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이전> 한국 고대 서사문학의 원형을 정리한 순수 서사 자료집. <아도>에서 <호원>에 이르는 12편의 일문(逸文)들과 다양한 버전의 관련 이야기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문학적 감식안을 가지고 선학들에 대해 나름대로의 평가를 내릴 수 있다. ≪수이전≫은 ‘기이한 것을 전달한다’라는 뜻처럼 문학을 인식하고 쓰인 한국 최초의 고대 서사 자료집이라는 점에서 국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 문헌이다. ≪수이전≫은 현존하지 않는다. 단지 ≪수이전≫에서 옮겨 실었다는 21편의 작품이 후대의 문헌인 13세기 각훈의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일연의 ≪삼국유사(三國遺事)≫, 15세기 성임의 ≪태평통재(太平通載)≫, 서거정의 ≪필원잡기(筆苑雜記)≫, 노사신의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 16세기 권문해의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郡玉)≫, 17세기 권별의 ≪해동잡록(海東雜錄)≫ 등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 그중 중복되는 9편을 제외한 12편의 작품을 1장에 ≪수이전≫의 일문으로 수록했다. 또한 같은 인물을 다룬 상이한 기록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비교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다른 문헌에 실려 있는 ≪수이전≫ 관련 자료를 2장에 수록했다.