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보델
장 보델
평균평점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프랑스 중세 파블리오 선집> 중세 프랑스에서 유행한 파블리오 모음집이다. ‘웃음을 주는 이야기’를 뜻하는 파블리오는 떠돌이 음유 시인들에 의해 길거리, 장터, 궁정에서 공연되며 유럽 전역으로 퍼졌다. 꾀바른 부인에게 속아 된통 당하는 남자, 탐욕을 부리다 골탕먹는 성직자, 오쟁이 진 남편 등이 단골 소재다. 당대의 만연한 위선과 어리석음을 재치 있게 풍자하지만 권선징악의 결말로 감동을 선사하진 않는다. 대신 한바탕 소동 끝에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지 마라”, “세상이 믿을 사람 없다” 같은 인생의 지혜를 전한다. 이 책은 파블리오 중에서도 걸작으로 손꼽히는 스무 편을 엮은 것이다. 파블리오를 낭송하는 떠돌이 음유 시인들을 그린 8편의 삽화를 함께 실었다. 프랑스, 영국 도서관에서 구한 이 삽화들은 중세 사람들이 파블리오로 일상의 시름을 덜고 웃음으로 삶에 활력을 불어넣던 순간을 생동감 있게 전하고 있다. 웃음을 주는 짤막한 이야기 파블리오(fabliau)는 12∼13세기 중세 프랑스에서 유행한 ‘웃음을 주는’ 짧은 이야기다. 떠돌이 성직자, 기사, 광대, 음유 시인들에 의해 널리 퍼졌다. 짤막한 모험담에는 도시와 농촌에 살고 있는 장인, 푸줏간 주인, 잡화상 주인, 늙은 재단사, 교활한 뚜쟁이, 억세고 거친 농부, 장애인들, 직업 없이 떠도는 유랑 성직자들, 도둑, 집을 비워 놓고 장터와 시장을 쫓아다니는 상인들, 부르주아들, 본당 신부들, 심술궂은 음유 시인들, 목축업자들, 대장장이들, 하녀들을 동반한 가정주부 등 세련된 궁정풍 문학에선 찾아볼 수 없는 다양한 계층의 캐릭터가 등장한다. 이들에 대한 사실적이다 못해 노골적인 묘사와 과감한 풍자가 웃음을 유발한다. 캐릭터와 함께 스토리에서도 다른 문학 장르와 구분되는 파블리오만의 개성이 나타난다. 법과 양심에 반하는 부부의 계략, 미인을 꼬드기기 위한 성직자들의 계략, 남의 재산을 가로채려는 도둑들의 계략, 남편을 속이고 연인과 밀회를 즐기려는 부인들의 치밀한 계략으로 엎지락뒤치락하는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계략을 꾸미는 주체는 주로 여성이며, 남편은 꾀바른 아내에게 봉변을 당하기 일쑤다. 여기에 성적인 농담과 외설스런 장면 묘사가 더해진다. 어느 정도 정형화된 캐릭터, 속임수와 난잡한 정사 장면이 난무하는 이야기 전개는 어찌 보면 단순하고 상스럽다. 종교와 인간에 대한 환상을 거부한 상스럽고 난폭한 이야기 파블리오가 보여 주는 난폭하고 상스러운 세계에서 종교도 신성을 잃는다. 성직자들은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모은 파렴치한 또는 남편 있는 여인을 돈으로 꾀어내려는 호색한으로 묘사된다. 서로 속고 속이는 부부, 이들 사이에서 욕정을 채우려 드는 성직자가 삼각 관계로 얽히고설키며, 이들은 영혼의 교감이 아니라 오직 육체적 사랑만을 탐한다. 파블리오는 종교의 힘이 가장 강력했던 중세 유럽에서 양심과 신념을 저버린 성직자들을 곧장 강력한 풍자 대상으로 삼으며 당대 사람들에게 웃음과 동시에 해방감을 선사했다. 파블리오 이야기꾼들은 인간성에 대한 환상 또한 과감히 버린다. 대신 성적 욕망을 이상화하고 가벼운 사랑의 모험을 흥미로운 색깔로 장식하면서 사회적 금기를 넘고, 욕망에 날개를 달아 주며, 온갖 쾌락의 신화를 전파한다. 다른 문학 장르를 흉내 내지도 않고, 사회적으로 합의된 도덕적·종교적 가치를 웃음거리로 만들지도 않고, 강자에 대한 약자의 승리 또는 부자에 대한 가난한 자의 승리를 그리지도 않는다. 세상을 개혁하거나 변화시키려고 하기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그린다. 결혼을 부정하지도 방탕을 제안하지도 않으며 도덕적인 교훈을 주려는 태도도 찾아볼 수 없다. 파블리오 이야기꾼들은 오직 즐겁고 짜릿한 모험을 들려주는 것에 만족한다. 힘이 지배하는 저급한 세계에서 온갖 계략을 통해 스스로 곤경에서 벗어나는 즐거움, 다른 사람을 불행에 빠트리면서 느끼는 즐거움, 웃음을 통해 삶의 불안과 고통을 잠시 잊는 ‘기분 전환’의 즐거움이라는 인간의 자연스런 본성을 드러내고 이를 기꺼이 받아들인다. 상스럽고 난폭하고 우스꽝스런 주인공들을 비난하거나 야단치지 않고 오히려 미소를 지으며 그들의 잘못과 실수를 즐긴다. 서민부터 귀족까지 모두가 즐긴 이야기 이런 파블리오가 거리와 장터, 순례 장소, 교차로 같은 왁자지껄한 공공 장소에서만 공연되었던 것은 아니다. 부유한 평민의 저택에서도 저녁 식사 후에 파블리오가 낭송되곤 했다. 고상한 궁정풍 소설과 무훈시에 박수를 보냈던 계층 역시 파블리오의 청중이었던 것이다. 말하자면 파블리오는 평민부터 귀족까지 각계각층이 듣고 즐긴 문학이자 공연이었다. 보카치오의 ≪데카메론≫, 초서의 ≪캔터베리 이야기≫, 라 퐁텐의 ≪우화≫가 바로 이 파블리오로부터 탄생했으며, 몰리에르의 걸출한 희극 작품들도 파블리오를 모티프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