의 이 선택이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영혼을 팔아 그림자를, 그로써 부패한 시민적 행복을 되찾지는 않겠다는 고독한 결의가 의롭고 귀하기 때문이다. ‘민담 소설’ ≪페터 슐레밀의 기이한 이야기≫는 1814년 초판의 출간 직후부터 독일 국내외에 널리 알려져 곧 프랑스어, 영어, 이탈리아어 등의 번역이 이어졌고, 20세기까지 애독되며 깊은 관심과 찬사를 받아 왔다. 특히 토마스 만은 이 작품에 대해 민담과 단편소설의 중간 형식인 “환상 단편소설(phantastische Novelle)”이라는 장르 개념을 제시해 작가와 작품 연구의 새로운 전기(轉機)를 마련했다. 이 작품의 주요 판본으로는 푸케가 간행한 1814년 초판을 비롯해 1827년 재판, 1835년 3판과 1836년 선집에 포함된 4판이 각각 삽화가 곁들여져 작가 생전에 나왔고, 샤미소가 죽은 후 삽화가 보강된 새 판을 1839년 히치히가 출간했다. 이 책을 번역하는 데 원전으로 삼은 것은 권위 있는 한저출판사에서 나온 2권짜리 선집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작품집 2권≫ 15∼79쪽과, 해설 부분인 694∼703쪽이다. 그 밖에 레클람출판사의 해설 및 자료집 ≪다그마르 발라흐: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페터 슐레밀의 기이한 이야기≫(Stuttgart 1994)를 참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