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오 시선> 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울산 최초의 대과 급제자 죽오 이근오는 울산을 대표하는 학성 이씨 가문에서 태어났다. 경주 보문의 활산 남용만 문하에서 수학한 그는 1790년 울산 최초로 대과에 급제해 관직에 오른다. 중앙과 지역의 중간자적 위치에서 양쪽의 동향과 현안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만 당시 세가 약했던 영남 출신으로서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있었다. 후학 양성에 힘쓰다 ‘지역’과 ‘문벌’의 한계를 실감한 이근오는 병조정랑을 끝으로 낙향해 독서와 후진 양성에 매진했다. 경주, 밀양 등 주변 지역의 인사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울산이나 인근 고을에 부임한 관원들과도 밀접하게 교유해 후진의 출사를 도모하는 한편, 지역 인사들과 힘을 합해 고을의 인재를 길러 내기 위한 교육 기관인 양사재를 건립하기도 했다. 지금도 그 자리에 양사 초등학교가 있다. 이근오의 문하에 출입하며 소과 또는 대과에 합격한 사람들은 그를 엄한 스승으로 기억하고 있었는데 바로 울산의 윤병호, 윤병이와 경주의 남봉양, 권찬환 등이다. 충담하고 화평한 시문 이근오의 문학 작품은 대체로 충담하고 화평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그의 삶이 그리 녹록하지 않았음에도 작품에 세상을 원망하는 말이 없고 평이한 문체와 시어를 주로 구사한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시는 낙향한 후 자연 가운데 고요히 사색하는 자연시, 주변 인사들과 교유하면서 주고받은 교유시와 축하시, 지인들과 여행하며 함께 창수한 유람시 등으로 다양한데, 조선 후기 향반의 모습은 물론, 당시 울산 지역의 모습과 영남파 학맥, 인맥의 네트워크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귀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