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제 라스커쉴러
엘제 라스커쉴러
평균평점
엘제 라스커쉴러 시선

<엘제 라스커쉴러 시선> 독일 표현주의의 중심에 서다 엘제 라스커쉴러는 1910년경부터 베를린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었던 독일 표현주의 흐름의 범람 속에서, 문자 그대로 그 중심축에 자리 잡고 창작 작업에 몰두했던 여성 시인이다. 그녀는 당시 예술계 전반을 압도하던 표현주의와 다다이즘의 여러 전위적 예술가들에 둘러싸여 실질적으로 그들을 주도했다. 고트프리트 벤, 게오르크 트라클, 헤르바르트 발덴, 그리고 표현주의 대표 화가 프란츠 마르크, 바실리 칸딘스키 등 당대의 전위적인 젊은 예술가들과 친밀한 교류 속에 때로는 멘토로, 때로는 열정적인 연인으로 살았던 이 여인은 그야말로 당대 “가장 빼어난, 불가해한 서정적 위력”(카를 크라우스)으로서 군림했으며 당시 유럽을 대표하는 여성 문인들, 예컨대 버지니아 울프, 마담 콜레트, 리카르다 후흐, 셀마 라겔뢰프 등과 나란히 “유럽을 주도하는 여성들”의 대열에 속하는 저명 여성 인사였다. 여성성과 종교, 죽음과 사랑을 노래하다 그녀의 작품은 사랑과 신앙, 자신의 꿈과 환상을 읊고 있는 듯 보이는 초기 시부터, 이후 보다 각성한 의식을 가지고 첨예한 사회 제반 문제들을 바라보게 되면서 인종 문제, 가부장적 인습이 지배하던 당시 양성의 문제 등 시대의 아픔과 요구, 삶의 고단함과 상실, 그리고 무엇보다 표현주의 작가들을 압도했던 허무와 죽음의 예감 등을 읊는 후기의 시 작품에 이르기까지, 마치 가곡 같은, 지극히 주관적인 관념과 상들을 독자적인 시어로 형상화했다는 평을 듣는다. 특히 장성한 외아들의 긴 와병과 요양 기간, 그리고 사망 후의 침체 이후 맞은 창작의 절정기와 나치 치하를 피해서 독일을 떠나 스위스를 비롯한 몇몇 망명지에서 생활 중 궁핍과 배신과 극심한 고독감을 겪으며 나온 얼마간의 시 작품들은 개인의 운명을 비탄하는 차원을 넘어 동족인 유대인, 나아가 인류의 삶 전반을 포함하는 차원으로 고양되고 있으며, 달과 밤과 하늘을 노래하는 그녀의 서정시의 영역은 전 우주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독일 문학사에서 지워지다 이렇듯 “릴케의 사망 후 의심할 여지 없이 독일의 가장 위대한 서정시인”이라는 평과 함께, “우리 독일의 가장 위대한 거장들의 영속성을 지니는 창작 작품들에 버금가는” 시 작품들을 쓴 시인이라는 극찬을 받았던 엘제 라스커쉴러가 독일 문학계에서 거의 실종되다시피 했던 사실은 하나의 미스터리다. 그녀의 문학 작품이나 국립 미술관에 전시되기까지 했던 회화 작품들이 나치 치하에서 모두 분서(焚書) 처분을 받았다고는 하나 10여 년간 그녀의 흔적이 그토록 철저히 잊히고 지워졌다는 사실은 그녀가 유대계 여성 작가였다는 이유 이외엔 다른 어떤 설명으로도 납득하기 어렵다. 헤르만 헤세, 넬리 작스 등의 망명 작가들에게 노벨상이 속속 수여되었으나, 세기말과 세기 초 표현주의 대표 기수로 활약했던 엘제 라스커쉴러가 독일 문단에서 상당 기간 철저히 잊혔던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전위적이었다고는 하나 여전히 여러 편견과 가부장적 권위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두 번이나 이혼한 경력을 지닌 이 탁월한 유대인 여성 시인이 평생 살아 내야 했던 “국외자”적인 위치와 “선택받은 자”의 찬란한 후광으로 인해 형성된 터무니없는 소문들이 주위를 둘러쌌고, 오해와 망각 속에 파묻혀 있던 그녀의 실체를 마침내 기억해 내어 경외감과 함께 공평한 평가를 시도하는 한편, 남아 있던 저술들과 원고를 발굴 정리해 전집을 낸 것은 1986년에 이르러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