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비 / 산책과 추억> 제라르 드 네르발의 작품에는, 그가 스스로 밝히고 있듯이, 구별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현실과 몽상이 뒤섞여 있다. 여기 번역 소개할 <실비> 역시 그러한 작품에 속하며, 작가가 젊은 시절에 겪은 사랑의 실패와 몽상적인 삶을 이야기하고 있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젊은 시절 얻을 수도 있었던 옛 사랑의 행복을 상기하고, 잃어버린 시간을 재생시키려는 노력을 감명 깊게 표현하고 있다. 작품의 구성을 볼 때 이 이야기는 1820년부터 1845년 사이에 일어난 일을 1853년에 기록한 작품이다. 1830년대(제1장, 3장, 8∼13장)에 우연히 작가의 눈에 띈 “‘시골의 꽃다발 축제.’ 내일 상리스의 궁수들이 루아지의 궁수들에게 꽃다발을 증정하기로 되어 있음”이라는 신문 광고가 이야기 전체를 이어가는 중심축이 되고 있다. 제2장과 4, 5, 6, 7장은 중심축에서 과거의 추억을 더듬는 부분이고, 제14장에서는 중심 이야기마저 추억으로 남게 된다. 그리고 <산책과 추억>은 <오렐리아>와 함께 작가가 마지막으로 남겨놓은 ‘회고록’의 일종이다. ‘산책’과 ‘추억’이라는 명칭이 말해주고 있듯이, 이야기 속에서 ‘장소’와 ‘과거의 기억들’이 특별한 의미로 작용하고 있다. 작가는 파리와 생제르맹, 샹티이, 상리스, 에르므농빌을 순례하면서 이 고장에서 겪은 유년시절과 젊은 시절의 아픔과 사랑을 떠올리면서 상실의 세월과 광기를 몰아내어 털어버리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이 작품은 <실비>가 태어날 수 있었던 배경과 의미를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은 또한 1850년대의 파리를 중심으로 한 그 주위의 사회상과 작가의 반응을 엿볼 수 있게 해주며, 특히 4∼7장에서는 작가 자신의 가장 아픈 과거를 압축해서 보여주고 있으니, <실비>뿐만 아니라 작가의 다른 여러 작품들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불의 딸들> 네르발의 작품 중 가장 아름답고 서정적인 ≪불의 딸들≫ 전체를 번역·소개했다. 이 작품에는 <알렉상드르 뒤마에게>, <앙젤리크>, <실비, 발루아의 추억>과 그 부록으로 붙어 있는 <발루아 지방의 민요와 전설>, <제미>, <옥타비>, <이시스>, <코리야>, <에밀리>, <몽상의 시> 등 10개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불의 딸들≫에는 ‘중편소설’이란 부제가 붙어 있다. 그러나 이 작품집에는 <앙젤리크>와 같은 서간체 탐방기가 있는가 하면, <코리야>와 같은 대화체의 드라마와 12편의 소네로 이루어진 <몽상의 시>도 포함되어 있다. <이시스>는 독일 고고학자의 연구서를 네르발 자신의 취향대로 개작하여 이시스 여신의 제례와 상징성에 초점을 맞추어 재편한 작품이다. <제미>는 오스트리아 작가 찰스 실즈필드의 중편소설을 번안한 것이다. 그리고 <에밀리>는 1839년 ≪르 메사제≫에 <빗슈 요새, 프랑스 대혁명의 추억>이라는 제명으로 발표한 중편소설이다. 이 작품은 이름 없는 작가 오귀스트 마케와 합작한 작품으로 네르발이 아이디어를 제공한 것 이외에는 역할이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이시스>와 <제미>, <에밀리>는 순수하게 네르발의 작품이라고 볼 수는 없으나, 그렇다고 네르발의 정신적 계통을 벗어난 작품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옥타비>, <이시스>, <코리야>에서는 이탈리아 여행의 추억과 관련된 화산 폭발, 이교(異敎), 동방의 신비주의와 제니 콜롱에 대한 사랑 같은 주제가 연결되어 있다. 네르발은 <제미>와 <에밀리>라는 두 편의 중편소설을 삽입함으로써 단권으로 부피를 채우고 가장 깊은 그의 신화의 구조, 그의 꿈의 흐름을 따르고 있다. 이 불꽃은 마지막 <몽상의 시>에서 연금술적 개화에 이르기까지 점증한다. 전체 구조에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이 작품은 19세기 위대한 작품 중 하나에 속한다. 그중에서도 <실비>와 <몽상의 시>는 최고의 작품이다. <앙젤리크>에서 <실비>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이시스>에서 <옥타비>에 이르기까지 네르발 신화의 점증하는 발전 단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몽상의 시>에서 그 결정적 단계에 다다른다. <몽상의 시>에 포함된 시편들의 창작 시기는 둘로 나눌 수 있다. 1843∼1845년 사이에 창작된 작품은 동방과 이탈리아 여행 경험을 반영한 신비주의에 입문을, 1852∼1854년에 쓴 작품에서는 추억과 시인 자신의 존재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래서 이 시편들은 시간의 극복을 위한 노력의 승리이며, 이 시적 승리의 순간은 <아르테미스>에서 말하고 있는 “유일한 순간”일 것이다. 그의 작품에는 18세기의 유럽의 내면에 흐르던 온갖 기원의 신비주의가 있고, 괴테의 ≪파우스트≫, 실러의 ≪군도≫, 호프만의 ≪악마의 정수≫, 노발리스의 ≪밤의 찬가≫, 하이네의 ≪아타 트롤≫ 같은 독일의 낭만주의가 배어 있고, 보들레르와 파르나스 시파와 상징주의의 싹이 있으며,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축소판이 있다.
