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진세어> ≪삼국지≫의 바탕이 되다 ≪위진세어≫는 제목 그대로 위나라와 진나라의 유명한 역사 인물에 대한 소문들을 기록한 것이다. 역사 기록처럼 완전히 사실만을 기록한 것은 아니지만, 저자인 곽반이 당대에 직접 보고 듣고 읽은 소문을 엮은 것이라 비교적 신뢰도가 높으며, 시대 특성상 국가 대사에 관한 이야기의 비중이 크다. 이로 인해 이후 역사가들이 위진대의 역사서를 편찬할 때 ≪위진세어≫를 참고하는 일이 잦았다. 특히 ≪삼국지≫와 ≪진서≫, ≪수경주≫ 등의 편찬에 많은 사료를 제공했다. ≪삼국지≫의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캐릭터,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명장면은 ≪위진세어≫로부터 비롯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역사 소설의 시조가 되다 ≪위진세어≫와 같이 역사의 일화를 기록한 것을 역사쇄문류(歷史瑣聞類) 필기 문헌이라고 한다. 루쉰은 괴이한 일들을 다룬 지괴 소설(志怪小說)의 상대적인 개념으로 실제 역사 인물의 일화를 그린 소설을 지인 소설(志人小說)이라고 명명했는데, ≪위진세어≫는 실존 인물의 언행과 풍모를 전문적으로 그린 위진 남북조 최초의 지인 소설이다. 역사 인물을 다뤘지만 단순한 사실 기록에 그치지 않고, 인물의 형상화와 배경 세부 묘사에 중점을 두고 적절한 허구와 과장을 가미해 ‘소설’로서의 특성을 갖췄다. 이렇게 역사 인물에 생명을 불어넣은 기록들은 이후 ≪세설신어≫를 비롯한 각종 지인 소설에 여러 차례 채록되었으며 중국 고대 소설 형성의 기틀이 되었다. ≪위진세어≫ 연구의 첫 문을 열다 그러나 ≪위진세어≫는 그 역사적, 문학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간 제대로 연구되지 못했다. 10권이나 되던 원전이 망실되어 그 정확한 내용을 알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도 아직 체계적인 집일이나 교주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했으니 지식을만드는지식 ≪위진세어≫는 세계 초역일 뿐 아니라 이 작품의 연구를 위한 원전 텍스트를 복원, 정립하는 첫걸음이 된다. 연세대 김장환 교수는 각종 문헌에 남아 있는 일문들을 집일하고 교감해 세계 최초로 정본을 확립했으며 이를 우리말로 옮기고 독자 이해를 위한 주석과 해설을 더했다. 옮긴이가 집록한 일문 159조 중 145조는 ≪위진세어≫ 본문에 수록하고, ≪위진세어≫의 일문으로 보기 어려운 춘추 전국 시대의 고사와 325년 이후의 고사 14조는 부록으로 수록했다. 연구자들을 위한 원문과 교감주도 함께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