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운 이름 따라: 명동 20년> 지식을만드는지식의 ‘초판본 한국 근현대소설 100선’ 가운데 하나. 본 시리즈는 점점 사라져 가는 명작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이 엮은이로 나섰다. 제목 그대로 명동 20년의 문단 일화를 기록한 책이다. 따라서 이 소설은 허구라는 성격과 동시에 사실의 기록이라는 다큐멘터리적 성격을 동시에 지닌다. 이 소설을 읽는 행위는 재미있는 과거의 사건을 간접 체험하는 일이다. 명동에 드나들던 문인, 기자, 배우, 화가 등 특히 작가와 친분이 있는 사람들의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를 흥미롭게 듣는 것이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해방과 전쟁을 거치는 한국 현대사를 생생하게 경험하는 인간의 숨겨진 내면을 엿보는 것이 된다. 이러한 개인과 역사 사이에서 소설은 나름대로 일정한 긴장력을 확보하고 있는데, 이러한 긴장력이 이 작품을 재미있으면서도 진지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 소설에서 먼저 살펴볼 것은 작품 전체의 분위기다. 소설 전체가 일화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기 때문에 각양각색의 소재를 아우르는 일종의 톤이라고 할 만한 것을 작품 첫 부분에 두어야 할 것은 당연지사다. 이봉구도 이 소설을 지을 때 이 부분을 많이 고민하지 않았나 싶다. 1940∼1960년대에 명동을 드나들던 수많은 사람들, 그중에서 문학예술인의 분위기는 무엇이었을까? 작가는 먼저 시와 술, 그리고 다방을 주요 요소로 제시한다. 정치, 근대화, 도시화 등이 합리성과 지성을 중시하는 아폴론적인 것이라면, 이봉구가 주목한 것은 인간 내부에 잠재되어 있는 본능과 욕망을 강조하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이다. 이봉구는 도시화·근대화가 되어 가는 서울의 한복판 명동에서 현대 도시가 억압하는 인간의 욕망, 본능, 충동, 광기 등을 민감하게 바라본다. 소설은 1940~1960년대 이야기를 시간 순으로 펼친다. 따라서 먼저 해방 정국 때 이야기가 나온다. 해방 정국은 남북 분단을 예고하는 시기였다. 이런 때에 당시에 나온 김기림의 시 <우리들의 팔월로 돌아가자>는 매우 진지하게 당대 현실에서 수용되었다. 시가 실생활에서 작용하는 장면을 잘 기록한 것이다. “명예도 지위도 호사스런 살림 다 버리고/ 구름같이 휘날리는 조국의 깃발 아래/ 다만 헐벗고 정성스런 종이고자 맹세하던/ 오―우리들의 팔월로 돌아가자”라는 구절을 담은 이 시에 대해서 당대 예술인은 “그렇다. 그날의 감격, 그 팔월로 돌아가자. 삼팔선은 무엇이며 미소공위(美蘇共委)란 무엇이냐?”로 화답한다. 동시에 이봉구는 “사실 날이 갈수록 팔·일오 감격은 사라지고 통일은 아득한 채 정치적 혼돈 속에 희망보다 절망이 가슴을 누르던 시기”라고 그 당시를 해석한다. 시대 분위기를 아주 잘 보여 주는 문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