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 수녀의 편지/헨리 부인의 편지> <포르투갈 수녀의 편지>와 <헨리 부인의 편지>는 각각 플라마리옹 출판사의 ≪포르투갈 수녀의 편지, 페루 여인의 편지 및 다른 서간체 애정 소설≫(1983)과 로베르 라퐁 출판사의 ≪18세기 여성 소설≫(1996)을 원전으로 삼았다. 1. <포르투갈 수녀의 편지>-17세기의 베스트셀러 1669년 파리의 바르뱅 출판사에서 “프랑스어로 번역된 편지”라는 부제를 달고 처음 출간되었다. 마리안이라는 이름의 포르투갈 수녀가 자신을 버리고 프랑스로 떠나 버린 포르투갈 주둔 프랑스 장교에게 쓴 다섯 통의 편지를 모은 형식의 이 작품은 출간되자마자 대단한 인기를 끌었다. 1669∼1675년 21판이 나왔다. 이것은 당시 출판 상황에서는 대단한 숫자며, 이 작품의 인기에 힘입어 모작들도 쏟아져 나왔다. 편지의 화자 마리안은 사랑하는 사람의 부재 속에서 신음하며 자신의 열정을 애인에게 토로한다. 이런 점에서 이 작품은 오비디우스의 <헤로이데스>의 전통을 계승하며, 또한 크레비용을 비롯한 여러 18세기 소설가에게 영향을 끼쳤다. 다섯 편의 편지들은 각각 조금씩 다른 감정의 기조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레오 슈피처는 이 다섯 통의 편지가 각각 고전 비극의 다섯 개의 막과 일치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 다섯 통의 짧은 편지들에서 자신의 내면에 대한 자각의 단계를 통해 마리안은 비극의 여주인공에 버금가는 지위를 획득한다. 작자와 작품에 대한 논란 당시 사람들은 이 작품이 진짜 포르투갈 수녀의 편지라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았고, 그래서 마리안이란 이름의 수녀가 누구인지, 또한 그녀의 애인이 누구인지에 대한 수소문이 시작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문제의 남성이 1663∼1668년 포르투갈에서 근무한 샤미 백작이라는 설이 널리 퍼졌다. 1810년, ≪제국 저널≫에 실린 부아소나드의 기사에 의해 이 논란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이 기사에 의하면 <포르투갈 수녀의 편지> 초판 1부에 “이 편지를 쓴 수녀는 이스트라마도르와 안달루시아 사이에 있는 베자의 수녀인 마리아나 알코포라다며 그녀 편지의 수신인은 당시 생 레제 백작이라고 불리던 샤미 백작이다”라는 메모가 있다는 것이다. 베자 수녀원의 문서 보관소에 대한 조사에 따라 마리아나 알코포라다라는 수녀가 실재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실제 인물인 마리아나 알코포라다와 이 작품의 정확한 관계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고, 편지 내용에 나타나는 몇몇 정보는 마리아나의 실제 상황에 부합하지 않지만 그녀의 생애는 <포르투갈 수녀의 편지>와 상당 부분 일치한다. 그러나 이것이 그녀가 이 편지들을 직접 쓴 것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이 작품이 실제 편지 모음이 아닌 픽션이라는 것에 대한 가장 강력한 근거는 문체에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이 완전한 픽션인지, 아니면 다른 형태의 오리지널이 있었던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1950년대에 1668년 당시 작품의 출판 허가 장부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졌다. 이 장부에 의하면 <발랑탱, 포르투갈 수녀의 편지, 풍자시와 연가>라는 작품의 출판 허가를 받은 사람은 당시 잡지 ≪프랑스 가제트≫의 편집자였던 기유라그 백작이었다. 기유라그 백작은 당시 사람들 사이에서 글을 쉽게 쓴다는 평을 얻고 있었으며, 당시의 유명한 문인들과 교류하던 아마추어 문필가였다. 또한 다른 여러 정황상 그가 이 작품의 작가일 가능성 또한 상당히 높다. 2. <헨리 부인의 편지>-≪감상적 남편≫에 대한 반박 이 작품은 1784년 초, 제네바에서 익명으로 출판된 서간체 소설 ≪감상적 남편≫에 대한 일종의 반박이다. <헨리 부인의 편지>의 작가인 샤리에르 부인은 소설 서두에서 주인공인 헨리 부인의 입을 빌려 자신의 의도를 설명한다. 그녀는 당시 스위스 사회에서 큰 화제가 된 ≪감상적 남편≫을 읽자 “남편들은 모두들 자신이 (소설의 주인공인) 봉프레 씨라고 생각하고는 이제까지 어떻게 그렇게 묵묵히 참고 살아왔나 의아할 것”이라고 생각했으며 그래서 “남편들을 고치고 싶고, 아니면 적어도 남편들에게 주의를 주고 싶어서” 자신의 편지를 출간할 계획을 세운다. 그러므로 <헨리 부인의 편지>의 편지는, 그녀의 표현에 따르면 “사실을 사실대로 밝혀서 상황을 바로잡기” 위한 노력의 일환인 것이다. 특수성과 보편성의 문제의 제기 <헨리 부인의 편지>에는 ≪감상적 남편≫과 비슷한 에피소드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표면적인 유사성과는 달리 두 소설의 사건들은 전혀 성격이 다르다. 상황이나 디테일의 차이가 전혀 다른 의미를 산출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샤리에르 부인이 문제 삼는 것도 바로 이러한 뉘앙스의 차이다. 실제로 샤리에르 부인이 <헨리 부인의 편지>를 쓴 것은 남편들이 이러한 차이를 보지 못하고 아전인수 격으로 자신의 상황을 해석하고, 정당화할까 저어했기 때문이다. 그녀는 이러한 상황을 헨리 부인이라는 허구적 인물의 입을 통해 들려주며, 표면적 유사성에만 의거한 섣부른 보편화를 경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