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둘라 이븐 알 무카파
압둘라 이븐 알 무카파
평균평점
칼릴라와 딤나

<칼릴라와 딤나> 아랍의 탈무드 인도, 페르시아, 아랍을 거치면서 진화하는 고전 ≪칼릴라와 딤나≫는 인도의 설화집 ≪판차탄트라(Pancatantra)≫에서 유래된 것으로 6세기경 페르시아 고대어인 파흘라비어로 번역되었다. 페르시아인들은 인도의 이야기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그들의 취향에 맞게 이야기를 변형시키거나 새로운 이야기를 덧붙였다. 750년 이븐 알 무카파가 이를 아랍어로 번역하게 되는데, 그는 번역하는 과정에서 페르시아인들이 그랬던 것처럼 원문에 얽매이지 않고 아랍·이슬람적 사상과 더불어 자신의 철학과 정치사상, 사회 개혁 의지를 투영시켰다. 덕분에 이 작품은 아랍의 수사학과 페르시아의 과장법, 그리스의 논리, 인도의 지혜를 모두 수용하고 있다. 이븐 알 무카파는 형식보다는 의미 전달에 중점을 두어 쉽고 간략한 문체를 사용했다. 이 작품은 아랍의 많은 시인들과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알 파라비(al-Farabi)나 이븐 시나(Ibn Sina)와 같은 철학자에게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아랍 풍자문학의 효시이며 산문문학의 표본으로 간주되는 이 작품은 세계의 여러 언어로 완역되거나 발췌, 번안되어 오늘날까지 전 세계의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천일야화≫와 더불어 아랍문학의 걸작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지혜의 서’ ≪칼릴라와 딤나≫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시도 이 작품은 일반적으로 서문 4장과 본문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 4개의 장에서는 저술 동기와 유래, 작품 해설, 그리고 번역자의 전기 등이 실려 있다. 본문 15개 장은 ‘다브샬림’ 왕과 현자 ‘바이다바’ 간의 대화체 형식으로 전개된다. 다브샬림왕이 현자 바이다바에게 특정한 주제의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요청하면 현자 바이다바가 그 주제에 맞는 동물 우화를 들려주는 형식이다. 원전은 틀 이야기(frame-story) 형식으로 되어 있어 이야기 속에 또 다른 작은 이야기가 들어가 있다. 작은 이야기가 끝나면 다시 틀 이야기로 돌아가게 되는데 독자들이 읽는 데는 원래의 틀 이야기로 돌아가기 위해 약간의 수고가 필요하다. 이러한 구조가 인도문학의 영향을 받은 아랍문학의 서술적 특징이기는 하나 독자들이 책의 내용을 보다 직접적으로 읽어 내는 데 방해가 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틀 이야기를 생략하고 독자들에게 흥미와 교훈을 가져다줄 수 있는 개별 이야기를 선별하여 직접 소개하는 방식을 선택했다. 이야기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을 짤막하게 부제로 달았다. 모든 이야기에 14~16세기경 아랍 필사본의 삽화를 함께 실었다. 철저한 유일신 신앙에 우상숭배를 엄격히 금지하는 이슬람 문화에서는 인물이나 동물을 그린 그림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례적으로 ≪칼릴라와 딤나≫는 삽화가 포함된 필사본이 여럿 전해지는데, 대중에게 널리 읽히기 위함으로 짐작된다. 이 책의 그림은 영국 옥스퍼드 보들리언 도서관, 독일 바이에른 주립도서관에 디지털 소장된 13~16세기 필사본 중 완성도가 높고 보존 상태가 좋은 그림이 실린 원본에서 골라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