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혼지> ≪원혼지(寃魂志)≫는 중국 남북조 시대 북제(北齊)와 수(隋)나라를 중심으로 활약한 문인이자 학자였던 안지추(?之推, 531∼591 이후)가 지은 필기 소설집으로, 중국 고대 소설의 형성과 관련해 위진 남북조 불교류(佛敎類) 지괴 소설(志怪小說)의 대표 작품 가운데 하나다. 그 내용은 억울하게 죽은 원혼들의 다양한 복수 이야기로, 권선징악의 권계적(勸誡的) 메시지를 담고 있다. 원서는 3권이었으나 송나라 이후에 망실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해지는 판본은 모두 명나라 이후의 집본(輯本)이며 1권으로 되어 있는데, 지금의 판본에 수록되어 있지 않은 많은 고사가 당나라의 ≪변정론(辯正論)≫·≪법원주림(法苑珠林)≫과 송나라의 ≪태평광기(太平廣記)≫ 등에 인용되어 총 60여 조가 남아 있다. 이 60여 조의 고사를 통해 ≪원혼지≫ 원서의 본래 면모와 내용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원혼지≫는 일찍이 루쉰(魯迅)이 그의 ≪중국소설사략(中國小說史略)≫(1923)에서 ≪원혼지≫에 대해 “경서와 사서를 인용해 보응을 증험함으로써 유교와 불교가 혼합하는 실마리를 이미 열었다(引經史以證報應, 已開混合儒釋之端矣)”고 중요하게 평가한 후로, 리젠궈(李劍國)의 ≪당전지괴소설사(唐前志怪小說史)≫(1984)를 비롯한 대부분의 중국 소설사에서 북조를 대표하는 불교류 지괴 소설로서 ≪원혼지≫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원혼지≫는 기본적으로 “석씨보교지서”로 대변되는 불교류 지괴 소설에 속하지만, 부처·보살·불상·불경의 영험함이나 불법에 대한 신봉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선험기≫나 ≪명상기≫ 등과는 달리, 원혼들의 복수 이야기를 전문적으로 수록하면서 유가 경서와 사서를 인용해 보응을 증험함으로써 유석 합일(儒釋合一)의 사상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원혼지≫가 다른 불교류 지괴 소설과 비교되는 뚜렷한 차별성이라 하겠다. 불교와 유교가 본래 하나임을 강조하면서도 현세의 삶을 중시한 안지추의 권계적인 응보관을 반영하고 있는 ≪원혼지≫는 거의 대부분의 고사에서 가해자가 당대에 응보를 받는 현세보의 서사적 특징을 띠고 있다. 이에 대해 청나라 기윤(紀?)은 ≪사고전서총목제요≫ <자부·소설가류·환원지>에서 일찍이 “강인한 혼백이 귀신의 기운을 빌려 변고를 일으키는 것은 진실로 있을 법한 이치이니, 천당과 지옥처럼 허무맹랑해 고찰할 수 없는 것에 비할 바가 아니다. 그 문장이 또한 자못 예스럽고 아정해 소설의 쓸데없이 번잡한 것과는 사뭇 다르니, 보존해 경계의 거울로 삼는다면 진실로 또한 도의에 해됨이 없을 것이다”라고 해서, ≪원혼지≫의 문체가 “예스럽고 아정하며” 내용이 “경계의 거울로 삼아도 도의에 해됨이 없다”고 평가했다. ≪원혼지≫의 이러한 권계적인 특성은 송나라 이후 일련의 권선서(勸善書) 창작에 직간접적으로 계시와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은 ≪원혼지≫에 대한 3종의 인용서와 10종의 판본과 4종의 집록본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전체 고사를 61조로 확정하고 서로 다른 고사명을 원혼의 당사자를 기준으로 통일했으며 시대순으로 재배열했다. “출전”은 시대적으로 앞선 전적을 저본으로 했으며, “참고”는 해당 고사와 관련된 참고 자료를 명시했다. 교감문은 명백한 오류나 의미가 불분명한 경우나 문맥상 타당하지 않은 경우에 한해 원문에 번호를 달아 작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