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하우거
낙하우거
평균평점
신오토기보코

<신오토기보코> "≪신오토기보코(新御伽婢子)≫는 1683년에 간행되었다. 이 책의 서명(書名)은 그에 앞서 간행된 아사이 료이(淺井了意)의 ≪오토기보코(伽婢子)≫를 의식하여 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오토기보코≫는 중국 명나라 때 구우가 지은 ≪전등신화≫를 비롯해 지괴(志怪)나 전기(傳奇)를 번안한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의 서명 맨 앞에 ‘신(新)’을 붙이고 있는 것에서 이전의 작품과는 구별되는 새로운 작품을 만들려는 의도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저자는 일본 곳곳을 다니며 옛날이야기를 모았고 각종 책자에 있는 기담들도 가져왔다. 한국이나 중국의 이야기를 배제했다는 서문을 보면 일본에 전해 오거나 견문한 고래(古來)의 기이한 이야기를 모았다는 데 의미를 두었음을 알 수 있다. 책에는 질투나 집착, 변심으로 여자가 뱀이 되는 변신담, 동물을 포함한 각종 요괴 이야기뿐만 아니라 불법의 공덕, 고승의 영험 등 불교적 내용을 다룬 이야기도 상당수 실려 있다. 하지만 오늘날은 문학사적으로 크게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단순한 구성, 기술적인 문장, 한자의 다용 등으로 문학성이 떨어지기 때문일 것이다. 이는 성급하고도 안일하게 대응한 판행 태도나 작자의 역량이 관련하겠거니와, 무엇보다 일본에서 생산된 기이한 소재를 작품으로 형상화하는 소설적인 발달을 아직 보지 못한 문학사적 배경이 자리하고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하기에 오히려 항간에 떠도는 소재들이 소박하면서도 담백하게 고스란히 담겨 있어 작품의 진실성이 부각된다. 역사적 사건이나 재해, 세시풍속, 신앙 등이 꾸밈없이 표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귀신의 존재나 기이한 현상에 대한 에도인의 인식과 사고, 윤리관이나 종교관도 함축되어 있다. 이처럼 작품 전반에 일본적인 냄새가 물씬 풍기는 것이 외국인의 눈으로 봤을 때는 중국 작품 번안 못지않게 매력적인 면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