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메네스 시선> 히메네스의 시가 우리에게 쉽게 다가오는 것은 아니다. 과격하게 문법적 구조를 파괴하고, 은유와 이미지 구성이 전혀 논리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노벨상 수상 기준 중의 하나가 대중성이라는 것을 생각할 때, 히메네스가 1956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다. 그 시절에는 이런 난해한 시도 대중적으로 읽혔던 것일까? 아니면 우리가 너무 감상적인 시에 길들여져 있는 것일까? 같은 맥락에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시인이지만 우리말로 소개된 작품이 거의 없었다는 사실은 많은 것을 생각나게 한다. 작품의 대부분이 소개되지 않았지만, 그의 핵심적인 시는 시에 관심이 있는 극소수의 독자들에게 문학잡지를 통해 이따금 소개되었다. 또 그의 순수시가 후대에 미친 영향력은 막대한 것이어서, 그의 시를 접하지 않았더라도 이름이나 개괄적인 시 세계 정도는 우리 문단에도 널리 알려져 있다. 앞의 비평에서 말한 것처럼, 히메네스의 시는 감상적 시에서 출발해서 보다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언어를 가지게 된다. 특히 시집 ≪욕망받는 신과 욕망하는 신≫은 시어의 관념성을 극단적으로 밀고 간 실험적 시집이다. 이 번역 시선집은 우리 독자들이 시인의 다양한 시적 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초기 작품에서부터 시인 사후(死後)에 발표된 시까지 고르게 채택한 것이다. 시집이 워낙 많아서 시집 모두를 아우르지 못했지만 작품의 변화를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다만 시인의 시가 후반으로 갈수록 난해해지기 때문에 우리 독자들의 평균적 가독성을 고려해, 전반부의 감상적 시가 후기의 관념적 시보다 더 많은 분량을 차지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