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든 시선> 영국의 시인 존 드라이든의 시 40수를 가려 실었다. 그의 최고의 작품이라 할 수 있는 풍자시 <압살롬과 아히도벨>, 또 올리버 크롬웰의 영웅적인 면모를 찬양하는 작품인 <영웅시>, 자신의 종교적 입장을 드러내고 가톨릭을 옹호하는 우화시 <암사슴과 표범> 등 드라이든의 대표적 시들을 실었다. 영국의 신고전주의를 이룩했다고 평가받는 그의 폭넓은 시 세계가 이 책을 통해 우리나라에 처음 소개된다. 이것이 풍자다 영국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한때 계관시인의 자리에 있기도 했던 존 드라이든은 영국 최고의 풍자시인으로 불린다. 그러나 그 명성에도 불구하고 드라이든의 작품은 국내에 제대로 소개되지 못했는데 풍자시의 맛을 제대로 살려 번역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오랫동안 존 드라이든의 시와 풍자, 18세기 영국에 대해 연구해 온 김옥수 교수가 정확한 번역과 친절한 주석으로 드라이든의 작품 세계를 소개한다. 드라이든은 자신의 정치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토리당의 일원으로서 휘그당 인물들을 공격하는 내용의 시들을 여럿 남겼다. 그중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것이 풍자시의 형식을 빌려 쓴 <압살롬과 아히도벨>이다. 현실의 인물들을 성서 속의 인물들에 비유해 나타낸 이 시는 드라이든의 수많은 시들 중에서도 압권이라 할 수 있다. ‘가톨릭 음모설(Popish Plot)’이 발단이 되어 왕위 계승을 놓고 벌어진 토리당과 휘그당 사이의 갈등에서, 드라이든은 토리당의 입장에서 찰스 2세를 다윗에, 휘그당의 거두인 섀프츠베리를 반란자 압살롬의 책략가인 아히도벨에 비유하는 등 뚜렷한 인물 묘사를 통해 휘그당 인물들을 거침없이 공격했다. 드라이든은 그가 젊을 때, 청교도혁명의 핵심 인물이었던 올리버 크롬웰을 영웅으로 찬양하는 작품인 <영웅시>를 남기기도 했다. 그런데 왕당파를 물리치고 공화정을 수립하는 데 공을 세운 크롬웰을 찬양했다는 점에 비추어 보면, 시기적으로 그 후에 지은 작품인 <압살롬과 아히도벨>에서 드라이든이 왕정을 지지하는 토리당의 일원이 되어 있다는 것은 큰 모순인 것처럼 보인다. 이런 그의 정치적 변화는 그에게 기회주의자라는 오명을 가져다주기도 했지만, 결국은 시인 드라이든이 찬양시와 풍자시 등을 통해 큰 이름을 얻는 계기가 되었다. 로마가톨릭으로 개종한 것도 기회주의자라는 오명에 한몫했는데 드라이든은 그럼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종교적 입장과 로마가톨릭을 옹호하고 영국국교회에 가톨릭을 이해시키기 위한 시를 남겼으니, 가톨릭을 암사슴에, 영국국교회를 표범에 빗대어 나타낸 우화시 <암사슴과 표범>이 바로 그것이다. 이 책에는 이런 대표적인 작품들 외에도 드라이든의 시 세계를 잘 들여다볼 수 있게 해 주는 작품들을 엄선해 수록했다. 특히 소개하기 어려운 수백여 행에 달하는 장편 시들도 핵심적인 부분을 발췌해 일부나마 그 정수를 맛볼 수 있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