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혁주
장혁주
평균평점
삼곡선 초판본

<삼곡선 초판본> 지식을만드는지식의 ‘초판본 한국 근현대소설 100선’ 가운데 하나. 본 시리즈는 점점 사라져 가는 명작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이 엮은이로 나섰다. 일제강점기부터 활동한 작가 장혁주. 일제 말기엔 창씨개명과 친일 활동 면모를 보였다. 일본 문단으로 진출해 일어 창작까지 하다가 1945년 이후 일본에 귀화했다. ≪삼곡선≫은 장혁주가 남긴 한글 소설 12편 중 하나다. 식민지 시기의 작가 장혁주는 일본 문단에 진출해 주로 일본어로 소설을 썼고 해방 후에는 일본에 귀화했다. 일제 말기의 뚜렷한 친일 행적으로 인해 장혁주 하면 ‘친일 작가’라는 사실부터 떠올리게 되지만 최근에는 재일 디아스포라 작가의 효시로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같은 시기 일본에서 활동했던 작가 김사량이 ‘재일 조선인의 비참한 삶과 식민지 지식인의 고뇌’를 형상화한 작가로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반면, 장혁주의 경우는 그의 친일 행적으로 인해 작가적 삶이나 작품 세계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평가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편이다. 이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장혁주 작품 세계의 전모가 밝혀지지 않은 상태여서 좀 더 세심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귀도>, <쫓기는 사람들>, <권이라는 사나이> 등 장혁주의 주요작은 모두 일본어로 창작되어 국내의 독자 및 연구자들이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다. ≪삼곡선≫은 장혁주의 조선어 소설 중에서 상대적으로 알려진 작품이면서 작품 세계의 변모를 살필 수 있는 작품으로서 의미가 있다. 장혁주의 한글 소설은 <연풍(戀風)>, <계약(契約)> 등의 단편과 ≪무지개≫ 등 4편의 장편을 포함해 12편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모두 1933년에서 1940년 사이에 창작된 것으로 이 시기 작가는 일본어와 조선어 창작을 병행했으나 일본어 창작에 집중했다고 볼 수 있다. 신문에 연재된 장편소설로는 ≪무지개≫(1933∼1934년, ≪동아일보≫), ≪삼곡선≫(1934∼1935년, ≪동아일보≫), ≪여명기≫(1936년, 연재 도중 ≪동아일보≫ 무기정간), ≪여인 초상≫(1940년, ≪매일신보≫)이 있다. 신문 연재소설이라는 특징이 있어서인지 이 작품들은 남녀 간의 애정 문제 등 가볍고 통속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으며 그 가운데 작가의 생각 또한 비교적 직설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편이다. 작가는 “조선문 소설을 쓸 때 (…) 조선 민족이 우수한 민족이 되어지라는 욕망”을 느끼지만 “그 이상을 표면에는 나타내지 아니하고, 작품 속에 숨겨 버린다”고 하는데, ≪삼곡선≫에는 그러한 작가의 욕망이 특별한 소설적 장치를 통하지 않고 여과 없이 드러나 있다. 이런 점 때문에 ≪삼곡선≫은 그 문학적 성취도는 그리 높다고 볼 수 없지만 장혁주의 작가적 성향을 들여다보기에는 좋은 작품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