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한경 외
관한경 외
평균평점
원대 산곡선집

<원대 산곡선집> 저잣거리로 내려온 시인, 세상 모든 것을 노래하다 원나라 때 유행한 노래 가사 산곡 103수를 국내 처음으로 소개한다. 이민족의 통치로 관직에서 내려와 민중 속으로 들어간 지식 문인들은 겉치레와 점잔을 벗어버리고 소박한 민중의 희로애락을 솔직한 언어로 꾸밈없이 노래했다.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감정을 때로는 즐겁게, 때로는 슬프게, 때로는 조롱하며, 때로는 한탄하며 읊은 이 노래들은 오늘날 우리 가슴에도 손쉽게 스며든다. 원나라를 대표하는 문학 산곡은 원나라(1271∼1368) 때 등장한 노래 가사로, 당시 가장 많이 지어지고 사랑받은 형식이다. 송대에 유행한 노래 가사 형식인 ‘사(詞)’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북방의 음악을 기반으로 발전했고, 사보다도 더 자유롭고 통속적이었으며 명청대까지 꾸준히 지어지면서 사랑받았다. 원대 이래 800여 년간 많은 작품이 산실되었지만 약 2만 수 정도가 전한다. 송대의 사(詞)와 마찬가지로 산곡은 노래 가사인 만큼, 한 구의 글자 수, 멜로디와 리듬, 소리의 높낮이, 라임 등의 규칙이 모두 정해져 있었다. 이 때문에 산곡은 내용을 밝힌 제목 외에 어느 곡조에 맞춰서 불러야 하는지를 밝힌 곡조의 제목 ‘곡패(曲牌)’를 반드시 밝히고 있다. 가장 솔직하고 거침없는 문학 은유와 상징, 함축이 묘미인 시와 달리, 산곡은 감정을 직설적으로 쏟아 낸다. 같은 노래 가사인 사(詞)에 비해서도 더 통속적이고 재기발랄하다. 억울하면 억울하다고 울부짖고, 그리우면 그립다고, 미우면 밉다고 소리치며, 괴로우면 괴롭다고 숨김없이 말하는 등, 표현도 거리낌이 없다. 부패와 부조리가 만연한 사회를 대놓고 비판하고 세상을 마음껏 조롱하며 황제와 성현, 자신까지도 희화화한다. 인생도 역사도 모두 덧없다고 한탄하기도 하고 사랑의 설렘과 그리움, 봄을 잃은 슬픔, 규방의 눈물, 나그네 설움, 신세타령을 늘어놓기도 한다. 거기에 기방의 모습이나 저잣거리의 자질구레한 일들부터 기이한 사람들의 모습, 은일의 소망과 기쁨까지, 안 다루는 제재가 없어 중국 시가사상 가장 광범위한 내용을 다룬다고 칭해진다. 가장 낮은 곳에서 세상을 바라보다 이는 원나라라는 시대 특성에서 기인한다. 문인 사대부가 지배 계층이었던 당송대와는 달리, 이민족인 몽고족이 지배한 원나라에서 한족 지식인의 지위는 ‘8계급인 창기와 10계급인 거지 사이’라고 자조할 정도로 낮았다. 소수의 몇몇 작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관직에 오르지 못하고 생활고를 해결하기 위해 서회(書會)라는 작가 조직에 속해 글을 팔아 먹고살았다. 사회의 밑바닥까지 추락해 자신과 주변을 돌아본 경험, 명예도 권력도 없이 산전수전을 다 겪으며 다양한 계층, 특히 하층민의 삶을 가까이서 들여다본 경험은 원대의 산곡과 희곡 창작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당송대를 거치며 형성된 독서인 계층의 자부심이 무의미해지고 주변인적 삶을 살아야 했던 작가들은 가장 낮은 곳에 처해 비로소 자신의 존재 가치와 정체성에 대해 갈등하며 내적·외적 탐색을 통해 자신과 주변을 표현했던 것이다. 작가들은 노골적으로 불만을 드러내거나 삐딱한 반골 기질을 거침없이 표현하기도 했으며 세상을 향해 분노하거나 세상으로부터 도피하고 숨거나 세상을 조롱하는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현재까지 집록된 산곡은 1964년 중화수쥐(中華書局)에서 나온 ≪전원산곡(全元散曲)≫에 따르면 독립된 짧은 노래인 소령(小令) 3853수, 여러 곡으로 구성된 모음곡 (套數) 457편에 약간의 잔곡이 있다. ≪원대 산곡선집≫에는 그중 원대 대표 작가들의 가장 많이 알려진 노래 103수를 소개한다. 작품은 주제별로 묶어 다양한 내용을 감상할 수 있다. 옮긴이 하경심 교수는 작품 해설과 주석으로 각 작품의 특징과 작가, 작품 배경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