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유 시선> 당시(唐詩)는 중국 고전 문학 최고의 정화로, 후세 사람들에게 불후의 고전적 자양을 제공하고 있다. 시불(詩佛) 왕유(王維)는 시선(詩仙) 이백(李白)·시성(詩聖) 두보(杜甫)와 함께 당시의 3대 거장으로 꼽히면서도, 이(李)·두(杜)와는 상이한 시풍으로 그 특유의 매력을 발한다. 초년의 왕유는 적극 진취적인 유가 사상의 소유자였으나 정치적인 실의에 빠지기 시작한 중년 이후에는 불가와 도가적인 경향을 아울러 보이다가 점차 오직 불교에만 극도로 심취했는데, 이 같은 인생 사상이 그의 창작 정신의 원천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이백과 두보가 각각 낭만시와 사회시 창작에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다면, 왕유가 당나라 시단에서 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독보적인 면모를 보인 것은 바로 자연시의 창작으로, 그는 동진(東晋)의 도연명(陶淵明) 이후 최고의 자연시인으로 평가된다. 송(宋)나라의 대문호 소동파(蘇東坡)는 ‘시중유화(詩中有畫)’·‘화중유시(畫中有詩)’, 즉 ‘시 속에 그림이 있고’ ‘그림 속에 시가 있다’는 말로, 산수수묵화의 대가이기도 했던 왕유 시(詩)·화(畫)의 예술적 경지를 압축 평가함으로써 후세의 절대적인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왕유의 자연시는 역관역은(亦官亦隱: 몸은 벼슬하고 있으나 마음은 늘 피세 은둔의 정취를 동경 추구하며, 또한 때로 기회가 되면 한시적으로나마 실제로 산수 전원에 은거하는 삶)의 시기에 집중적으로 지어졌으며, 대부분이 은거 생활과 불도(佛道) 사상이 결합된 산물로, 시인의 피세 은둔의 초탈 정신이 짙게 투영되어 있다. 세속적인 욕망은 일찌감치 떨쳐 버리고 오직 한가롭고 편안하기 그지없는 시인의 성정(性情)이 시작 속에서 여실히 표현되고 있는데, 가장 큰 특징은 전원 경물이나 산수 풍광의 묘사 가운데서 절로 풍겨 나는 은둔적 정취다. 이를테면 ≪망천집(輞川集)≫ 중의 <죽리관(竹籬館)>은 그윽한 대숲 속의 탈속적인 정취를 묘사하고 있으니, 세상과 동떨어져 고적(孤寂)함이 감도는 깊은 대숲에서 거문고도 타고 휘파람도 불며, 살며시 다가와 비춰 주는 밝은 달빛과 ‘지음(知音)’의 벗인 양 하나 되어 탈속적인 정취를 즐기는 시인은, 이미 ‘해탈’의 경지에 든 듯하다. <산장의 가을 저녁녘(山居秋暝)>은 저녁녘에 한 차례 비가 온 뒤 그윽하고 고아한 산중의 경물을 묘사했는데, 시정(詩情)과 화의(畫意)가 넘치는 가운데 시인의 고결한 품성과 초탈적 정서가 새롭다. <날씨 갠 후 넓은 들판을 바라보며(新晴野望)> 역시 비가 막 갠 후 아득한 들판에 펼쳐진 초여름의 전원 경색(景色)과 농경 생활을 묘사했는데, 전편에 걸쳐 강조되고 있는 소박하고 평화로우면서도 활력 넘치는 전원의 생활과 정취는, 세속적인 번뇌에서 벗어난 자적(自適)한 삶을 추구하는 시인의 정서가 그대로 배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