<칼리프 하켐 이야기 / 시바의 여왕과 정령들의 왕자 솔로몬 이야기> 제라르 드 네르발은 1841년 정신병 발작을 겪고 요양원에서 퇴원한 후, 1842년 12월부터 만 1년 동안 동방 여행을 한다. 거기서 보고 경험한 것들을 1844년 2월부터 친구 아르센느 우세가 경영을 맡은 ≪라르티스트≫ 지에 규칙적으로 발표한다. 이 여행기는 1851년 5월 말, ≪동방 여행기≫라는 표제로 전 2권으로 나뉘어 출간된다. 광증의 발작 상태에서도 동방을 꿈꾼 그의 정신적 여정이 이 작품에 고스란히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칼리프 하켐 이야기/시바의 여왕과 정령들의 왕자 솔로몬 이야기≫는 ≪동방 여행기≫의 방대한 이야기 속의 삽화 두 편이다. <칼리프 하켐 이야기>는 네르발이 드루즈의 족장에게 칼리프 하켐에 관한 역사적 이야기를 듣고 이를 독자에게 전해 준다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기원 1천 년경 여동생을 왕비로 맞으려는 동방의 칼리프 하켐과 그의 분신 이야기다. 친구였던 분신이 연적이 되었다가 다시 그를 구해 주는 이야기 속에 타락한 섭정, 팜파탈의 계략 등이 얽혀 이야기가 풍부하고 신비롭다. <시바의 여왕과 정령들의 왕자 솔로몬 이야기>는 신전의 건축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솔로몬과 시바의 여왕 발키스, 명인(名人) 아도니람 사이의 애증 관계를 그린다. 작품의 무대는 기독교 ≪성서≫의 전통적인 이야기와 같지만 신비주의와 프리메이슨 사상에 입각해 있어 성서와 시각을 달리하는 부분이 발견된다.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살해당한 명인 아도니람은 프리메이슨의 선조로 인정되는 인물이고, 작품에는 더욱이 19세기 낭만주의자들과 보들레르를 비롯하여 상징주의 시인들이 선호한 ‘카인 숭배’ 사상이 완연하다.
<오렐리아> 이 책은 《전집 Ⅲ(Oeuvres Complètes III)》(Ed. Jean Guillaume et Claude Pichois, Gallimard, 1993)를 기준으로 해 완역한 것이다. 제라르 드 네르발은 자신이 경험한 심각한 광증을 무한한 행복을 가져다주는 상상력으로 간주하고 있다. 네르발은 이러한 상태를 문학적 상상의 세계라고 말한다. ≪오렐리아≫는 작가가 경험한 바로 그 “깨어 있는 상태에서의 꿈”을 기록한 작품이다. 거기에 온갖 기원의 신비주의 사상이 내재되어 있고, 미신적 믿음까지도 함께하고 있다. 20세기 초, 초현실주의자들은 이러한 꿈의 세계를 그려낸 네르발을 그들의 선구자로 보았다. 그들은 보편적인 삶과 무의식적 삶을 가르는 장벽을 제거하면, 인간이 소외되지도 제약받지도 않았던 시대로부터 시작된, 그러나 지금은 잃어버린 신비한 일체성에 이르게 된다고 믿었다. 이 무의식이 표면에 떠올라 현실을 풍요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한 방법은, 꿈의 전사와 자동기술에서 이루어지는 것처럼 이성으로부터 해방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렐리아≫는 바로 ‘이성으로부터 해방된’ 몽상의 세계를 그려낸 작품이다. ≪오렐리아≫를 비롯해 네르발의 다른 작품들인 ≪실비≫와 ≪시바의 여왕과 정령들의 왕자 솔로몬 이야기≫에 등장하는 남자 주인공들은 작가 자신이 투사된 인물들이라고 볼 수 있고, 여주인공들은 모두가 ‘불의 딸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이 세 작품은 작가의 정신적 변천과정을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동방 여행은 시인에게는 종교적 수련일 뿐만 아니라 사랑과 죽음의 수련이었다. 그리고 이 수련은 시인의 전 생애를 통해서 계속되었으며, ≪오렐리아≫에서 그 수련의 과정이 총체적으로 끝을 맺는다. 작가가 최후에 찾고자 했던 대상은 마지막 작품인 ≪오렐리아≫에서 확연히 드러나 있다. 그것은 사랑하는 여인이자 어머니인 이시스 여신이라는 상징으로 나타난다. 이런 사실을 볼 때, ≪오렐리아≫는 ≪불의 딸들≫과 ≪시바의 여왕과 정령들의 왕자 솔로몬 이야기≫의 완결편이라고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