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여하
홍여하
평균평점
목재 시선

<목재 시선> 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영남에서 문장으로 빛나다 ≪목재 시집≫은 목재(木齋) 홍여하(洪汝河, 1620∼1674)의 문집인 ≪목재집≫ 가운데 한시를 골라 번역하고 주해한 것이다. 그의 시는 문집 권1과 2에 수록되어 있는 것이 총 255제 380수이며, 교유 인물들의 문집에 수록된 시를 모두 포함하면 총 400여 수 가까이 된다. 이 책에는 그중 작가의 모습을 비교적 잘 드러낸 시 97수를 골라 옮겼다. 홍여하는 자가 백원, 호가 목재와 산택재다. 본관은 부림(缶林)으로, 지금의 경북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일대다. 부친은 대사헌을 지낸 홍호인데, 그는 정경세의 제자로 퇴계에서 유성룡, 정경세로 이어지는 영남 학맥의 위치에 있었고, 홍여하가 그 뒤를 이었다. 문장이 뛰어나 당시 영남 사림에서 우복 정경세, 동강 김우옹, 창석 이준과 함께 영남 문장 사대가로 꼽혔다. 역사에도 조예가 깊어 문집 외에도 ≪동국통감제강(東國通鑑提綱)≫ 13권 7책, ≪휘찬여사(彙纂麗史)≫ 48권 22책, ≪해동성원(海東姓苑)≫ 등을 남겼다. 혼란의 시대에 지식인의 역할을 고민하다 홍여하가 활동한 17세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큰 전쟁을 거치고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개혁의 필요성이 제기되던 시기다. 동시에 명의 멸망과 청의 등장이라는 동아시아적 대사건 속에서 당시의 지식인들은 이를 어떻게 설명하고 대응해야 할지 고민해야 했다. 그는 지식인으로서 시대를 고민했고 다양한 교류를 통한 활동으로 영남의 명맥을 유지하는 데 시대적 중간자로서의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결국 임·병 양난 이후 혼란 속 인위적 자연적 시대 변화의 흐름 속에서도 영남의 학풍을 진작하고 계승할 명분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