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사오카 시키 수필선> 이 책은 일본 운문 문학의 혁신을 가져온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 1867∼1902)의 수필을 뽑아 한 권으로 묶은 것이다. 시키는 회화의 ‘사생(寫生)’ 기법을 문학에도 적용해, 일본 전통 시가의 주제를 관념의 장(場)에서 생활과 풍경의 장으로 옮겨, 근대 시가(近代詩歌)라고도 할 수 있는 하이쿠와 단카를 탄생시킨 사람이다. 22세 때부터 폐를 앓아 객혈을 시작한 시키는 30세에 지은 한시(漢詩)에서 “무사 집에 태어나 가문도 일으키지 못했고, 장가도 못 가 가계(家系)도 잇지 못했다. 어찌 조상을 볼 수 있을까? 다만 내가 기대하는 것은 일본 문학사에 마사오카(正岡)라는 성(姓)씨가 기록되어 오래 남도록 하는 일”이라고 쓰고 있다. 시키는 그 자신의 다짐처럼, 생전에 하이쿠 혁신과 단카 활성화에 큰 공을 세웠다. 일본의 전통 시가인 와카(和歌)와 하이카이(俳諧) 및 그 작가들에 대해 면밀하게 연구하고 비평하는 학자인 동시에 그림을 그리고 시가를 짓는 시인이기도 했던 시키는 또한 수필을 남겨 우리에게 삶에 대한 많은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마쓰야마(松山)에서 태어난 시키는 16세에 도쿄로 유학을 와서 그 이듬해인 1884년 2월 13일부터 수필 <붓 가는 대로>를 쓰기 시작한다. <붓 가는 대로>는 1892년까지 계속했으며, 그 후 1896년 4월 21일부터 12월 31일까지는 4대 수필 중 하나인 <송라옥액(松蘿玉液)>을 신문 ≪일본(日本)≫에 연재한다. 그 내용은 문명론부터 친구에 대한 평론, 회상이나 일상의 견문, 자녀 교육, 야구 해설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리고 척추 카리에스로 이승을 떠나기 2년 전, 더욱 병세가 악화해 가는 고통 속에서도 1901년 1월부터 7월에 걸쳐 수필 <묵즙일적(墨汁一滴)>을 ≪일본≫에 연재하며 9월부터는 병상일지나 다름없는 <앙와만록(仰臥漫錄)>을 쓰기 시작하고, 1902년 마지막 해에도 5월부터 9월까지 <병상육척(病牀六尺)>을 연재한다. 만년의 작품인 이 3대 수필에는 한정된 공간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젊은이가 자신의 죽음마저 객관화해 보여 주는 갖가지 내용들이 표출되어 있다. 바깥세상과 본의 아니게 떨어져 지내게 된 시키가 “1년 내내, 그것도 6년 동안 세상 돌아가는 일도 모르고 누워 지낸 병자”인 자신을 자각하면서 쓴 이 수필들은 어느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생생한 삶의 기록이다. “병상 6척, 이것이 나의 세계다. 그럼에도 이 여섯 자의 병상이 나에게는 너무 넓다…”고 기술하는 시키의 <병상육척>의 세계를 함께 읽어 가는 것은 젊은이는 물론, 누구에게나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무엇보다도 그 작은 공간이 매우 밝은 에너지로 가득 차 있다는 것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지독한 병마와 싸우면서도 그의 객관적 사고방식은 흐트러짐 없이 미(美)적 세계에 대한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인간에 대한 애정도 각별했다. 유리 항아리에 담긴 금붕어를 보며 “아픈 것도 아픈 것이지만 예쁜 것도 예쁜 것이다”라고 즐기며 기뻐하는 모습이라든가, “깨달음이란 어떠한 경우에도 태연히 죽는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은 잘못으로, 깨달음이란 어떠한 경우에도 태연히 사는 것이었다”는 단상, 또는 태연히 산다 해도 “즐거움을 발견하지 못하면 살아 있는 가치가 없다”는 등의 어록(語錄)은 성자의 경지를 느끼게 하는 것들이다. 특히 1901년부터 1902년에 걸쳐 쓴 세 수필에는 병고에서 해방되고 싶은 소박한 소망에서부터 하이쿠, 단카, 문학과 미술에 관한 비평, 물감으로 그린 정물화, 위문품의 일람표, 식사 메뉴, 조선 옷 입은 소녀의 그림, 세계의 문명론에 이르기까지 놀라울 정도로 다양한 것들이 실려 있다. 그런 의미에서 그의 <병상육척>은 이웃에 대한 관심으로 열려 있는 소우주나 다름없다. 늘 죽음을 느껴야 하는 인간이 갖는 분노, 절망, 자기 연민에서부터 죽기 닷새 전에도 낫토 파는 장사꾼까지 배려한 따뜻한 마음이 함께 녹아 있는 살아 있는 문학이다. 여기서는 시키가 남긴 수필집과 또 때때로 잡지에 실은 수필 중에서 시키의 생활이나 정신적인 내면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문장을 골라 주로 연대순으로 엮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